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학습자 참여 융합교육 수업설계 모형 개발 :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혜성

Advisor
임철일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공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공학전공), 2019. 2. 임철일.
Abstract
교육 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혹은 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개 발이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참여적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실제 맥락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준과 의견을 설계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함으로서 최적화된 결과물이 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해 관계자로서 중점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학습자는 학습에 대한 권한 및 책임을 지니고 있으므로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학습자의 경험 및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융합교육 분야에 있어서 참여적 설계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핵심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습자 참여적 설계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상황이다.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국내 초등학교 맥락에서의 학습자 참여적 설계의 모형이나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학습자 참여적 설계는 연구학교나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단편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학습자의 설계과정에 대한 참여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다소 낮은 수준에 한정되어 있다. 교수자 혹은 교수설계자 주도의 설계로 인하여 학교 수업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점은 초등학교 맥락에서의 융합교육의 효과적 실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과정에 학습자의 경험과 요구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반영하고 설계 과정에 학습자를 유의미하게 참여시켜 학습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요컨대, 교육 현장에서 최적화된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참여적 설계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설계 및 의사결정 과정에 학습자를 참여시켜 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천하기 위한 모형과 상세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특히 설계 전체 단계를 안내하기 위한 처방적 성격을 지닌 절차 모형을 구성하고 각 단계의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할을 안내하기 위한 상세 지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참여 융합교육 수업설계 모형은 무엇인가? 둘째, 개발된 설계 모형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다음의 절차로 수행되었다. 우선 경험적 탐색을 통하여 참여적 설계의 절차와 지침을 도출한 후 선행문헌 고찰을 통하여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초기 모형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 타당화 검토와 현장 평가를 실시하였다. 교수설계 전문가와 참여적 설계 경험 교수자 6인이 예비 타당화를 포함한 총 세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 검토에 참여하였다. 현장 평가에는 초등학교 담임교사 1인과 해당 학급 20인이 참여하였다. 현장 평가 과정을 통하여 본 모형과 상세 지침이 적용된 설계와 실행 과정이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 활동 즐거움, 교사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질문지와 인터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 참여 융합교육 수업설계 모형과 27개의 상세 지침이 개발되었다. 모형은 설계 과정 및 방법 협의, 팀 구성, 학습자 설계 역량 향상, 융합주제 선정, 성취기준에 따른 활동 및 평가 설계, 교수자에 의한 정교화, 설계 평가, 실행, 평가 및 환류 총 9개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단계를 실제 참여적 설계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준비단계와 반복적 평가 기반의 설계 두 단계로 구분하였다. 특히 참여적 설계에서 학습자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지속적 평가와 수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반영한다.
이에 대한 교수자 반응 중 강점으로는 모형이 반복적, 순환적 구조로 되어있어 학습자 및 교수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수정하기 편리하여 질 높은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 설계의 전반적인 단계를 파악하기 쉽도록 모형이 구성되어 있다는 점, 설계 전 단계를 포함하고 있어 설계 과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약점으로는 학습자 역량 향상 단계에서 접하는 개념이 학습자에게는 다소 생소하여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약점을 고려하여 상세 지침에 예시를 포함하여 제시하였으며 효과적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그림 자료를 함께 제시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학습자에 대한 반응 중 강점으로는 설계 과정을 통하여 학습 목표와 활동, 평가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되었고 학습을 할 때 보다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의 관계가 증진되었다는 점, 그리고 학습에 즐거움을 느끼게 되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교수자 및 학습자 반응과 함께 참여적 설계를 통한 교육적 효과성 측면에서 사전 사후를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0.03), 학습 활동 즐거움(0.00), 교사관계(0.04)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가 융합 교육을 학습자와 함께 설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Participatory design is emphasized as a method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class and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ield. It can systematically reflect th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s in instructional design, develop effective learning by including learners who are key stakeholders and experts in their own experiences. In addition, learner can be give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hereby enhancing performance ability and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ory design has been variously applied in the field of convergence education where the more the learner 's experience and the relation with the real life are, the more effective learning is possible. The 2015 curriculum emphasizes core competency-centered education and the quality of happier learning, thus increasing the need for participatory design.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ior literature on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in the context of instructional desig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a previous study on the model or strategy of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applied to the Korean context in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exists. The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has been attempted mainly in research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but the debate on it has been lacking so far. Participation in the design process of the learner is limited to the weak level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 instructor and instructor design actively design and direct the learning. This suggests that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is not realized in school classes becaus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learner are not fully reflected in the school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he learner in the design process and organically involve the learn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model that assigns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learning to the learner and design effective les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and detailed guidelines for effectiv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by participating learners in design and decision making process. We developed a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easily understand the entire design stage and developed detailed guidelines for guiding the role of learners and instructors at each stag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to develop as a learner participatory design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2)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adopted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model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exploration. First, through the empirical exploration, the procedures and guidelines of participatory design were derived, and then an initial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6 instructional design experts participated to a validation test and validation tests were done in three times. On-site validation was conducted by a class teacher and 20 students were attended. To figure out the effecton learners self-efficacy for learning,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joyful about learning activity, questionnaires, interview, pre-post test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a procedure model, 27 specific guidelines to learner participatory method were suggested. The model is composed of 'design process and method consultation', 'team composition', 'learner design competency improvement', 'convergence topic selection', 'activities and evaluation design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refinement by teachers' , 'execution', 'evaluation and reflection'. As a result of the on-site evaluation showed that, adopting model might have positive influence on learners' elf-efficacy for learning,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joyful about learning activity. Also it verified that the model is useful model to guide the teacher to design th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e learner .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in convergence education and learner participation design. Morep ract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adaptation this model to diverse context, and
the factors effecting on use of model remained as questions for future stud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