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이 영어 의사소통역량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모영

Advisor
백순근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9. 2. 백순근.
Abstract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영어의 역할과 중요성은 날로 더해지고 있으며,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학습자들이 꼭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 되고 있다. 교육부는 자유학기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영어 의사소통역량이 교실 수준에서 배양될 수 있도록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자유롭게 영어로 의사소통 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영어연극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자유학기제가 전국적으로 시행 된 이래로 영어연극을 정규 수업에서 활용 한 후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영어연극 수업을 할 때 소그룹 구성방식에 따라 영어 의사소통역량 및 수업참여도가 다른지 여부를 검증한 연구도 미흡하였다.
이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무작위 구성, 친밀감 기반 자율 구성, 영어 성적 기반 이질적 구성)이 영어 의사소통역량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활동은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에 따라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에 따라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 연구 분석 및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영어 의사소통역량 채점 기준표, 소그룹 활동에 대한 수업참여도 척도를 개발하였다. 영어 의사소통역량 채점 기준표는 8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개발되었고, 발표 내용, 언어 사용, 자세 및 태도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소그룹 활동에 대한 수업참여도 척도는 성의·열의, 책임감, 그룹원 배려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인타당도와 신뢰도(Cronbachs α)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A광역시의 B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남학생 80명(3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 역할극 평가를 실시하고 영어연극 수업을 16차시 한 후 사후 역할극 평가를 하여 영어 의사소통역량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의 소그룹 활동에 대한 수업참여도는 영어연극 수업이 끝난 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 역할극 평가와 수업참여도 설문 조사가 끝난 후 각 집단별로 5명씩 총 1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은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차례에 걸쳐 영어 의사소통역량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후 평가 총점이 사전 평가 총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종속표집 t=-15.70, p<.001). 또한 영어 의사소통역량 채점 기준표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사후 평가 점수가 사전 평가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에 따라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각 하위 영역별로 살펴 본 결과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에 따라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소그룹별 각 하위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그룹원 배려 영역에서 친밀감 기반 자율 구성한 소그룹이 영어 성적 기반 이질적 구성을 한 소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4.045, p<.05).
넷째, 각 소그룹별로 영어 의사소통역량 향상도가 높거나 낮은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된 면담을 실시한 결과 무작위 구성과 친밀감 기반 자율 구성한 학급에는 영어 성적 기반 이질적 구성을 선호하는 학생이 많았다. 반면, 영어 성적 기반 이질적 구성을 한 학급에는 이 구성방식도 좋지만 친밀감 기반 자율 구성으로 하면 더 나은 수업이 될 거라 기대하는 학생이 많았다.
요컨대, 이 연구를 통하여 중학생의 영어연극 수업이 영어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어연극 수업의 소그룹 구성방식에 따라 수업참여도에서 친밀감 기반 자율 구성한 반이 그룹원들의 배려가 잘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영어 의사소통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영어연극 수업을 적절히 활용하되, 학생들과의 면담 결과 영어 성적 기반 이질적 구성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 등을 고려하여, 더 많은 소그룹 구성방식에 대한 추후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영어연극 수업, 소그룹 구성방식, 영어 의사소통역량, 수업참여도
학 번 : 2017-2568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grouping methods(Random grouping, Intimacy-based group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based heterogeneous grouping) in English drama proj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lass participation. The below are the research questions being investigated.

1. How does English drama project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2. How does grouping methods in English drama project affect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3. How does grouping methods in English drama project affect class participation?

To address these questions, Role Play Assessment Scoring Criteria Table(RPASCT) and Class Participation Scale(CP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RPASCT is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① Content, ② Language use, ③ Body Language and Attitude. The Class Participation Scale is composed of three subconsructs: ① Sincerity and Enthusiasm, ② Responsibility, ③ Consideration for group members. Two sets of role play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80 male students(three classes) in middle school. After the first role play assessment, students in each different class participated in the English drama project with three different grouping methods. Students took English drama project for two months and then the second role play assessmen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glish drama project had drastic effects on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score for the second role play assessment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first set of results (t=-15.70, p<.001). Also, as an attempt to test the difference in each sub-category of RPAS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cond set of assessment scores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every category of RPASCT.
Second,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ing methods on the total score and each subconstructs' scores of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ing methods on the total score of Class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scores of the 'Consideration for group members' category revealed a difference, in that the Intimacy-based grouping tended to yield the higher score compared to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based heterogeneous grouping method(F=4.045, p<.05).
In sum, the effects of English drama project is drastic on improving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even though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ing metho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lass participation. Therefore, teachers should make the curriculum with constant interest in English drama project and use English drama project in the class.

Keywords : English drama project, grouping method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y, class participation
Student Number : 2017-25681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