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에 관한 연구 -경기도 S시 혁신교육지구사업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Natur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Network - In cas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S city of Gyonggi-do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현

Advisor
한숭희
Major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19. 2. 한숭희.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what subjects were gathered through what kind of connections and examines what influences the structure and natur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twork, analyzing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Her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eans the community which has a shared goa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village, emphasizes the role of the village, takes the 'village' as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communicates with various communities related to education. Moreover, the origin of this concept can be found from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meantime, Village Communities and local communities have been treated as goals and contexts of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but it has been challenging to find researches that approached Village Community issu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schools and villages. To show the education and learning that take place anytime and anywhere, we should include the regular educa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education and learning of children and youth as citizens of the Village Community. Even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Village community including school, they have dealt with one unit school. However, with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village communities, the municipalities, and the education offices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a system in which various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in the village voluntarily participate in education, cooperating based on reciprocity and interdependence. Therefore, as we se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eparately, it is difficult to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ole and interactions of the subjects, that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twork. In the area of ​existing lifelong education, we have accumulated examples of various local education networks including schools. However, we have not been able to reveal the overall aspect of the network, only to identify some parts of network phenomenon based on the attribute data showing the attitudes, opinion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or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ular connection and cooperation patterns among the subjects constructing the network such as school, education office, municipality, and village community by using the relational data expressing the network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ith the nodes and link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of S city in Gyeonggi province as the research case and identified all th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of S city in 2018.
Basically, the researcher applied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4 program.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the weight, and the number of links between the nodes that make up each project network as process properties. The attribute, degree, and degree centrality of nodes & the characteristics of degree according to attributes of the nodes were defined as node properties. As structural properties, the density and centralization of the whole network were identified. Plus, the network structure was visually analyzed by drawing a network map. Also,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ructure and nature of the network using qualitative data.
The case data of this study is 'the Creative Activity School' and 'the Village Curriculum' among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s in S city. As a result, 'the Creative Activity School' network was organized by the school, the association, and the space nodes. The contents of links are supporting places, providing programs, and cooperating. Moreover, 'the Village Curriculum' network was made of the school and the association nodes. The contents of links are providing programs and coopera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ong village community of S city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big factor to mak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that quality resources of villages that could already practice village education were abundant in S city. In addition, the expertise and competence accumulated through citizens' autonomy for a long time could help the village to gain the authority relatively easily to make decisions about village education. Seco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twork in S city is the network type led by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the Happy Education Support Center. Additionally, a mixture of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structures of network complements each other's limitations. This mix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networking project which was run by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led by the governmen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form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twork that is centered on the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led by the government. Third, as the network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is a network made through 'the project', the structure and nature of the network are changed depending on what type of project makes the network and which associations can participate easily. Plus, the budget and detailed program of the project a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size and connection pattern of the network. Fourth,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twork provided the schools with the village resources, which shows tha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till remained in the paradigm that school education is the only education. In the future, citizen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finding and resolving educational problems voluntarily.
This study is meant as an attempt to generalize the network as a quantitative index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at the same time as approach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terms of the network.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s that mak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ith a network perspective.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whole network by confirming all the sub-associations that organiz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hich were not identified in the previou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research. Third, it reaffirmed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 of network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networks.
이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통해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는 어떤 주체들이 모여 어떤 연결을 통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와 성격에 무엇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여기서 마을교육공동체는 마을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학생의 교육과 마을의 발전이라는 공유된 목표를 갖고, 우리 마을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아, 마을 교육을 만드는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연계하는 공동체며, 마을공동체부터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그동안 마을공동체, 지역공동체는 평생교육 영역에서 교육과 학습의 목표이자 맥락으로 다루어져 왔으나 정규학교와 마을의 관계를 중심에 놓고 마을공동체 문제에 접근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언제 어디서나 이루어지는 교육과 학습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모든 이들이 보편적으로 겪는 학령기 교육을 포함해야 하며 마을공동체가 형성하는 주민으로서 아동, 청소년의 교육과 학습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기존 연구에서 등장하는 학교를 포함한 마을공동체가 하나의 단위 학교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면, 마을교육공동체는 작게는 읍·면·동, 크게는 도시를 단위로 한 공동체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급별의 다수의 학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마을공동체와 지자체, 교육청과 함께 연계되고 협력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마을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이 호혜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의존성에 기반하여 자율적으로 협력하는 체제이다. 이 때문에 마을교육공동체 주체들을 분절적으로 바라보게 될 경우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이해가 어렵다. 따라서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살펴보고 주체 간의 어떠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 것, 즉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평생교육 영역에서 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교육 네트워크 사례를 축적해왔으나 개인이나 집단의 태도, 의견, 행태 등을 나타낸 속성자료를 중심으로 미시적인 네트워크 현상을 파악할 뿐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종합 양상을 드러내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의 네트워크를 노드(node)와 연결(link)로 표현한 관계자료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체들, 즉 학교, 교육청, 지자체, 마을공동체 등의 구체적인 연결·협력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의 마을교육공동체를 사례로 선정해 2018년 S시에서 이루어진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를 확인했다. 기본적으로 Netminer 4 프로그램을 사용해 사회 연결망 분석을 적용했다. 각 사업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와 노드 간 연결의 내용과 가중치, 개수를 확인했으며 노드별 속성, 연결 정도, 중심도를 파악하고 속성에 따른 연결 정도의 특징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밀도와 집중도를 확인하고 네트워크 지도를 그려 네트워크 구조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네트워크의 구조와 성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질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S시의 혁신교육지구 사업 중 창의체험학교, 마을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창의체험학교는 학교, 연계기관 및 단체, 공간 노드가 공간지원, 프로그램 제공, 협력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마을교육과정의 경우 연계기관 및 단체 노드가 프로그램 제공, 협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분석 결과 첫째, S시의 탄탄한 마을공동체는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성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미 마을 교육 실천을 가능케 하는 질 높은 자원들이 풍부했던 것이 S시 마을교육공동체의 큰 형성 요인이었다. 더불어 마을공동체가 오랜 시간 주민자치를 통해 쌓아온 전문성과 역량은 마을의 교육에 대해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비교적 쉽게 얻어내는 기반이 될 수 있었다. 둘째, S시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는 행복교육지원센터를 핵심조직으로 하는 중간지원조직형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앙집중 구조와 탈집중 구조의 혼합된 형태였으며 이는 각 네트워크 형태의 한계점을 서로 보완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합형태는 중간지원조직이 네트워킹 사업을 운영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부주도의 중간지원조직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는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가 어떤 형태로 구축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네트워크는 사업 네트워크인 만큼 해당 사업이 어떠한 방식을 지니고 어떤 기관 및 단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느냐에 따라 네트워크의 구조와 성격이 달라진다. 아울러 사업의 예산액과 세부 프로그램도 네트워크의 규모와 연결 양상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넷째,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는 마을이 학교에 자원을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여전히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패러다임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마을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교육 문제 확인과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를 네트워크로 접근함과 동시에 사회 연결망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양적인 지표로 일반화하는 시도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를 통해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성하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네트워크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사업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분석해 기존 마을교육공동체 연구에서 확인할 수 없었던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성하는 세부 기관 및 단체를 모두 확인하여 전체적인 특징을 파악했다. 셋째, 기존 네트워크 연구결과를 실증적으로 재확인하고 다른 네트워크와 차별되는 마을교육공동체 네트워크의 특징을 드러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