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기 청소년의 국제교류 경험 이해 : Understanding Early Adolescents' Experiences i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윤

Advisor
조영달
Major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19. 2. 조영달.
Abstract
세계화를 통한 생활 반경의 확대로 시민성의 조건이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세계관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이 확대되고 있으며, 국제교류 프로그램 역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양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프로그램의 설정 주체가 주가 된 것이 대부분으로 실제로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지 않다. 그러한 면에서 국제교류의 참여 주체인 학생의 경험을 탐색하는 일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근원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참여자의 심층적인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체성 형성의 초기에 접어든 만 10세에서 12세에 해당하는 초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며, 경험에 대하여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있는 그대로 듣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질문은 첫째, 초기 청소년들이 국제교류 경험을 통하여 형성한 세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기 청소년들이 국제교류 경험을 통하여 형성한 자아와 타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기청소년들은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에 대하여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 넷째, 국제교류를 경험한 초기 청소년들의 자아와 세계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본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협약에 의한 국제교류 경험이 있는 초기 청소년을 모집하여 질적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자의 연령은 만 10세에서 12세까지였다. 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과 메모를 실시하였으며 1회 면담 시간은 약 40분 정도였다. 모든 전사 자료는 참여자의 표현을 그대로 전사하였다. 전사본은 Giorgi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의미단위를 확보하고 이를 이론적 용어로 변경하여 의미단위의 구조를 통합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하여 국제교류 프로그램 경험에서 기술된 내용을 학문적 용어로 변환하여 총 62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유사한 의미끼리 묶어 최종적으로 10개의 구성요소와 27개의 하위구성요소로 정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 내용을 근거로 국제교류 경험의 본질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한 초기 청소년의 국제교류 경험의 의미구조는 새로운 경험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을 가지고 국제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체험과 비교를 통하여 타문화를 이해하고 편견에서 벗어나며,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외국어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여 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의미를 발견하며 세계시민의식을 형성함.이었다. 통합된 일반적인 구조, 즉 10개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새로운 경험에의 관심과 기대감, 둘째, 체험을 통한 타문화 이해, 셋째, 비교를 통한 타문화 이해, 넷째, 낯선 것과 마주하기, 다섯째, 편견에서 벗어남, 여섯째, 또래와의 교우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킴, 일곱째, 외국어에 대한 인식 형성, 여덟째,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습득, 아홉째, 국제교류 프로그램의 의미 발견, 열째, 세계시민의식의 형성. 이러한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국제교류 경험 전, 중, 후의 시간적 흐름과 상황적 맥락, 세계를 보는 관점에 따라 나누어 해석하여 범주화하였으며, 이를 세계시민교육 및 청소년기의 정체성 형성과의 관련성 안에서 논의하였다.
이상의 초기 청소년의 국제교류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우선 프로그램의 내용 및 학생 지도 측면에서의 제언으로서 첫째, 참여자들이 최대한 다양한 직접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안내된 활동보다는 자기주도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배정한다. 둘째, 자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셋째, 현지인의 실제 삶을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넷째, 프로그램 구성 전 참여자의 요구와 필요에 대한 사전 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위한 사전·사후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또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협약을 통한 국제교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과, 연수와 전문교사 양성 등을 통하여 청소년 국제교류 전문 인력을 확충해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participants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For the study, four specific questions were asked: 1) what do students experience through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what does it mean to them?, 2) how do students perceive the worl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3) how do students perceive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4) what is the mean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hich participants perceiv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 early adolescents aged from 10 to 12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 reflection logs and other documents and media data produced in the program. The interview, lasting approximately 40 minutes on average, was recorded under participants' consent, and later transcrib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of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with meaning units discriminated first, larger meaning structures formed second and the structures synthesized at last. All in all, 62 meaning units, 10 topics and 27 sub-topics were found.

More specifically, interests in and expectations about new experiences,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through experience, and by comparison, confronting unfamiliar culture, overcoming prejudices, forming and building personal relationship with foreign friends,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ng in English, acquiring new knowledge, finding meanings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and building an identity as a global citizenship were included in the 10 topics, under which the nature of participants' experience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was interpreted as building a global citizenship by comprehending different cultures, forming personal relationships without cultural prejudices, and internalizing the meanings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The outcomes of the study have several significant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an effective and efficient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 First, the program needs to provide its participants with more self-directed activities rather than guided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participants prepared in advance to have deep insights into their own culture prior to attending the program. Third, the program needs to be based on authentic activities so that its participants can experience and enjoy the way of life of local people. Fourth, the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needs analysis of prospective participants. Fifth, for the program to be more effective, pre-and-post programs need to be run along with the main program. Lastly, government needs to expand its subsidies for both active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and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program manag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1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