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管子』의 修養論 硏究 : A Study on the Guanzi's Theory of Self-cultiv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경훈

Advisor
김병환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19. 2. 김병환.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thesis i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Guanzi(『管子』)'s theory of self-cultivation. To this end, I first investigate the philological and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Guanzi, explore the Guanzi's theory of jingqi(精氣), and then discuss the self-cultivation theory. Furthermore, I look into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discussions.
The suspicion of whether the author of the Guanzi is GuanZhong(管仲) has existed for a long time and even in the current academic world, there is no consensus on this. It is clear from the discussion of the academic world that the author of the four chapters of the Guanzi[『管子』四篇], which includes most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is not GuanZhong, and the latest position in the academia is that the author is Huang-Lao(黃老) school in the Jixia(稷下) Academy. Written by Huang-Lao school in the Jixia Academy, the four chapters of the Guanzi is based on Jixia and Huang-Lao thought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us, the Guanzi's self-cultivation theory emphasizes the epistemology related to yin(因), xin-qi(心氣) theory, ming-shi(名實) theory, and the cultivation theory of xin-xing(心形).
The Guanzi makes the dao(道) of Laozi(老子) a philosophical foundation and connects the dao with jingqi concept. In the Guanzi, jingqi has the power of life and wisdom, and the prince has to acquire jingqi to exercise the power and govern a country in a stable manner. Also, the acquisition of jingqi in the Guanzi is done through the mind. The original mind is able to make a accurate perception by letting the sensory organ play its role. However, since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s easily lost by emotion or desire, by controlling the emotion and desire you have to try to stabilize your mind. When the mind is stabilized, it can regain its original state and gain jingqi. In other words, the mind becomes where jingqi stays.
To obtain jingqi,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recognize things on the basis of the real state of the things in accordance with principles of yin and ying(應), and this cognitive ability requires cultivation. The Guanzi demands both mind and body cultivation, because it presupposes that the mind and body influence each other. The mind cultivation involves cultivation of xu(虛), jing(靜), and yi(一), and the body cultivation includes cultivation of zheng(正) and jing(敬) and a proper regimen. The result of this cultivation leads to two ideal stages. The mind and body of a person who has reached the stage of nei-de(內得) become all sound[全心 全形] and by fully acquiring the dao he has wisdom as bright as the sun and moon[大淸明]. A person who has reached the stage where ming and shi correspond become able to give things ming that matches shi of the things, and this is no different from the ability to perceive and respond to shi as the shi. The wisdom and the ability of unity of ming-shi to be obtained as a result of this cultivation are applied to the rule of the prince, where the Guanzi extends the cultivation theory to the domain of ruling a nation.
In light of the Guanzi's self-cultivation theory, a moral teacher must keep his mind stable[定]. The Guanzi states that the condition of mind is immediately revealed by appearance. Because students are unconsciously influenced by a teacher's usual appearance, the first thing the teacher has to do when teaching morals is to make oneself a person who students can see and learn. Also, with an attitude of yi-wu-wei-fa(以物為法) the moral teacher has to teach morals based on the level and temperament of each student. Meanwhile, the contents of the self-cultivation theory are the basis for cultivating various moral competencies. Moreover, when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n the mind and body[心形觀] of the Guanzi, the importance of basic living habit education in character education is confirmed.
본 논문의 목적은 『管子』의 수양론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선, 『管子』의 문헌적 · 사상적 배경과 精氣論을 살펴본 후, 『管子』의 수양론을 논의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논의로부터 도출되는 도덕교육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管子』의 저자가 管仲인지 여부에 대한 의심은 예로부터 존재해왔으며, 현 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입장이 일치되지 않고 있다. 학계의 논의를 살펴본 결과 확실한 점은 『管子』 수양론의 대부분이 포함된 『管子』四篇의 저자는 管仲이 아니라는 것이며, 四篇의 저자에 대한 학계의 최신 입장은 稷下 내 黃老學派로 모아진다. 稷下 내 黃老學派에 의해 쓰인 『管子』四篇은 稷下 · 黃老 사상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한다. 이에 『管子』의 수양론은 因의 인식론, 心氣論, 名實論, 心形 수양 등을 강조한다.
『管子』는 老子의 道를 철학적 기초로 삼으며, 道를 精氣 개념으로 연결하고 있다. 『管子』에서 精氣는 생명과 지혜의 공능을 지니고 있으며, 군주는 精氣를 획득해야만 그 공능을 발휘하여 안정된 치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管子』에서 精氣의 획득은 心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본래 心은 감각 기관으로 하여금 제 역할을 하도록 하여 정확한 인식을 할 수 있다. 하지만 心의 본래 모습은 감정이나 욕구에 의해 쉽게 사라지므로, 반드시 감정과 욕구를 다스려 心이 안정되도록 힘써야 한다. 心이 안정되면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 精氣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즉, 心은 精舍가 되는 것이다.
精氣를 획득하려면 因과 應의 원칙에 따라 사물의 실정에 근거하여 사물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인식 능력에는 수양이 요구된다. 여기서 『管子』는 心과 形의 수양 모두를 말하는데, 이는 『管子』가 心形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임을 전제로 두기 때문이다. 心 수양에는 虛 · 靜 · 一의 수양론이 있으며, 形 수양에는 正 · 敬의 수양론과 올바른 섭생법이 포함된다. 이러한 수양의 결과 두 가지 이상적 경지에 이르게 된다. 內得의 경지에 이르면 心과 形이 모두 온전해지며[全心 全形] 道를 완전히 체인하여 해와 달만큼 밝은 지혜를 갖게 된다[大淸明]. 名實 합일의 경지에 이르면 사물의 實에 부합하는 名을 그 사물에 부여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實을 그 實로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르지 않다. 수양의 결과로 얻게 되는 지혜와 名實 합일의 능력은 군주의 통치에 적용되는데, 여기서 『管子』는 수양론을 치국의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管子』의 수양론에 비추어볼 때, 도덕교사는 자신의 心을 안정[定]되게 유지해야 한다. 『管子』는 心의 상태가 곧 겉모습으로 드러난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교사의 평소 모습에서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교사가 도덕을 가르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스스로를 학생들이 보고 배울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도덕교사는 이물위법(以物為法)의 자세를 갖추어, 각 학생의 수준과 기질을 기준에 두고 도덕을 가르쳐야 한다. 한편, 『管子』 수양론의 내용은 여러 도덕적 역량을 함양하는 데 기초가 된다. 나아가, 『管子』의 心形觀을 염두에 둘 때, 인성 교육에 있어 기본생활습관교육이 갖는 중요성이 확인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1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