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각 피드백 형태에 따른 배드민턴 초보자의 포핸드 언더 클리어 학습 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동휘

Advisor
김선진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19. 2. 김선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포핸드 언더클리어 과제에서 시각피드백의 형태인 양적보강정보나 질적보강정보를 제공한 집단, 피드백을 부여받지 않은 통제집단 간 과제수행의 결과, 운동학적 변인 그리고 상지관절의 협응구조를 비교⸱분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대〜30대의 남성 27명을 연구대상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사전검사, 연습단계, 사후검사, 그리고 파지검사를 실시했다. 검사와 연습단계에서 연구대상자는 일정하게 날아오는 셔틀콕을 목표지점을 향해 포핸드 언더클리어로 타구하게 했다. 연습단계에서 연구대상자는 3일 동안 총 150회의 타구에 대해 집단별로 다른 피드백을 부여받았다. 양적보강정보집단에는 10회의 연속된 타구 후 손목- 팔꿈치관절의 굴곡-신전 각도를 수치화된 그래프로 제공했다. 질적보강정보집단에는 같은 과제를 손목-팔꿈치관절의 3D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했다. 통제집단의 경우 어떠한 피드백도 부여하지 않았다.
위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로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수행의 결과 중 정확성은 양적보강정보집단이 통제집단이나 질적보강정보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일관성은 양적보강정보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손목관절의 운동학적 변인 중 손목관절의 최대신전각도는 양적보강정보집단만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손목관절의 최대굴곡각속도는 피드백을 받은 두 집단에서 모두 향상되었다.
셋째, 백스윙 구간에서 질적보강정보집단이 통제집단보다 CRP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때는 손목관절이 팔꿈치관절에 앞선 In-phase에 가까운 패턴이다. 스윙 구간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질적보강정보집단의 경우 숙련자와 같이 손목관절이 팔꿈치관절에 앞선 In-phase에 가까운 패턴이었다. 하지만 양적보강정보집단의 경우 팔꿈치관절이 손목관절에 앞선 In-phase에 가까운 패턴으로 변화하였다. 팔로우 스루 구간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양적보강정보집단의 경우 CRP 값의 변화가 비선형적이었다. 이때는 모든 집단에서 팔꿈치관절이 손목관절에 앞선 In-phase에 가까운 패턴이었다.
즉 양적보강정보를 부여받은 집단은 배드민턴 포핸드 언더클리어과제 수행 시 정확성 및 일관성, 손목관절의 최대신전각도에서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다. 반대로 질적보강정보를 부여받은 집단은 백스윙 구간에서만 협응구조의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피드백의 형태에 따라서 운동 수행의 향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목표에 따른 시각피드백을 제시하는 학습방법에 있어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ults of task performance, kinematic variable and upper limb coordination on novice, during badminton forehand under clear in accordance with visual feedback type. To this end 27 men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ake a pre-test, practice step, post-test and retention-test. In every test and practice step, participants performed forehand under clear toward the target point. In practice step, respective group had taken different feedback on 150 trials during 3 days. We offered digitized graph of wrist-elbow joints flexion-extension after 10 continuous trial to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We offered 3D-animation of wrist-elbow joints after same task to qual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and we didnt offered any feedbacks in case of control group.
The conclusion based on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ccuracy significantly improved in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than control group or qual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also consistency significantly improved in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than control group.
Second, maximum extension degree of wrist joint significantly improved in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than control group. Moreover maximum flexion angular velocity of wrist joint improved in two groups which had taken each feedback.
Third, CRP significantly improved in qual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than control group on back swing section. At back swing section which showed near in-phase pattern, wrist joint was ahead of elbow joint. At swing section which showed near in-phase patter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qualitative augmented feedback showed wrist joint ahead of elbow joint like experts. but in case of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which is near in-phase pattern, changed into elbow joint ahead of wrist joi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follow through section, and the change of CRP in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was nonlinear. In this section every group which were near in-phase pattern, showed elbow joint ahead of wrist joint.
Consequently quant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showed better results in accuracy, consistency, and maximum extension degree of wrist while badminton forehand under clear. On the contrary qualitative augmented feedback group improved their coordination structure on back swing section. Through this research we noticed that improvements in motor performance can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visual feedback. Therefore this research could be a reference to a method of motor learning, which suggest different visual feedback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purpos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