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 체육교사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과정과 요인 탐색 : An Inquiry into the Processes and Factors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Toward Subject, Student, Administration
교과교육, 학생지도, 행정관리지향적으로 성장하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원희

Advisor
최의창
Major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19. 2. 최의창.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identity(OI) of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with various aspects, environments and interes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does PE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look like? Second, what is the process of shaping the OI of PE teachers? Third,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PE teachers' OI? abcde
As literature review, teacher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teacher interest(concern) and duty, and teacher identity have been analyzed. In teacher development,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s showed linear development or cycle/complex development within career stage and age. In teacher socialization, it was examined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phase in terms of acculturation, professional socialization, and occupational socialization. PE teachers'could have various interest along their work place, students-class-administrational work, and self. The facing duties that PE teachers have were class teaching, extracurricular guidance, disciplining and caring the student, managing(supporting) class(school), external school affairs. In teacher identity, Marcia(1966)'s status model was confirmed.Unity-multiplicity, continuity-discontinuityand individual-social spectrum were identified a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dent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2 months from January 2018 following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109 PE teachers were asked about basic information, current interests, school environment, and balance between individual and teacher as a job by on-line survey. 12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ree criteria: interest, environment, andcharacteristic of practice. In the interviews, observations and field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data analysis followed the procedure of the abduction.Codes and narrative stories were made from the raw data to categorization. For thetrustworthiness, deep participating, triangulation,member check, confession of my bias, and peer review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ethic, study have review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university. Also, I had the class and official programabout research ethic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identity of the teacher is expressed as Subject-oriented identity(SuOI), Student-orientied identity(StOI), and Administration-oriented identity(AOI). PE teacher's identity beendescribed as thoughts and behaviors. In case of the SuOI, 'Practitioner of character education' and'Researcher of smart technology' were confirmed. In the StOI,'Caring athletic club assistant' and'leader of extracurricular' appeared. In the AOI, there were'Administrative resolver' and'Full time worker for school-violence'. In order to express the synthetic image metaphorically, PE identity fan(IF) has been drawn. There were three conditions: 'all PE teachers are involved in three domains', 'the shape, proportion and size of each IF are diverse', 'it can be highlighted and changed in specific situation'.
Second, the process of shaping of PE teachers' OI is represented by driving forces, status model, process chart and four cases. Firstly, reflection and practice were confirmed as driving forces. The levels of reflection were classified as'Active reflection', 'Passive reflection' and 'Non-reflection', and the practice was suggested as 'Fulfillment', 'Applying' and'non-Fulfillment'. Based on this, nine identity statuseshave presented.Thestatuses are expressed as 'Achievement', 'Acquisition', 'Habituation', 'Active moratorium', 'Passive moratorium', 'Compliance', 'Fade', 'Disappear', 'Vanish'. Next, a process chart is drawn to illustrate how the nine statuses appear step by step. PEteachers have their own identity status through the levels of reflection and practice. Finally, four examples are described as 'Achievement of StOI', 'Acquisition of SuOI', 'Habituation of AOI', 'Fade(Disappear) of SuOI(StOI)'.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five criteria. The five criteria were Active reflection factor(ARF), Passive reflection factor(PRF), non-reflection factor(nRF), fulfillment factor(FF), non-fulfillment factor(nFF).
First, in the SuOI, asARF: Teacher training, Reading, and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were confirmed. As PRF: Sports experience, as NRF: Heavy administrative work, Passive induction, Toughness of the entrance and Low status were confirmed. NRF was the same in other domains. As FF: Preparation of teaching environment, as nFF: Hierarchical climate were confirmed. Second, in the StOI, as ARF: Nurturing of parents, and Senior teacher, as PRF: Teacher capacity, as FF: Communion with school district, as nFF: Regulation of Principal were confirmed. Third, in the AOI, as PRF: Encouragement of principal and Poor PE environment, as FF: Regulation of institution, as nFF: Individualism of teachers and Stiffness of School administrative system were confirmed.
In the Discussion, first,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OI and teacher professionalism.The various aspects of OI implied the possibility of multi-directionality of professionalism, and the necessity of expansion of research perspective for PE teachers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OI - professionalism were discussed.It has been argued that deciding self-direction, cultivating capacities, and having sociality can be a positive aspect of PE teachers' OI.Second, Study of OI has been compared with teacher socialization theory. It can be a micro-perspective of socialization, also possible to explain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career stage.Third,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could think of themselves as 'subject-centered' in the formation of OI. Additional OI that may appear in PE have been described.
Second, the implications of OI formation were discussed. First, the Reflection includes both characteristic of 'self-reflection' and knowledge-based, mistrust of technical rationality.Second, the implication of status model have discussed abou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I negotiation, a possibility of framework to future research, a complementary explanation of teachers'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a support of hierarchical reflection.Third, it is discussed that OI can be the base of emergence of teacher agency(TA). TA can emergence at the Achievement, Acquisition, Active(Passive) moratorium of OI status.As a benchmark of positive TA, the level of teacher reflection was suggested.
본 연구는 다양한 양상, 환경, 관심을 가진 체육교사들의 직업 정체성 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중등체육교사가 지니고 있는 직업적 정체성은 어떠한 모습인가? 둘째, 중등체육교사의 직업적 정체성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가? 셋째, 중등체육교사의 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로 설정되었다.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를 우선 검토하였다. 교사 발달과 사회화, 교사 관심과 직무, 교사 정체성을 살펴보았다. 교사 발달에서는 교사가 경력과 나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발달하거나 순환-복합적인 발달의 모습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교사사회화 에서는 문화동화, 예비교사, 현직교사시기로 구분하여 단계별 다양한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체육교사가 가지는 관심의 영역으로 학생, 수업, 업무, 자아가 연구되었으며, 마주하는 직무로는 교과지도, 교과 외 지도, 생활지도, 학급(교) 경영(지원), 대외 관계, 전문성신장의 영역들이 보고되었다. 교사 정체성에서는 Marcia(1966)의 정체성 상태모형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별 교사 정체성의 정의, 교사 정체성의 개념적 특징으로 단일-복합, 연속-분절, 개인-사회적 스펙트럼을 확인하였다.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를 따라 2018년 1월부터 12개월간 진행되었다. 109명의 체육교사에게 '기본정보', '현재 관심사', '학교환경에 대한 반응', '개인과 교사사이의 균형'의 네 가지 주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에서 '관심', '환경', '모습'의 세 가지 기준으로 12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이들에게서 면담과 관찰, 현지문서를 통한 자료를 구성하였으며, 분석은 개연적인 삼단논법의 절차를 따랐다. 자료에서 코드를 만들고, 범주화를 거쳐 이야기를 만들어 갔다. 진실 된 연구를 위해, 연구의 참여성 검토, 삼각검증, 참여자확인, 연구자 편견의 고백, 동료연구자 검토를 하였다. 윤리적 연구를 위해, 생명윤리위원회 심의를 받았으며 관련 프로그램과 수업을 받았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교사 직업적 정체성의 모습을 1)교과교육지향적, 2)학생지도지향적, 3)행정관리지향적으로 나타내었다. 각 정체성의 모습은 정체성이 표현되는 생각과 행동을 기술하였다. 1)교과교육지향에는 '인성교육의 실천가', '스마트 교육 연구자'가 확인되었다. 2)학생지도지향에는 '측은지심의 운동부 조력자', '학생활동의 지도자'의 모습이 나타났다. 3)행정관리지향의 모습으로는 '업무처리의 해결사', '학교폭력사안의 전담자'가 있었다. 종합적인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체육교사 직업적 '정체성 부채(identity fan)'를 나타내었으며, 체육교사 모두는 세 가지 영역에 관여하며, 개인의 부채의 모양-비율은 다양하고, 특정상황에서 어느 한 영역이 부각되며 변화한다는 부연속성을 덧붙였다.
연구결과 둘째, 체육교사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은 1)형성의 동인, 2)상태모형, 3)과정도식, 4)네 가지 사례로 나타내었다. 1)형성의 동인으로는 '성찰'과 '실천'이 확인되었다. 성찰의 수준을 다시 '적극적 성찰', '소극적 성찰', '무성찰'로 구분하였으며, 실천은 '이행', '적용과정', '불이행'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상태모형에서 성찰과 실천을 두 축으로 한 9가지 정체성 상태를 제시하였다. 각각, '성취', '획득', '훈습', '적극적 유예', '소극적 유예', '순응', '상실', '유실', '소실'로 나타내었다. 3)과정도식에서 9가지 상태가 단계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도식을 그려 제시하였다. 체육교사는 성찰과 실천의 수준 결정을 통해 각각의 영역으로, 짧거나 긴 정체성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4)네 가지 사례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동인과 상태, 과정도식이 사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하였다. '학생지도지향적 정체성의 성취', '교과교육지향적 정체성의 획득', '행정관리지향적 정체성의 훈습', '교과교육(학생지도)지향적 정체성의 상실(유실)'을 차례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셋째, 체육교사 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을 영역별로 '적극적 성찰요인', '소극적 성찰요인', '무성찰 요인', '실천 이행요인', '실천 불이행요인'의 다섯 가지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먼저, 1)교과교육영역에서 적극적 성찰요인으로 '연수', '독서', '국가교육과정'이, 소극적 성찰요인으로 '과거 운동경험'이, 무성찰요인(모든 영역 동일)으로 '과도한 행정업무', '타성적 입문', '입문과정의 어려움', '교직의 낮은 지위'가 확인되었으며 실천 이행요인으로는 '교육환경의 마련'이, 실천 불이행요인으로 상명하복의 체육과 문화가 확인되었다. 2)학생지도영역에서는, 적극적 성찰요인으로 '부모의 교육', '선배교사의 조언', 소극적 성찰요인으로 '교사의 능력', 실천 이행요인으로 '학군과의 교감', 실천 불이행요인으로 '관리자의 통제'가 확인되었다. 행정관리영역에서 소극적 성찰요인으로 '관리자의 응원', '열악한 학교체육환경', 실천이행요인으로 '법과 제도의 구속성', 실천불이행 요인으로 '교직의 개인주의', '경직된 학교행정체제'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한 논의에서 먼저 체육교사 1)직업적 정체성 모습의 의미를 다루었다. 첫째, 직업적 정체성의 모습과 교사 전문성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정체성의 다양한 모습은 전문성의 다방향가능성 의미하며, 연구관점의 확장 필요성을 말하였다. 정체성은 전문성과의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논하였다. 자신 스스로의 방향설정과 전문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통해 사회적인 존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 교사 정체성 형성의 모습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둘째, 사회화 연구와의 비교를 하였다. 정체성 연구는 미시적인 관점의 사회화 연구가 될 수 있음과, 발달단계에서의 나타나는 모습들에 대한 보완적 설명이 가능함을 논하였다. 셋째, '교과'교사 정체성 형성의 의미로써, 교사들이 스스로를 교과위주로 생각하며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음과 체육교과에서 추가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역동적 정체성의 가능성을 말하였다.
다음은 2)직업적 정체성 형성의 의미를 다루었다. 첫째, 정체성 형성 과정에 있어 성찰은 '자기-성찰'적 의미를 가지되, 지성적인 사고의 추구, 기능적 합리성에 대한 반대도 부분 포함한다. 둘째, 상태모형이 가지는 의미는 협상과정의 자세한 묘사, 후속연구의 틀 제공가능성, 교사 사회화의 전략들에 대한 보완적 설명, 성찰의 위계성의 지지로 제시하였다. 셋째, 정체성은 교사 행위주체성의 출현의 기반으로서 위치할 수 있음을 말하였다. 성취, 획득, 적(소)극적 유예의 상태에서 행위주체성은 출현하며, 바람직한 주체성의 기준으로 교사 성찰의 수준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