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찰적 시민, 샤이 보수의 발생 경로 분석 : The Birth of Shy Conservatives, the Reflexive Citizens: analyzed by typology of group participation
결사체 참여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규호

Advisor
김석호
Major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19. 2. 김석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shy conservatives and establish their meaning in democracy. In this study, the shy conservatives means those who fail to express their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exist people who cannot express their party identification as conservative since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and that the phenomenon of the shy conservatives comes from the citizens who have inner conflicts between solid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and responsibility for democratic procedures. Especi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cross-participation in diverse associations provides complex developmental effects on individuals, thus rendering reflexive citizens who possess a well-developed democratic self more likely become the shy conserva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s who participate in both voluntary association, which is expected to have more heterogeneous backgrounds and values relatively and alumni club, which is expected to have more homogeneous socio-economic background, at the same time. In a situation of internal conflict, the nature of alumni club restricts its members from exiting the group, and therefore causes pressures within the group for speaking up. On the contrary, the open nature of voluntary association allows its members to learn reciprocity in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thereby increasing not only general confidence in trusting others but also in democratic procedures. The combination of the critical ability cultivated by the alumni club and the civil virtue cultivated by the voluntary association is expected to create a democratic individual with reflexive ability at the political level.
To identify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shy conservatives, theoretical discussions attempted to examine their existence are reviewed firstly. Exclusion bias occurs when people with an opinion which is 'socially undesirable' do not respond frankly to the polls. The exclusion bias pollutes the results among polls, which are shown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answers were carried by an interviewer or by an interviewee herself. This is because of the social pressure a human interviewer gives, which encourages the interviewee to respond in the socially desirable way. Therefore,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shy conservatives' as a result of exclusion bias: Some people under specific situations cannot announce their party identification although they clearly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In this study,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is pointed out as the time when socially undesirable norms regarding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first emerged(Saenuri Party and Liberty Korea Part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re formed a group of people who could be named as the shy conservatives after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If an interviewer creates social pressure that prevents conservative party supporters from expressing their opinions as according to Exclusion bias,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responses collected by interviewers in a particular survey, the lower the approval rating of the Conservative party will appear. This is confirmed by analyzing cumulative public opinion polls betwee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s in 2016 and the 7th national local elections in 2018. The dataset is constructed from the poll results registered on the National Election Survey Deliberation Commission. In order to identify trends of the overall opinion poll, unobserved component model (local level with deterministic trend) was used after pooling the polls. Finally, a fixed-effects regression was performed on the trends of the poll and the errors between individual polls, using predictive accuracy (A).
After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shy conservatives through analysis of the poll results, the study used the results of the "2017 Consciousness Survey on Politics and Democracy" to analyze how these shy conservatives exist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group participation. First, in order to detect a certain group, the shy conservatives within the survey, political independents are subdivided through the latent class analysis. According to the prior studies about political independents, a group of independents is divided into three latent subgroups: apolitical, apartisan and the shy conservatives. Afterwards, the binomial variable is coded as the explicit conservatives, who express clear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and the shy conservatives, which are latent groups within the independents but have similar traits with the explicit conservatives.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ims to observe if the different types of group participation foster different levels of deliberative skills and civic virtues to the members. Furthermore,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its hypothesis that the shy conservatives appear especially high among reflexive citizens with various political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hy conservatives was observed in the past polls. Especially after the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responses collected by interviewers, the lower the approval rating of the conservative party appeared. However, the approval rating of the conservative party, when combined with the ratio of non-response, is not differed by the percentage of responses collected by interviewers. The same results were not possible to find before the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To sum up,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ecline in the conservative party's approval rating in some poll results, which appears to be caused by the presence of interviewers after the scandal, is due not to the rise in the approval rating of other parties but to the failure of people to express their sense of party identification. In other words, the shy conservatives phenomenon has existed for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mong the group of conservative party supporters since the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There is also a group within the latent classes of political independents that is likely to be understood as the shy conservatives. This is because when separating the independents into three latent classes, two of them being the apolitical and apartisan groups in the prior discussions, a new group appears to the surface as the shy conservatives. On one hand, participating in alumni club increases peoples deliberative skills which are conceptualized by measu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ir policy preferences and the candidate they voted. On the other hand, when participating in voluntary association, the civic virtue measured by peoples trust in others is shown to increase. Finally, when a person possesses the deliberative skills cultivated from the alumni club and the civil virtue promoted in voluntary association, the person has the highest probability of becoming the shy conservatives.
This study contributes in a way that it has empirically identified the shy conservatives as a group of people and analyzed their features. Moreover, through analyzing cumulative data of the polls, the analysis of long-term time series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at the shy conservatives has been a continuously existing group. Furthermore, by clarifying the phenomenon the shy conservatives takes place in the concrete area of party identification, and confirming that the shy conservatives is most likely to be found among reflexive citizens, the study shows that the shy conservatives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as a democratic entity, not just a casting boa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샤이(Shy) 보수의 존재를 확인하고, 그들의 민주주의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샤이 보수란 보수정당에 대한 자신의 지지를 표명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즉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보수정당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존재하며, 이 연구는 샤이 보수 현상이 정당에 대한 확고한 지지와 민주적 절차에 대한 책임감 사이에서 갈등하는 시민들에게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특히 다양한 결사체에 교차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치적 자아가 발달하였을 성찰적 시민들이 샤이 보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동질적인 사회경제적 배경을 공유한 사람들의 연결망인 연고집단과 연고집단에 비해 이질적 배경과 견해에 노출이 많을 것으로 기대되는 자발적 결사체 간 차이와 그 결합에 초점을 둔다. 연고집단의 특성은 연결망이 동질적이고 조밀해 집단 내 갈등이 발생해도 구성원들이 쉽게 이탈하지 못하고 대화를 통해 갈등을 해결하도록 종용받는다는 것이다. 반면 자발적 결사체의 개방적 특성은 구성원들에게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개인과 제도에 대한 호혜적 관계를 학습시켜 타인에 대한 일반적인 신뢰뿐만 아니라 민주적 절차에 대한 신뢰까지도 증진한다. 다양한 정치적 특성이 발달된 성찰적 시민의 조건은 연고집단에서 길러지는 특성과 자발적 결사체에 의해 배양되는 덕성이 결합되었을 때 충족되기 쉽다. 한편 두 집단에 모두 속하지 않는 경우, 어떤 집단에 속하는지에 따라 성찰적 능력에 있어서의 차이를 만들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샤이 보수의 정치적 맥락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해당 집단을 포착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다.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의 일종인 배제적 편향(exclusion bias)은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의견을 표출하지 않아 상당한 비율의 의견 누락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배제적 편향이 발생하는 경우, 면접원이 존재하는 조사와 면접원 없이 스스로 응답하는 조사의 결과가 달라진다. 이는 면접원의 존재로 인해 창발하는 사회적 압력이 응답자로 하여금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응답을 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즉, 보수정당을 지지하지만, 어떠한 상황적 이유로 이를 밝히지 못한다는 점에서 샤이 보수는 배제적 편향의 한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수정당 지지자가 자신의 태도를 표명하지 못하게 된 계기로서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지목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샤이 보수라고 부를 수 있는 집단이 발생하였는지 검증한다. 만약 면접원이 사회적인 압력을 발생시켜 보수정당 지지자가 자신의 의견을 표출할 수 없도록 만든다면, 특정 조사에서 면접원이 수집한 응답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보수정당의 지지율이 하락하는 편향이 나타날 것이다. 2016년의 제20대 국회의원선거와 2018년의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사이의 여론조사 공표 자료를 분석함으로서 이를 확인한다. 자료는 여론조사심의의원회에 등록된 여론조사결과현황을 직접 수집하여 활용한다. 전체 여론조사의 추세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차 별 여론조사를 통합한(pooling the polls) 이후 결정적 추세를 포함한 국소 수준 모형(local level with deterministic trend)을 활용한 비관찰요소모형(unobserved component model)을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예측 정확도 지표 를 활용하여 여론조사의 추세와 개별 여론조사 간 오차에 대해 고정효과모형 회귀분석(fixed-effects regression)을 수행하였다.
여론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샤이 보수의 존재를 확인한 이후, 이러한 샤이 보수가 결사체 참여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2017 정치와 민주주의에 관한 의식조사󰡕의 결과를 활용하려 확인한다. 먼저 해당 조사 내에서 샤이 보수를 규정하기 위해 무당파 집단을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세분화한다. 기존 무당파 집단 연구를 수용하여 무당파 집단을 비정치층(apolitical), 비당파층(apartisan), 샤이 보수 등 세 개의 잠재 집단으로 구분한다. 이후 보수정당 지지를 표명한 명시적 보수와, 무당파 집단 내 잠재집단이지만 명시적 보수와 비슷한 특징을 가진 샤이 보수를 이분변수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결사체 참여 유형이 숙의적 능력과 시민적 덕성을 서로 다르게 배양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정치적 특성을 가진 성찰적 시민에게서 샤이 보수일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분석 결과, 여론조사에서 샤이 보수가 뚜렷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면접원에 의해 수집된 응답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보수정당의 지지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같은 시기 보수정당과 무응답을 합한 비율은 면접원에 의해 수집된 응답의 비율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시기 이전에는 이와 같은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를 정리하면, 해당 시점 이후 면접원의 존재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는 보수정당의 지지율 하락은 여타 정당의 지지율 상승이 아니라, 조사 상황에서 정당일체감을 표명하지 못한 것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샤이 보수는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후 장기간 존재하는 현상이자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무당파 집단의 잠재집단 내부에는 샤이 보수로 이해될 가능성이 있는 집단이 존재한다. 무당파 집단을 세 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리하면, 기존 논의의 비정치층, 비당파층과 함께 샤이 보수로 보이는 새로운 집단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연고집단에 참여하는 경우 투표한 후보와 자신의 정책 선호도와 가까운 정도를 통해 측정한 숙의적 능력이 증가하며, 자발적 결사체에 참여하는 경우 타인에 대한 신뢰를 통해 측정한 시민적 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연고집단이 증진시키는 숙의적 능력과 자발적 결사체가 증진시키는 시민적 덕성이 결합될 때, 샤이 보수일 확률이 가장 높아진다.
본 연구는 샤이 보수라는 집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여론조사의 누적된 자료를 통해 장기적인 시계열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샤이 보수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샤이 보수를 정당일체감이라는 구체적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구체화하고, 성찰적 시민들에게서 샤이 보수가 발견될 확률이 가장 높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샤이 보수를 단순히 캐스팅 보트(casting vote)가 아닌, 민주주의적 주체로서 이해하려 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