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호진

Advisor
권석만
Major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2019. 2. 권석만.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를 특정하여 대상으로 하는 자기초점적 주의(self-focused attention)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체화(somatization)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신체를 대상으로 하는 자기초점적 주의의 기존 측정도구가 두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는 주의 성향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판단 하에, 신체적 변화가 발생했을 때 신체에 주의를 기울이는 일반적인 성향(신체특정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신체에 몰두적인 주의를 기울이는 부적응적인 성향(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새로운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신체를 특정하여 대상으로 하는 자기초점적 주의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1에서는 신체특정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또한 18세 이상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예비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본 척도가 신체특정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22문항을 설정하여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연구 1-2에서는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18세 이상 성인 13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는 높은 내적 합치도와 2주 간격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여, 신체특정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을 측정하는 신뢰로운 도구임이 밝혀졌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와 다른 심리적 변인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는 2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관분석 결과,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의 두 하위 요인은 각각 일반적인 주의 변인, 부적응적 심리적 변인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 본 척도가 타당하게 두 유형의 주의를 구분하면서 측정하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척도의 하위 요인의 총점을 활용하여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 변인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였다. 차이검정 결과,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은 비-몰두적 주의 성향 집단에 비해 심리적 부적응 수준은 높았으며, 심리적 적응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자신의 감정을 자각하고 표현하는 것의 곤란을 의미하는 감정표현 불능증, 질병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을 의미하는 질병태도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18세 이상 성인 29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정표현 불능증과 질병태도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여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특정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가 신체를 특정하여 대상으로 하는 주의 성향의 두 유형을 타당하게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로운 도구임을 보여준다. 또한 신체특정 자기몰두적 주의 성향이 감정표현 불능증, 질병태도와 각각 상호작용하여 신체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wo types of self-focused attention to bodily sensation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somatic self-absorbed attention on somatization. Somatic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defined as general attention that an individual pays to the bodily sensations, whereas somatic self-absorbed attention was defined as attention that an individual pays maladaptively to the bodily sensations in terms of duration time and flexibility.
In Study 1,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evelop a measurement that assesses somatic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somatic self-absorbed attention in order to compensate the limit of earlier measurement that were not able to consider the divisibility of self-focused attention to bodily sensations.
In Study 1-1, preliminary version of Somatic Self-focused Attention Scale(SSAS) was constru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adults over the age of 18,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reliminary version of SSAS was composed of two factors, reflecting Somatic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SGSA) and Somatic Self-absorbed Attention(SSA). 22 item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version of SSAS.
In Study 1-2, data collected from 137 adults over the age of 18 were used to analyz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SAS. SSAS demonstrated adequat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wo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tests were also carried out among SSAS, general attention related variables, and psychological maladaptive variables to examine validity. As a result, SGSA and SS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eneral attention related variables and psychological maladaptive variable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is, group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score of SGSA and SSA, and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maladaptation. Consequently, high scorers on SSA showed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maladaptation but lower level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han those who showed low score on SSA.
In Study 2, the potential role of SSA in the effect of alexithymia, difficulty in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ones emotion, and illness attitude, dysfunctional belief in disease, on somatization was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294 adults over 18 to conduc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higher the level of SSA,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alexithymia and illness attitude on somatization, showing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S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wo types of somatic self-focused attention that differed qualitatively could be validly classified by means of SSAS. It has also suggested that SSA interacted with alexithymia and illness attitude respectively and affected somatization.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