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언론은 어떤 범죄를 선정적으로 보도하는가? : What crime is reported sensationally by the press?
살인범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지원

Advisor
윤석민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19. 2. 윤석민.
Abstract
언론은 모든 사건을 공정하게 보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특정 사건은 매우 선정적으로 보도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범죄보도는 매번 되풀이되듯 그 선정성이 문제로 지적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범죄들이 선정적으로 보도되는지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온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범죄 보도에 초점을 두어, 언론이 어떤 범죄사건을 선정적으로 보도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범죄의 내용을 범죄자 차원, 피해자 차원, 범죄 행위 차원으로 구분하고 차원 별로 적절한 분석유목들을 두었다. 다음으로 각종 언론의 윤리규범들을 참고하여 내용적 차원의 선정성을 5개의 하위 개념들을 통해 정리하였고, 각 하위개념 별로 3-4개의 세부적인 선정적 보도행태 항목들을 두어 총 17개의 항목으로 선정적 범죄보도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들을 가지고 국내 대표일간지 3사에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보도된 살인사건 기사를 대상으로 살인범죄의 내용과 언론의 선정적 보도행태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언론은 남성·전과가 있는 범죄자처럼 사람들이 인식하기에 전형적인 범죄자가 저지른 사건을 더 선정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해자 차원에서는 아동·청소년 피해자, 친족 혹은 타인에 의해 살해된 피해자, 여러 명이 살해당한 사건의 피해자와 같이 비교적 더 비인간적이고 비도덕적인 범죄 사건을 선정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 행위 차원에서는 계획된 범죄를 그렇지 않은 범죄보다 선정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그간 체계화되어 오지 못한 내용적 차원의 선정성을 체계적으로 개념화하였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언론의 선정적 보도 행태를 종합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 점, 선정적 범죄보도의 한 원인으로서 범죄의 내용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8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