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인터넷 개인방송에서 혐오발언은 어떻게 비즈니스가 되는가? : How can Hate Speech a Business in Online Broadcasting: Focusing on a Talk/Camcorder Genre on YouTube and AfreecaTV
유튜브 및 아프리카TV 토크/캠방 방송에서의 여성혐오발언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수

Advisor
윤석민
Major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19. 2. 윤석민.
Abstract
이 연구는 그간 법적 토론의 장이 되어왔던 인터넷 혐오발언 관련 논의를 산업의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혐오가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를 밝히고 이러한 현상의 사회적 함의와 적절한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터넷 개인방송 가운데 토크/캠방 방송 장르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혐오발언이 어떻게 비즈니스로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양대 플랫폼인 유튜브와 아프리카TV에서 동시에 활동 중인 토크/캠방 방송 장르의 대표적 창작자 4명을 선정한 후 이들의 방송 영상 중 100개를 무작위 표집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혐오발언은 영상의 제목, 썸네일, 방송 내용 등에 사용되고 있었으며 각 단계별로 유형과 공격성, 빈도 면에서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제목 및 썸네일에서는 외모나 성과 여성성을 내용으로 하는 특정한 유형의 혐오발언이 대부분 보통 혹은 낮은 수준의 공격성을 띠고 등장하였으나, 방송 내용에서의 여성혐오발언은 나이, 능력, 기타 등을 내용으로 하는 보다 여러 유형의 혐오발언이 더 높은 수준의 공격성을 띠고 있었던 것이다. 이처럼 제목 및 썸네일에 비해 방송 내용에서 더 많은 유형과 높은 공격성의 여성혐오발언이 잦은 빈도로 등장하고 있는 것은 대화의 흥미와 재미, 흐름에 방점이 찍히는 토크/캠방 방송 장르의 장르적 특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이러한 여성혐오발언은 대체로 창작자나 게스트와 같은 제작자들의 주도 하에 시작되고 있었으며, 이들은 대개 자신 혹은 상대방의 여성혐오발언에 공감을 표시하고 동조하는 등의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여성혐오발언에 대한 이들의 관대함 혹은 적극성은, 해당 발언이 혐오발언에 해당한다는 사실이나 그것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또한 방송을 시청하는 이용자들로부터도 많은 호응을 얻고 있었으며 이용자들에 의해서 시작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혐오발언을 근절할 방송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송 환경 속에서 창작자들은 큰 거리낌 없이 혐오발언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사용된 여성혐오발언은 발언이 등장한 위치에 따라서 창작자의 각기 다른 수익과 연관 지어 볼 수 있었다. 먼저 방송 내용에 등장한 여성혐오발언의 경우, 혐오발언의 등장 여부에 따라 후원수익의 증가율이 높아졌으며 공격성이 높은 때 더 큰 후원수익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방송 내용 속 여성혐오발언은 채널 커뮤니티 활동 기반 광고수익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역시 더 높은 수준의 공격성을 띨 때 더 큰 수익이 발생하였다.
반면 제목 및 썸네일에 여성혐오발언이 등장했는지 여부는, 검색 기반 광고수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공격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수익 차이를 보였다. 보통 수준의 공격성을 띨 때 가장 높은 수익 증가율을 보인 한편, 공격성 수준이 그보다 높은 경우에는 오히려 수익 증가율이 낮아졌던 것이다. 따라서 제목 및 썸네일에서의 여성혐오발언이 일정 수준의 공격성을 넘어설 경우, 검색 기반 광고수익 증가율이 오히려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여성혐오발언이 인터넷 개인방송이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획득한 비즈니스로서의 의미와 그 수익구조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산업적, 정책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었다. 첫째 운영방식과 방송환경 등 세분화되어 있는 인터넷 개인방송 장르의 장르적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둘째, 이용자와 창작자 간에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창작자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혐오발언에 대한 문제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방송의 각 단계별로 여성혐오발언이 다르게 전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넷째,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개별 발언, 콘텐츠, 창작자를 사후적으로 처벌하는 조치가 아니라 비즈니스 구조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조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혐오발언과 그 해결방안에 대한 사회적, 학술적 논의가 확장되고, 향후 인터넷 개인방송 산업이 보다 건전한 방송 문화의 토대 위에서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uctures through which revenue is generated through hatred and to suggest the social implications of such revenue generation and appropriate countermeasures. Prior research has considered Internet hate speech from a legal standpoint, as a debate over freedom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This study, however, is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the economic perspective of hate speech. Thus, focusing on the talk/camcorder genre of online broadcasting on YouTube and AfreecaTV, the analysis investigates how misogynistic speech is being used as a busines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100 randomly selected video clips uploaded by the four representative creators.
The results showed that hate speech against women appeared in various outlets of the videos, such as the title and thumbnail, and, most frequently, in the videos conte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and aggressiveness of misogyny among these outlets. In titles and thumbnails, certain types of hate speech about womens appearance or sex and femininity were used, which were mostly associated with moderate or low levels of aggression, while the misogyny in the broadcast was more aggressive and included many types of hatred, such as ageism and ableism. This find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lk/camcorder genre, which mainly focuses on the interest and flow of dialogues.
In general, creators and guests initiated these misogynic remarks and displayed a sympathetic attitude toward their hate speech or that of the other party. Their ease of using misogynistic language is probably due to their lack of awareness that these statements imply hatred for women, which can be a serious problem. Furthermore, in that the prejudiced statements have gained support from audiences and also has been initiated by them, the current broadcasting environment has not been able to eradicate hate speech. In this context, the creators of online broadcasting have no qualms about their use of hate speech.
Meanwhile, these misogynistic remarks have generated different kinds of profits for the creators, depending on where the remarks were made. In the case of the video contents, the emergence of hate speech raised the rate of increase in sponsoring profits, and, the more aggressive the speech was, the higher the rate of increase became. In addition, the hate speech in the contents motivated an increase in advertising revenue based on activities of the channel community
here, a higher level of aggression also resulted in higher profits.
On the other hand, whether or not hate speech against women is included in the title or thumbnail of the video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arch-based advertising revenue. The highest rate of revenue growth was achieved when the level of aggression was normal
when the level of aggression was higher, the rate of revenue growth was lower. Thus, it was clear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search-based advertising revenue would be lower if the aggressiveness of the misogyny in titles and thumbnails exceeded a certain level.
An analysis of the above results reveals aspects of the structure of the business that was acquired by such hate speech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of online broadcasting.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namely that online platforms are benefiting financially from hate speech demand changes in the industry and policy measure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of online broadcasting, such as the operating system and broadcasting environment. Second, considering that two-way communication takes place between the user and the creator in real time, actions should be taken to rais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hate speech not only among creators but also among users as well. Third, it should be noted that misogyny is used differently within each outlet of the media, including title, thumbnail, and content. Fourth,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undamentally, it is required to approach it through business structure, not by meting out punishment for individual remarks or content after the fac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