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베 정권과 일본 안보체제의 변화 : Abe Administration and the Shift in the Japanese Security Syste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준일

Advisor
이정환
Major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2019. 2. 이정환.
Abstract
Japan in the post-war period has been taking a conservative and deliberate approach in changing its security policy. Based on restrictions imposed by the post-war pacifist constitution, Japan adhered to the principle of "exclusive defense (senshu boei)" that allows the use of force only in case of a direct attack on the Japanese soil. Even when Japan pushed for a change, it still enacted a gradual change, while maintaining the essence of exclusive defense. This particular principle served as the basis for Japan's security system that defines security-related policies, norms, laws, institutions, along with how the self-defense forces are shaped and how they are equipped.
In the process of Japan's slow change in its postwar security policy, Japan replaced its defense concept stipulated in the National Defense Program Guideline (NDPG) from the "basic defense force (kibanteki boei)" to the "dynamic joint defense force (togokido boei)." Also, Japan established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and declared to realize proactive pacifism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se changes were made within the boundary of the exclusive defense that defined the postwar Japanese security system. In other words, the principle of exclusive defense itself was Japan's postwar security system.
However, with the Cabinet's decision to permit collective self-defense in 2014 and pass the security legislation, Japan has virtually lifted a restriction on the use of force. This signifies that Japan has leaned toward a balancing strategy instead of an engagement strategy, indicating that the principle of exclusive defense is no longer valid. Such change is noteworthy as it represents Japans departure from the traditional sense of exclusive defense and reflects a fundamental shift in Japan's security system. Therefore, the question of this research is, Why did the change in Japan's security policy, which had been understood as continuity, went beyond marginal alteration and led to a shift in the entire security system in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Previous studies attribute the cause of the shift in the Japanese security system to a structural or agent factor. Former explains that Japans balancing strategy was a natural response to the rise of China. Latter argue that the change in Japan's security policy is the result of Abe's revisionist policy preference. While these traditional discussions provided adequate basis when referring to structure or agent-level analysis, they do not fully explain why the level of change in Japanese security system was exceptionally vivid in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compared to previous ones. In fact, balancing was a strategy not only implemented by Prime Minister Abe but also by other prime ministers since the Koizumi Junichiro administration in the 2000s. This conservative worldview in the field of national security is something that is shared by many Japanese politicians.
Therefore, in order to fully comprehend those factors that caus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Japanese security syste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Japans internal political conditions and policy-making process of each administration that link structure and ag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rise of China are reflected in security discourse in Japan, and how conservative policy preferences are reflect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domestic politic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ise of China led to a domestic consensus on proactive security. Second, the LDPs policy preference on security policy tilted toward seeking a balancing strategy. Third, the government-led (kantei shudo) decision-making process was institutionalized to facilitate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the security policy. Such domestic political factors led to a chang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on collective self-defense or a change in the Japanese security system. Japan's strong drive to realize proactive pacifism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would likely to increase regional tension rather than enhance stability.
지금까지 일본은 안보정책 변화에 있어서 매우 신중하고 보수적인 모습을 보여 왔다. 일본은 전후 평화헌법의 제약 아래 일본 본토에 대한 공격이 있을 경우에만 자위권 차원의 무력행사가 가능한 전수방위 원칙을 고수하면서 변화를 주더라도 전수방위의 원형을 유지한 채 조금씩 느린 변화를 추구해 왔다. 이러한 전수방위 원칙은 일본의 안보체제를 규정하는 안보관련 정책과 규범, 법규, 제도, 자위대와 무기체계의 구성의 기본 전제로 기능해 왔다.
전후 일본의 안보정책이 느리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일본 방위의 기본 방침을 나타내는 「방위계획대강(防衛計画の大綱)」이 규정한 방위 개념이 기반적 방위에서 통합기동 방위로 전환됐다. 또 방위계획대강을 상회하는 최상위 전략문서인 「국가안전보장전략(国家安全保障戦略)」을 제정하여 국제협조주의에 기반을 둔 적극적 평화주의를 실현하겠다고 천명하는 등 안전보장정책 차원의 변화가 있어 왔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모두 전후 일본 안보체제를 규정하는 전수방위 체제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것에 불과한 것이었다. 즉 전수방위 원칙은 전후 일본의 안보체제 그 자체였다.
하지만 2014년의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각의 결정과 이후 이루어진 관련 안보법제의 개정 및 제정으로 일본은 사실상 무력 행사의 제약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안보정책의 균형 추가 관여에서 균형으로 기울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수방위 원칙이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되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전수방위 체제로부터의 이탈은 일본 안보체제의 근간을 바꾸는 것으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왜 연속성으로 이해되어 오던 일본의 안보정책의 변화가 제2기 아베 정권에서 안보체제의 변화로 이어졌는가? 이다.
일본 안보체제의 변화 요인은 주로 중국의 부상이라는 구조적 변화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 중국이 부상하여 일본의 강력한 위협으로 떠오르자 이것에 대한 자연스러운 대응으로 균형 전략이라는 행위 패턴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또 일본의 안보정책의 변화가 수정주의적 색채가 강한 아베 총리의 정책선호의 결과라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와 행위자 중심의 논의는 전후 지속되어 오던 전수방위 원칙이 적극적 방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왜 제2기 아베 정권 때가 되어서야 가시적 정책 산물로 이어졌는지에 대해 완전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균형 전략은 아베 총리 때만 시행한 것이 아니라 2000년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정권 이후부터 일본이 추구하고 있는 대외전략이다. 이러한 보수적인 안보관은 다수의 일본 정치인들이 공유하는 세계관이다.
따라서 일본 안보체제의 변화 원인을 보다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조와 행위자를 연결하여 정책결정 과정에서 결단의 기회를 제공하는 정권별 국내정치 조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즉 중국의 부상이라는 외부적 요인이 일본 내 안보 담론 형성에 어떻게 반영이 되는지, 또 행위자의 보수적 대외전략관이 국내정치 내 갈등과정 속에서 어떻게 안보정책 결정과정에 반영되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부상으로 적극적 안보에 대한 국내적 합의가 형성되었다. 둘째, 안보정책에 대한 자민당 내 정책 선호의 균형 추가 균형 성향의 정책을 추구하는 쪽으로 기울었다. 셋째, 관저주도의 정책 결정과정이 제도화되어 적극적 안보정책의 추진이 용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내정치 요인은 집단적 자위권에 대한 헌법 해석 변경으로 이어져 전수방위 체제로부터의 이탈 즉 일본 안보체제의 변화라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국제협조주의에 기반을 둔 적극적 평화주의 실현을 위한 일본의 강병은 역내 안정보다는 긴장 고조라는 불안 요소를 더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2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