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K-Pop 팬덤 내 사진 이미지 생산 및 소비에 관한 분석 : An Analysi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hotographic Images in K-Pop Fandom Based on 'Photaku' Twitter Usage
찍덕의 트위터 사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수교

Advisor
이중식
Major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디지털정보융합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융합과학부(디지털정보융합전공), 2019. 2. 이중식.
Abstract
팬덤의 고도화와 생산 장비의 발달 및 보급은 팬덤의 생산 능력 강화로 이어졌고, 팬덤의 생산물은 인터넷의 발달 및 보급과 맞물려 팬덤 내・외부에서 널리 유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K-Pop 팬덤 내에서 사진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찍덕의 경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찍덕이 어떠한 활동을 수행하는지와 이 활동들이 트위터 상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트위터 상 K-Pop 팬덤의 활동을 분석하여 찍덕의 트위터 활용 전략, 팬덤 내 구별 짓기 양상 및 찍덕의 팬덤 내 위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찍덕의 활동은 어떠한 성분 및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지와 트위터 상 K-Pop 팬덤의 활동 양상은 어떠한지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심층 인터뷰와 오프라인 관찰로 구성된 사용자 조사, 팬덤 조사와 찍덕 조사로 구성된 트위터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찍덕의 활동을 한 가지의 주 활동 및 세 가지의 보조 활동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주 활동인 사진 촬영 및 배포 유형에는 출사, 프리뷰 사진 업로드, 보정본 사진 업로드 활동이 있다. 보조 활동인 경쟁력 관리 유형에는 정보 수집 및 출사 준비, 팔로워 관리 활동이 있다. 보조 활동인 팬 이벤트 유형에는 온라인 이벤트와 오프라인 이벤트 활동이 있다. 보조 활동인 수익 활동 유형에는 굿즈 제작 및 판매, 대리 촬영 및 데이터 판매 활동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찍덕의 활동이 트위터 상에서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트윗 유형 및 유형별 업로드 패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향력에 따른 찍덕의 트위터 업로드 전략을 확인하였다. 팔로워 수가 높은 찍덕은 프리뷰 사진을 많이 업로드하고 보정본 사진을 적게 업로드하며, 굿즈 판매 트윗을 많이 업로드 한다. 팔로워 수가 낮은 찍덕은 보정본 사진을 많이 업로드하며, 온라인 이벤트 및 공식 콘텐츠 재업로드 트윗 역시 많이 업로드 한다. 찍덕은 자신이 촬영한 사진의 리트윗 수를 높이기 위해 출사 횟수 및 업로드일 수를 높이고, 보정본 사진을 빠른 시일 내에 업로드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트위터 상의 K-Pop 팬덤은 생산 능력과 소비 행태에 따른 팬덤 내부의 구별 짓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찍덕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콘텐츠 생산자 계층이 연예인과 기획사 및 기성 미디어 매체의 바로 아래, 즉 팬덤 내에서 가장 상위 권력을 차지하며, 팬덤 내 콘텐츠 소비자 중 적극적인 소비 활동을 통해 구별 짓기를 수행한 집단이 그 아래를 차지한다. 가장 아래에는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일반적인 콘텐츠 소비자들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연예 산업의 팬덤 내 다른 콘텐츠 생산자 그룹, 혹은 타 분야 팬덤 내 콘텐츠 생산자 그룹을 분석할 때의 기초 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dvancement of fandom and the dramatic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production equipment has led to the enhancement of fandom's production capacity. Fandom's products have become widely distribut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fandom due to the power and ubiquity of the internet. This phenomenon is exemplified by 'photaku', thos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hotographic images within K-Pop fandom. This study explores the photaku's activities and how they are reflected on Twitt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activities of K-Pop fandom on Twitter, and identifies the Twitter usage strategies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K-Pop fandom and the influence of photaku on the fandom.
This study addresses two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photaku's activities, and what are the activities of K-Pop fandom on Twitter.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I conducted a user study consisting of an in-depth interview and offline observation. I also conducted a Twitter activity analysis of both photaku and fandom.
The study classified photaku's activities into one main activity, photography and content distribution, and three secondary activities: competitiveness management, fan event and monetization. Photography and content distribution include photo-taking, uploading preview images and uploading edited images. Competitiveness management includes information gathering, preparation for photo- taking, and follower management. Fan events include online events and offline events. Monetization includes making and selling goods, surrogate shooting and data sales. The classification of photaku activity is reflected on Twitter by tweet type.
I confirmed photaku's Twitter upload strategies based on their influence. I found that photaku with many followers upload a higher percentage of preview photos, and photaku whose photos have a high number of retweets attend more photo-taking events, have more uploading dates, and upload edited photos faster. I confirmed that K-Pop fandom on Twitter distinguishes itself within fandom according to production capacity and consumption behavior. The content producers, the majority of whom are photaku, occupy the top position in the fandom, right below the entertainers, the management and promotion agencies and the established media. Among content consumers in the fandom, the group distinguished by active consumption activities are situated right below the content producers. At the bottom are general content consumers who represent over 90% of the tota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analyzing content creators in the fandom of the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and other field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