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금과 100인의 대금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죽정(竹亭)> 분석연구 : An Analysis on Jukjeong: Concerto for solo daegeum and 100-piece daegeum orchestr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방초롱

Advisor
김경아
Major
음악대학 음악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19. 2. 김경아.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structure and the core scales in the concerto Jukjeong, which is composed by Eun-Gu Kang for solo daegeum and a 100-piece daegeum orchestra. The paper also explores the musical features of the piece and how the acoustic result of this new form of a concerto as a 100-piece daegeum orchestra is composed harmoniously by doing a horizontal analysis of the orchestral melody played by the solo daegeum and a vertical analysis of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solo daegeum and the 100-piece daegeum orchestra.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piece is divided into a total of 5 parts, which are designated as A,B,C,D and E. Each part carries a certain descriptive element introduced by the composer via words that symbolize the scene of a bamboo forest: for e.g., part A expresses green …
part B expresses straight …
part C expresses amply …
part D expresses in a sway-like motion …
and finally, part E expresses Jukjeong, which depicts the entire scenery as the concluding image.

Second, it is shown from the analysis of the horizontal melody in the daegeum solo that the melody of Yeongsan hoesang sangyeongsan is either being played directly or is being variated and expanded via melodic progressions in major 2nd, perfect 4th, and 5th intervals. Also, the motif of the main melodic line of Yeongsan hoesang sangyeongsan is revealed in the sigimsae of the daegeum or in the sustained notes within the long lyrical songs.

Third, out of the melodic lines in the daegeum solo part, the melody ㉰ which has the most number of appearances and variations in the form of a sixteenth note rhythm is shown to be the main melody of the entire piece. By making frequent use of semitonally progressive melodic lines of minor 2nd and augmented 2nd via the melodic line ㉰, the composer create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lassical music by infusing the symbolic character of the yangryul and eumryeo of the 12 yullyeo system into each note.

Fourth, by analyzing the melody of the daegeum solo part, it is shown that while each part of the piece is composed of melodies that are either a repetition, variation, or expansion of the melodies that appear in part A, a clear contrast can be found in part D where the Bongdongchae jangdan (which is a shamanic jangdan) becomes introduced in against the classical, court music jangdan rhythmic flow used in the previous parts. Through this change, the largest number of new rhythmic forms appear, variate, and are repeated here to express the climax of the piece.

Fifth, this particular melody ㉰, which has just been shown to have the most number of repetitions and variations—and hence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entire piece—is discovered to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not only the solo daegeum but also the daegeum orchestra through rhythmic and melodic imitations.

Sixth, by approa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egeum orchestra and the solo daegeum melody from a contrapuntal and harmonic standpoint, heterophony, which is a texture found in traditional music, was found to be the most characteristic texture structure. Through this heterophonic texture, this piece not only realizes the acoustic function of a classical daegeum playing in classical court music but also offers a modern interpretation of it.

Through this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 concerto Jukjeong for solo daegeum and a 100-piece daegeum orchestra effectively uses a new modern ensemble in the form of a 100-piece daegeum orchestra via maximizing the tone color and the acoustic effect of the classical daegeum by utilizing the heterophonic texture of traditional music.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xpanding musical knowledge of players seeking for new forms of concerto and in developing creative pieces composed for daegeum.
본 연구는 강은구 작곡, 대금과 100인의 대금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을 분석하여 전체 악곡의 구조와 주요 음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협주 선율인 대금 독주 파트를 수평적으로 분석하고 100인의 대금 오케스트라와 대금 독주 파트의 유기적 관계를 수직적 분석하여 곡이 가진 음악적 특징과 새로운 합주 형태인 100인의 대금 오케스트라의 음향적 결과물이 어떻게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본 곡의 악곡 구성은 A, B, C, D, E 5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부분은 대나무 숲의 정취를 상징하는 말들로 작곡가가 제시하는 나타냄 말이 있는데 A부분은 푸르게.., B부분은 반듯하게...., C부분은 넉넉하게... D부분은 일렁이듯이..., E의 나타냄 말은 죽정(竹亭)으로 전체의 풍경을 큰 시야로 바라보는 마무리 부분의 상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대금 독주 파트의 수평적 선율 분석결과 영산회상 상령산의 선율이 그대로 연주되거나 장2도, 완전4도, 완전5도 관계의 선율진행을 통해 변화 확장되고 있고, 대금의 시김새나 긴 시가의 지속음 등으로도 영산회상 상령산의 모티브 주제선율을 드러내고 있다.

셋째, 대금 독주 파트의 선율 중 16분음표 리듬형으로 가장 많은 출현과 변형이 나타나는 특정 선율 ㉰는 본 곡의 대표선율임을 알 수 있었다. 작곡가는 ㉰선율을 통해 반음계 진행의 단2도 증2도의 순차적 선율선을 자주 출현시켜 전통음악에서 12율려가 가지고 있는 양률과 음려의 상징성을 각각의 음에 부여하여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넷째, 대금 독주 파트의 선율 분석결과 악곡의 각 부분은 처음 A부분에서 제시된 선율들의 반복과 변형, 확대된 선율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D에서는 무속 장단인 봉동채 장단의 등장으로 앞부분들의 아악계통의 정악 풍의 장단의 흐름에서 대비되는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가장 많은 새로운 형태의 리듬의 등장과 변형, 반복을 보이고 있으며 곡의 클라이막스를 표현하고 있다.

다섯째, 대금 독주 파트 선율 분석을 통해 가장 많은 반복과 변형으로 곡의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난 특정 선율 ㉰는 리듬과 선율의 모방을 통해 대금 독주파트 뿐만 아니라 대금오케스트라와도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여섯째, 대금 오케스트라와 대금 독주 파트 선율과의 관계를 대위적, 화성적 관계로 살펴본 결과 성부조직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전통음악의 성부조직 구조인 헤테로포니로 나타났다. 이러한 헤테로포니 성부조직 구조를 통해 본 곡은 정악 합주에서 드러나는 전통 정악 대금의 음향적 역할을 구현하고 현대적으로 해석해내고 있다.

본 고의 분석연구를 통해 대금과 100인의 대금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은 전통음악의 성부조직적 특징을 사용하여 정악대금의 음색적, 음향적 효과를 배가 시키고 있으며 이를 통해 100인의 대금오케스트라라는 새로운 합주형태의 현대적 앙상블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합주 형태에 대한 연주자들의 음악적 이해를 넓혀 대금 창작곡 발전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