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기반 담낭담석, 담낭절제술과 간∙담도∙췌장암 발생 위험도 연구 : Gallstone, cholecystectomy and risk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단

Advisor
신애선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9. 2. 신애선.
Abstract
담석은 성인인구에서 흔히 발생되는 질환이다. 인구의 고령화, 식습관 변화 그리고 진단기술의 발전으로 담석으로 진단받은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담낭절제술은 증상이 있는 담낭 질환의 표준적인 치료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복강경담낭절제술의 도입으로 담낭절제술 건수가 해마다 증가되고 있다. 일부 역학 연구에서는 담석, 담낭절제술과 간암, 담도암, 췌장암 발생에 연관성이 있다고 제기하여 왔다. 하지만 기존 발표된 연구들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않았기에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존재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담낭담석, 담낭절제술과 간암, 담도암, 췌장암의 발생 사이에 연관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고 전 국민을 대표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자료에서 제공하는 2002년부터 2015년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세이하의 대상자는 제외하였고 등록 시점에 암의 발생하였을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2002-2003년 간암, 췌장암, 담도암을 진단 받은 대상자, 같은 시점에서 담낭담석, 담낭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제외하여 704,437명이 연구에 포함 되었다. 담낭담석(K800, K801, K802)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7차 개정판(KCD-7) 기반 질병 코드로 확인하였고 담낭절제술은 건강보험행위 분류에서 해당 수가 코드(Q7380, Q7410)로 확인하였으며 추적 기간 동안 처음 청구된 일자를 최초 진단일 혹은 수술일로 추정하였다. 간암(C22, C220, C221), 담낭암(C23), 담도암(C24, C240, C241), 췌장암(C25)은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10차 개정판(ICD-10) 기반 코드로 확인하였고 입원과 주상병 또는 부상병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간접 표준화 방법으로 담낭담석 진단 혹은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간∙담도∙췌장암 발생 건수와 전체 코호트 집단에서 산출한 기대 간∙담도∙췌장암 발생건수를 비교하였고 담낭담석 또는 담낭절제술 노출 유무에 따라 콕스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결과와 추적관찰기간의 여러 시간간격을 고려한 결과를 각각 제시하였다.
전체 코호트에서 담낭담석 상병코드를 보인 대상자의 비율은 2.4%이고 담낭절제술을 시행한 대상자의 비율은 1.4%이었다. 담낭담석 또는 담낭절제술 환자군에서 간∙담도∙췌장암의 발생과 전체 코호트군에서 간∙담도∙췌장암의 기대 발생을 비교한 표준화 발생비는 간∙담도∙췌장암, 간암, 담도암, 췌장암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관련성이 감소 되었다. 또한 담낭담석, 담낭절제술 유무에 따라 각각 암종에 대응되는 교란요인을 보정하여 간∙담도∙췌장암 발생 위험도를 관찰하였고 담낭담석군에서 간∙담도∙췌장암은 2.16배(95% 신뢰구간 1.92-2.42), 간암 2.21배(95% 신뢰구간 1.92-2.53), 담도암 2.97배(95% 신뢰구간 2.30-3.84), 췌장암 1.54배(95% 신뢰구간 1.13-2.10) 위험도가 높았지만 진단 이후 1, 3, 5년이 지난 시점에서 오히려 관련성이 감소되었다. 세부부위인 간내담도암, 간외담도암, 담낭암, 바터팽대부암은 발생 위험도가 높았지만 역시 진단 이후 시간이 지나면 유의하지 않는 증가를 보였다. 담낭절제술군에서 간∙담도∙췌장암은 2.03배(95% 신뢰구간 1.72-2.39), 간암 1.59배(95% 신뢰구간 1.26-2.01), 담도암 3.02배(95% 신뢰구간 2.15-4.25), 췌장암 2.78배(95% 신뢰구간 2.03-3.83) 위험도가 높았지만 수술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되었고 세부부위인 간내담도암에서만 2.68배(95% 신뢰구간 1.63-4.40)였던 위험도가 5년 이후에도 4.08배(95% 신뢰구간 1.94-8.61)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연구에서 담낭담석이 간∙담도∙췌장암 발생 위험도를 높이는 것은 인과관계보다 암과 동반된 담낭담석 진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담낭절제술 후 간암, 담도암, 췌장암 발생 위험도가 높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위험도가 감소하여 일반 인구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세부부위인 간내담도에서만 수술 후 시간이 지날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담낭절제술 후 간내담도암 발생 위험도 증가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한다.
Purpose: Several epidemiology studies have suggested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as a possible risk factor for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isk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in patients with gallstone or who underwent cholecystectomy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database of 2002-2015. The observed numbers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developed after diagnosis of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were compared to expected numbers calculated from the total cohort, thus providing standard incidence ratio (SI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 The associations of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association with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risk were estim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s applying different lag periods after diagnosis of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Results: In total, 704,437 individua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them, gallstone prevalence was 2.4%, and 1.4% individuals received cholecystectomy. The risk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were elevated among patients with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When we considered lag time after diagnosis of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the calculated SIRs decrease as the durations increase. The hazard ratios of hepato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were increased in gallstone patients (HR 2.16, 95% CI 1.92-2.42) and patients received cholecystectomy (HR 2.03, 95% CI 1.72-2.39). The associations were consistent in liver cancer, biliary tract cancer, pancreatic cancer, and other subsites.
Conclusion: Gallstone and cholecystectomy elevate the risks of developing liver, biliary, and pancreatic cancer. However, the strength of associations between those conditions and cancers decrease over time expect for intrahepatic bile duct cancer. These associations observed may be the results of increased detection rate in patients with gallstone or cholecystectom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