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after Surgical Resection :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간내 담관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건

Advisor
류지곤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9. 2. 류지곤.
Abstract
Background and Aims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HC) is the second most common primary liver malignancy. IHC is a distinct entity that differs from perihilar or distal cholangiocarcino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IHC patients after surgical resection. In particular, we aimed to investigate prognostic impact of perioperative carbohydrate antigen 19-9 (CA 19-9) on survival outcomes.

Methods
Medical records of IHC patients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st, 2012 through December 31st, 2016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ll adults 20 years or older with a histologic diagnosis of IHC who had undergone surgical resection were included. Patients with IHC who had undergone preoperative treatment including chemotherapy, photodynamic therapy,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or radiofrequency ablation were excluded. Patients with mixed hepatocellular carcinoma-cholangiocarcinoma or with a history of concomitant malignancy within 5 years were excluded. Patients with R2 resection were excluded. Patients with pre- and post-operative CA 19-9 levels less than 2U/ml were judged to be non-secretors and excluded. Patients were stratified by pre- and post-operative CA 19-9 levels
group 1 (normal preoperative CA 19-9), group 2 (high preoperative but normalized CA 19-9) and group 3 (high pre- and post-operative CA 19-9). Clinicopathologic data and recurrence-free survival (R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77 patients were reviewed. The mean age of all patients was 64.2 years and 54.5% of them were men. Thirty-eight patients had normal preoperative CA 19-9 levels (Group 1). Among 39 patients with high preoperative CA 19-9 level, 12 patients had normalized postoperative CA 19-9 levels (Group 2) while 27 patients had high postoperative CA 19-9 levels (Group 3). Recurrence occurred in 46 (59.7%) and death occurred in 37 (48.1%) patients. Of the 46 patients with recurrence, 17 patients (37.0%) developed an initial isolated locoregional recurrence
14 patients (30.4%) developed distant recurrence
and 15 patients (32.6%) developed simultaneous locoregional and distant recurrences.
The median RFS and OS of all patients were 10.5 months and 35.7 months, respectively. Group 1 and group 2 had better RFS than group 3 (median RFS 26.5 months, 11.3 months, and 5.7 months
P = 0.04 and P <0.001,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FS between group 1 and group 2 (P = 0.2). Group 1 had better OS than group 2 and group 3 (median OS unavailable, 29.3 months, and 15.7 months
P = 0.02 and P <0.001, respectively). Group 2 had better OS than group 3 (P = 0.04). In multivariable analysis, lymph node metastasis, non-normalization of CA 19-9, and ALP ≥115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oor OS. Positive surgical margin and group 3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oor local RFS while lymph node metastasis, NLR≥3, and group 3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poor distant RFS.

Conclusions
Non-normalization of CA 19-9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OS, local RFS, and distant RFS in resected IHC patients. Positive surgical margin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local RFS and lymph node metastasis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distant RFS.
서론
간내담관암은 간에서 발생하는 두 번째로 흔한 원발암으로, 간문부 담관암, 원위부 담관암과 다른 고유한 질병이다. 수술적 절제만이 유일한 근치적 치료이지만, 진단 당시 수술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수술 절제를 시행한다 하더라도 재발이 흔하고 예후가 불량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간내담관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수술 전후의 carbohydrate antigen 19-9 (CA 19-9)이 생존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병원을 방문한 간내 담관암 환자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0세 이상의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간내 담관암 환자로,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간내담관암으로 확진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선행화학요법, 광역동 치료, 경동맥 화학 색전술 또는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한 적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혼합형 간세포-담관암 환자와 5년 이내 동반된 악성 질환이 있는 경우 제외하였다. 육안 적으로 불완전 절제인 경우도 제외하였다.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CA 19-9 수치가 2 U/ml 미만인 경우 비분비자로 판단하여 제외하였다. 환자를 수술 전후 CA 19-9 수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group 1 (수술 전 CA 19-9 수치가 정상인 경우), group 2 (수술 전 증가된 CA 19-9 수치가 수술 후 정상화된 경우), 그리고 group 3 (수술 전 증가된 CA 19-9 수치가 수술 후에도 정상화되지 않은 경우). 임상병리학적 자료를 검토하였고,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77명의 간내담관암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64.2세였고, 남성이 54.5%였다. 수술 전 CA 19-9 수치가 정상인 경우 (Group 1)이 38명이었고, 수술 전 CA 19-9 수치가 증가된 39명의 환자 중에서 수술 후 CA 19-9 수치가 정상화된 경우 (Group 2)가 12명이었고, 수술 후에도 CA 19-9 수치가 정상화되지 않은 경우 (Group 3)가 27명이었다. 46명 (59.7%)의 환자에서 재발이 확인되었고, 37 (48.1%)에서 사망이 확인되었다. 재발한 46명의 환자 중에서 17명 (37.0%)의 환자는 국소 재발이었으며, 14명 (30.4%)은 원격 전이였고, 15명 (32.6%)의 환자는 국소 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발생하였다.
무재발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0.5개월이었고 전체생존기간의 중앙값은 35.7개월이었다. Group 1과 Group 2는 Group 3에 비해 무재발생존기간이 길었다 (중앙 무재발생존기간 26.5개월, 11.3개월, 5.7개월
P = 0.04 and P <0.001). Group 1과 Group 2의 무재발생존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2). Group 1은 Group 2와 Group 3에 비해서 전체생존기간이 길었다 (중앙 전체생존기간 측정불가, 29.3개월, 15.7개월
P = 0.02 and P <0.001). Group 2는 Group 3보다 전체 생존기간이 길었다 (P = 0.04). 다변량 분석에서 림프절 침범, Group 3, ALP ≥115가 불량한 전체생존기간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확인되었다. 절제연 양성과 Group 3는 불량한 무국소재발 생존기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으며, 림프절 침범, NLR≥3, Group 3는 무원격재발생존기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다.

결론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간내 담도암 환자에서 수술 후 증가된 CA 19-9은 불량한 전체 생존기간, 무국소재발생존기간, 무원격재발생존기간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이다. 수술 절제연 양성은 무국소재발생존기간의 예측 인자이며, 림프절 침범은 무원격재발생존기간의 예측 인자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4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