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傳 姜希顔 筆 <折梅揷甁圖>, <小僮開門圖>, <高士渡橋圖> 硏究 : A Study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Attributed to Gang Huian (1417-1464)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설서현

Advisor
장진성
Major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19. 2. 장진성.
Abstract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Jeolmaesapbyeong do, 折梅揷甁圖), Boy Opening a Door (Sodonggaemun do, 小僮開門圖),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Gosadogyo do, 高士渡橋圖) are included in Collected Paintings Attributed to Gang Huian and Sin Saimdang (Jeon Gang Huian Sin buin deung pil hwajip, 傳姜希顔申夫人等筆畵集)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revious studies supposed that the three paintings were attributed to Gang Huian (Kang Hŭian 姜希顔, 1417-1464).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no inscriptions or seals left on the three paintings, the previous studies omitted the investigation on who the painter was and when the three works were painted. In addition,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the whole theme of the original painting which combines the three paintings into one.

To make up for these problems, I analyzed in detail the original composition, the painter, the nationality, the date of production, the theme, and the images of the three paintings. Through this research, I argued that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were originally the parts of one painting produced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and the subject matter of the original painting was bangwu (訪友, visiting a friend). Accordingly, I named the title of the original painting Noble Scholar Visiting a Friend (Gosabangwu do, 高士訪友圖). Furthermore, I verified that Noble Scholar Visiting a Friend could explain the early Joseons embracement and adjustment of the Ming Dynastys Zhe School (浙派) style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literatis leisure activities at scenic pavilions and their gardening.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Bottl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are basically the same in terms of representing the figures and house structures like slopes of the walls, roofs, and baselines. This is the major piece of evidence to show that these three paintings originally belonged to one painting. Also, by combining the eaves of the roof on the upper left side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and the baselines of the house in the upper left corner of Boy Opening a Door, it can be inferred that the original painting had a house inside the wall before the three paintings were separated. In addition, the images of a scholar and a young servant in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are naturally connected to the image of a boy greeting guests in Boy Opening a Door. To sum up, the original painting might be composed of a scholar and a young servant crossing a bridge toward a house, a boy opening the door to welcome them, and two boys in the garden preparing for reception of guests.

According to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styles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it is hard to affirm these three paintings as the works of Gang Huian who was active in the middle of fifteenth century. The main style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is the early Zhe School style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Ming courts representative landscape style during the reigns (1465-1505) of the Chenghua (成化) and the Hongzhi (弘治) emperors. Considering that the Zhe School style of the Ming court was embraced by Joseon after the late fifteenth century, it is highly improbable that Gang Huian created the three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fifteenth century. In addition, the nationality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can be assumed to be Joseon Korea because these paintings show the Joseon style adapted out of the Zhe School style in the expression of the axe-cut texture strokes (斧劈皴) and the drapery of the clothes.

The axe-cut texture strokes in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show the influence of the late fifteenth centurys Zhe School style, which came in and prevailed in Joseon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These axe-cut texture strokes show the earlier style than those in Lofty Scholar Contemplating Water (Gosagwansu do, 高士觀水圖), which was re-evaluated as a sixteenth century painting.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three paintings were painted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Before being separated into three paintings, the original painting is regarded to follow the composition and images of the Zhe School painters Bangwu do (訪友圖), whose theme is visiting a friend. The Visiting a Friend paintings generally have the following compositional elements: a scholar heading toward a house, a house as a destination, and a host inside the hou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fer that the original painting, Noble Scholar Visiting a Friend, might have the image of a host waiting for a guest inside the house. The symbolic meaning of visiting a friend in the original painting is deeply related to that of the nujeong (樓亭, pavilion) which is commonly described as the background of Bangwu do. In Noble Scholar Visiting a Friend, the nujeong is described as a luxurious tile-roofed house with a splendid garden and young servants. Accordingly, the nujeong is considered to reflect high-ranking officials leisure activities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Joseon. At that time, Joseons high-ranking officials enjoyed various social activities with friends, appreciating gorgeously decorated gardens, holding poetry gatherings (sihoe, 詩會), and writing essays on pavilions (nujeong gi, 樓亭記). Friends visit to a nujeong had the effect of raising the value of the nujeong and the reputation of the nujeongs owner. The friends who visited the nujeong praised its gorgeous scenery and portrayed it as a space reflecting the hermitic aspect of its owner longing for seclusion. Noble Scholar Visiting a Friend seems to represent the symbolic meaning of the nujeong.

Noble Scholar Visiting a Friend mostly follows the archetype of the Zhe School painters paintings of the same subject. However, the images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jeolmaesapbyeong, 折梅揷甁) and the garden with a pine tree, a bamboo, a plum tree, an oddly shaped rock, and potted plants are differentiated from Visiting a Friend paintings by Ming Zhe school mast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garden in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is depicted with special objects such as Three Friends of Winter (Sehansamu, 歲寒三友) and Three Beneficial Friends (Samikjiu, 三益之友), which serve to convey the symbolic meaning of Confucian values to the Joseon literati. The image of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symbolizes the gathering of friends and the longing for seclusion. To support this, I suggested the historical records that the gathering to appreciate plum blossoms (sangmaehoe, 賞梅會) was well establish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 addition, the expression cutting a plum branch (jeolmae, 折梅) signified the longing for a friend based on Lu Kai (陸凱, 198-269)s story. Furthermore, the Joseon literati generally considered plum blossoms in the garden to be the symbol of the longing for seclusion.

The meaning of the gardening image in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can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flourish of horticulture, as such horticultural publications as Yanghwasorok (養花小錄, 1474) suggest. The gardening culture of the early Joseon period was influenced by Korean literatis horticultural pursuits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at famous pavilions. The early Joseon literatis horticultural pursuits, largely inspired by Northern Song men of culture,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longing for seclusion and the idea of governing a nation and providing relief to people (gyeongsejemin, 經世濟民) through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gyeokmulchiji, 格物致知). These two horticultural pursuits, summarized as seclusion (eunil, 隱逸) and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chulsa, 出仕), were not contradictory but complementary. In general, the early Joseon literati built gardens as substitutes for their reclusive lives. On the other hand, some literati tended to regard horticultural activities as wanmulsangji (玩物喪志, indulging too much in what one likes and losing ones sense of purpose). While being aware of the danger of gardening, they legitimized their horticultural activities by granting Confucian values to plants and rocks. Accordingly, various images of trees, plants, and an oddly shaped rock in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can be understood as the symbols connoting the Confucian values and reflecting the horticultural pursuits of the early Joseon literati.

In this study, I argued that Cutting Plum Branches and Putting Them into a Vase, Boy Opening a Door, and Noble Scholar Crossing a Bridge were not painted by Gang Huian in the middle of fifteenth century but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I also argued that the composition and images of the original painting were derived from those of Visiting a Friend paintings by Ming Zhe school masters. Furthermore, I closely examined how Visiting a Friend paintings gained popularity in the early Joseon period during which horticultural pursuits by scholars and officials flourished and their leisure activities at scenic pavilions reached a peak.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는 『전강희안·신부인등필화집(傳姜希顔申夫人等筆畵集)』에 속해 있는 작품들이다. 와 는 『이왕가박물관 소장품사진첩 회화지부(李王家博物館所藏品寫眞帖繪畵之部)』(1933)에 강희안(姜希顔, 1417-1464)의 전칭작(傳稱作)이자 단편(斷片)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는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권14(1934)에 강희안의 전칭작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 , 를 15세기 중엽에 활동한 강희안(姜希顔, 1417-1464)의 전칭작으로 상정하였으며 세 작품들이 본래 한 작품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세 작품들 내에 제발(題跋)이나 관지(款識)가 전혀 남아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작품의 작가 및 연대 비정에 대한 체계적인 고증 과정이 생략되었다. 또한 세 작품들을 종합한 원본의 구체적인 구도와 전체 주제 및 도상의 의미 등에 대한 연구 역시 진전되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필자는 , , 의 현재 작품 상태, 원본 구도, 작가, 국적, 제작연대, 주제, 도상 등에 대한 분석을 세밀하게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필자는 , , 가 본래 하나의 작품에서 산락(散落)된 편화(片畵)들임을 밝혔다. 아울러 필자는 산락 이전의 원본 작품이 16세기 초반에 제작된 조선 초기 방우도(訪友圖) 유형에 해당됨을 제시하였으며 원본 작품의 제목을 로 명명(命名)하였다. 나아가 , , 가 명대(明代) 절파화풍(浙派畵風)의 수용 및 변용(變容) 양상과 조선 초기 문인들의 누정문화(樓亭文化) 및 원예문화(園藝文化)를 설명해줄 수 있는 작품임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 , 는 기본적으로 인물, 가옥 구조의 표현 방식, 담장·지붕·기단 경사선의 기울기, 화풍이 동일하여 본래 한 작품에서 산락된 편화(片畵)들로 판단된다. 또한 의 좌측 상부에 일부 남아 있는 지붕의 처마 부분과 의 좌측 상부 모서리에 남아 있는 가옥의 기단 선을 조합해 보면, 세 작품들이 산락되기 이전의 원본 작품에서 담장 안쪽에 가옥 형태의 건축물이 존재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아울러 의 다리를 건너는 고사(高士)와 시동(侍童)의 도상은 손님을 맞이하는 의 시동 도상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를 종합해 보면 산락 이전의 원본 작품은 가옥을 향해 다리를 건너는 고사와 시동, 그들을 맞이하기 위해 문을 열고 있는 시동, 원림에서 손님맞이 준비를 하는 시동들과 담장 안쪽의 가옥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의 작가, 국적, 제작연대와 관련하여 작품들의 세부 양식을 분석해 보면 이 그림들이 15세기 중엽에 활동한 강희안과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우선 , , 에 나타난 절파 화풍이 명대 궁정화풍의 대표적인 산수화 양식으로 확립된 시점이 성화(成化)·홍치(弘治) 연간(1465-1505)에 이르는 15세기 후반 무렵이었음을 고려해 볼 때, 이 작품들의 작가를 15세기 중엽의 강희안으로 상정하기 어렵다.
아울러 , , 의 부벽준(斧壁皴), 의습선 표현 등에서 조선식으로 변용(變容)된 양식이 나타나므로 이 작품들의 국적은 조선에 해당된다.
속에 보이는 부벽준은 15세기 말 명대 절파식 부벽준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조선 화단에 15세기 말의 명대 부벽준 표현이 유입되어 성행하게 된 시점은 16세기 초반으로 판단된다. 또한 속 부벽준은 16세기 전반 작품으로 새롭게 비정되고 있는 의 광태사학파적인 부벽준보다 이전 시기의 부벽준이다. 아울러 작품 속 인물의 의습선에서도 16세기 초반의 표현이 확인된다. 따라서 의 제작연대는 16세기 초반으로 비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 , 가 산락되기 이전의 원본 작품은 가옥으로 향하는 고사, 목적지에 해당되는 가옥, 가옥 안의 주인 도상을 특징으로 하는 명대 절파식 방우도(訪友圖)와 구도·도상 면에서 강한 친연성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방우(訪友) 구도를 따르고 있는 , , 의 원본 작품에서도 가옥 안에 벗을 기다리는 주인의 도상이 묘사되었을 개연성이 높다.
의 배경으로 묘사된 누정(樓亭)은 시동들과 원림을 갖춘 대저택으로 묘사되어 있으므로 16세기 초반 훈구파(勳舊派)를 중심으로 한 고위 관료의 누정을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16세기 초반에 성행한 누정문화는 벗을 초대해 원림(園林)을 감상하는 일, 시회(詩會)를 열어 시문을 짓는 일, 누정기(樓亭記)를 작성하는 일 등 벗과의 다양한 사교 활동들이 그 주요 특징이었다. 당시 누정문화에서 벗의 방문은 단순한 친목 도모의 수준을 넘어 누정의 가치와 누정 주인의 명망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누정을 방문한 벗들은 누정의 수려한 경관을 상찬함과 동시에 누정을 은일에 대한 동경과 누정 주인의 신선적 면모를 반영한 공간으로 묘사하였다. 에 묘사된 누정 배경의 방우(訪友) 도상 역시 조선 초기 누정문화에서 벗의 방문이 지닌 상징적 의미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는 전반적으로 명대 절파식 방우도의 도상과 구도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매화 가지를 꺾어 병에 넣는 절매삽병(折梅揷甁) 도상과 송(松), 죽(竹), 매(梅), 괴석(怪石), 화분 등이 어우러져 있는 원림 내부(內部) 도상이 강조된 점은 명대 절파식 방우도와 차별되는 부분이다. 특히 에는 조선 문인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녔던 세한삼우(歲寒三友), 삼익지우(三益之友)와 같은 원림 구성물들이 묘사되어 있어 주목된다.
우선 절매삽병 도상은 벗과의 만남과 은일에 대한 동경을 시사한다. 필자는 이에 대한 근거로 상매회(賞梅會)가 조선 문인들의 누정문화로 정착되어 있었다는 점, 절매(折梅)가 육개(陸凱, 198-269) 고사(故事)에 의거하여 벗에 대한 그리움으로 이해되었다는 점, 원림 안의 매화나 분매(盆梅)가 은일에 대한 동경을 상징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속 원예(園藝) 도상의 의미는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1474) 등에 반영되어 있는 15·16세기 조선 초기 문인들의 원예 관련 문화와 인식(認識)을 토대로 파악될 수 있다. 조선 초기 문인들의 원예문화(園藝文化)는 누정문화 및 북송 사대부의 의식세계(意識世界) 등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조선 초기의 원예에 대한 인식은 크게 은일(隱逸)에 대한 동경과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통한 경세제민(經世濟民)의 두 축으로 나누어진다. 은일(隱逸)과 출사(出仕)로 요약될 수 있는 이 두 가지 인식(認識)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개념이었다. 출사에 나선 관료문인(官僚文人)들은 은일을 대신하는 의미에서 원림을 조성하였다. 단, 관료문인들은 은일에 대한 동경을 내세웠지만 실제 원림은 화려하게 꾸며 주목된다.
한편 조선 초기에는 원예활동을 완물상지(玩物喪志)로 여기는 부정적 인식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이를 의식한 조선 초기 관료문인들은 원예활동에 격물치지와 경세제민의 유교적 가치와 이념을 부여함으로써 자신들의 원예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다. 세한삼우와 삼익지우에 해당되는 도상들이 구체적으로 묘사된 에는 조선 초기 문인들의 원예에 대한 인식과 이상적(理想的)인 원림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 , 가 강희안의 전칭작이 아닌 16세기 초반의 조선 회화임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또한 세 작품들이 산락되기 이전의 원본 구도와 도상이 명대 절파식 방우도(訪友圖)에 연원을 두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작품 제작 당시 성행했던 조선 초기의 누정문화(樓亭文化)와 원예문화(園藝文化)를 심층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작품 속 방우(訪友) 도상과 원림 관련 도상들의 상징적 의미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0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