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근대전환기 한국 지식인의 진보적 시간의식 연구 : A Study of the linear Time Consciousness of Korean Intellectuals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Modern Er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명재

Advisor
허수
Major
인문대학 국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19. 2. 허수.
Abstract
The period from the opening up of the nations ports to the world 開港 (1876) to the first half of the 1920s can be seen as one of the modern transition of time consciousness in Korean history, and it saw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modern Western ideas and the countrys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朝鮮 王朝 (1392-1910). However,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Wests linear time consciousness was introduced into Korea did not proceed in a one-sided and abrupt manner. Here was the active intervention of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which combined with contemporary time consciousness and was used to form Koreans unique time conscious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lucidating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inear time consciousness in the modern age in Korea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estern concept of progress and Koreans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In the West, the concept of progress, which presupposes the progress of universal history, came to be formed around the 18th century. In contrast, the word jinbo 進步 (one translation of the Western word progress today) was used mainly to signify individuals moral and academic improvement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Meanwhile, as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embracing linear time consciousness, the theory of legitimacy 正統論 reflected time consciousness in terms of continuity in guaranteeing the identity of the Eastern Kingdom 東國 (vis-à-vis China
i. e., Korea) and the succession of culture originating from Jizi 箕子 (11th century BC), a semi-legendary Chinese émigré who took over and ruled the Korean state of Ancient Joseon 古朝鮮 (?-108 BC), and the theory of cycles 循環論 did so in terms of change in viewing history and the currents of the times as cyclical and crises as surmountable through human efforts instead of depending on fatalism, respectively.

With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concept of progress from the West via Japan following the opening up of Koreas ports, progress went beyond individual levels and expanded to civilizational and national levels and turned into a concept of progress encompassing a step-by-step time consciousness. Amidst theories of national crisis during the mid-1900s, the concept of progress was used as a central concept, with th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as the goals. In addition, Korean intellectuals used progress as a change from the old to the new and, through statements regarding the principle of the evolution and regress of both the cosmos and history, an index demonstrating time consciousness. Perceived through this concept, Korean history came to be seen as a process contrasting with the Wests linear progress.

In the mean time, the three-age system of modern historiography and the theory of step-by-step development of social Darwinism affected linear time consciousness in Korea around the mid-1900s. Out of a shared perception acknowledging the nations backward reality and lack of progress, a tendency to set up a dark age 暗黑期 arose. This dark age was used to explain Korean history as being based on a scheme of descent and decline since the ancient period. In this process, Korean intellectuals explicated the universal laws of social Darwinism with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and claimed the causes of and solutions to the countrys decline in the 1900s. Like the absolute stagnation 絶對的 停滯 of colonialist historiography, such a tendency had the danger of creating a logic that prompted one to conform to the imperialist world order. However, to intellectuals under the Empire of Korea 大韓 帝國 (1897-1910), the dark age generally signified a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制限的 停滯期 that encompassed the possibility of self-reliant progress and was temporary. In addition, spiral progress, which acknowledged this period of stagnation and combined with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was used also to relativized the logic of social Darwinism. Though these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and spiral progress failed to occupy firm positions in the 1900s, they nevertheless functioned as sources for national/ethnic subjects to search for stratagems for ceaseless praxis and independence even amidst the crisis of national demise.

Transformed into the theory of reformation 改造論 around 1920, the concept of progress came to establish itself as a representation of time through its use together with –isms 主義 and reactions 反動. The theory of a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still existed so that approaches seeking to view the theory of cycles within the context of historical progress continued, and, furthermore, quantitative expansion that sought to explain both general history and world history by encompassing them in this theory of a period of stagnation arose. In addition, spiral progress, which had failed to occupy a solid position in the past, came to be formalized based on the period of stagnation, which had expanded quantitatively. In other words, spiral progress, which presupposed the period of stagnation that had been demonstrated in world history since World War I, was consolidated among Korean intellectuals. In this process, not only Western ideas but also traditional thought still intervened considerably.

Based on this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spiral progress combined with the former on the level of concrete praxis and methodology, with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三·一 獨立 運動 (1919) as the occasion. In accordance with its internal logic, fierce debates and conflicts arose among Korean intellectuals. In other words, the key point of contention in the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theory of national reformation 民族 改造論 and the Korean Product Promotion Movement 物産 奬勵 運動 was: How were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concept of spiral progress, the laws of historical development as the internal logic of this idea, humans self-reliance driving such progress, and the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to be viewed?
개항 이후 1920년대 전반기에 이르는 시기는 한국사에서 시간의식의 근대적 전환기로, 근대 서구 사조와 조선 후기 이래의 전통적 시간의식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서구의 진보적 시간의식의 한국 도입과정은 일방적이고 전격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여기에는 근대 시기 시간의식과 결합하여 한국인의 독자적인 시간의식을 형성하는데 활용되었던 전통적 시간의식의 적극적인 개입이 있었다. 본고의 목적은 서구 진보 개념과 전통적 시간의식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한국 근대의 진보적 시간의식의 형성과 전개를 규명하는 데 있다.
18세기를 전후로 보편적 역사의 진보를 상정하는 進步 개념이 형성된 서구와는 달리, 조선 후기 進步 용어는 주로 개인의 도덕적·학문적 향상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편 진보적 시간의식의 수용과정에 개입하는 전통적 시간의식으로 정통론은 동국의 정체성과 기자 문화의 계승을 나타내는 연속의 측면에서, 순환론은 인간의 노력에 의해 역사와 시세가 전환(순환)하고 위기를 타개할 수 있다는 변화의 측면에서 시간의식을 담지하였다.
개항 이후 일본을 거친 서구의 근대적 진보 개념이 수용되면서, 進步 용어는 개인 단위를 넘어 문명·국가로 확장되고 단계적 시간의식을 띤 진보개념으로 변화하였다. 진보 개념은 1900년대 중반 전후 사회진화론과 국가 위기론 속에서 서구문명 및 민족국가를 목표로 하는 핵심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지식인들은 진보를 舊에서 新으로의 변화이자, 우주 및 역사의 진화 법칙과 퇴보의 언설을 통해 시간의식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인식된 한국사의 전개는 서구의 직선적 진보와는 대비되는 과정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근대 역사학의 3시기 구분법과 사회진화론의 단계적 발전론은 한국의 진보적 시간의식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데, 그 낙후된 현실과 진보의 부재를 인정하는 공통인식 상에서 암흑기를 설정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암흑기는 특히 한국사를 고대 이후 현재까지 하강·쇠퇴의 구도로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고, 이 과정에서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시간의식으로 사회진화론의 보편적 법칙을 설명하여 쇠퇴 원인과 그 극복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식민주의 역사학의 절대적 정체처럼 제국주의적 세계질서에 순응 논리를 만들어 낼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대체로 대한제국 지식인의 암흑기는 일시적이며 그 속에 주체적 진보의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의미를 가진 制限的 停滯期의 성격을 가졌고, 이 정체기를 인정하며 전통적인 시간의식과 결합한 螺旋的 進步가 창출되었다. 다시 말해 나선적 진보는 한국의 정체기를 전통적인 순환론과 정통론적 사유에 기대어 진보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서구의 직선적 진보 및 식민주의 역사학의 절대적 정체와 구분되며 민족국가의 퇴보와 침체 속에서 한국사의 부흥과 재생을 상정하는 근대 시기 한국의 진보적 시간의식이었다. 이와 같은 제한적 정체기론과 나선적 진보는 1900년대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했지만, 민족 주체가 국망의 위기 상황 속에서도 부단한 실천과 독립의 방략을 모색하는 원천으로 기능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회진화론 기반의 진보 개념은 1920년을 전후로 한 개조론 시기에 전환되었고, 主義·反動 등과 함께 쓰이면서 시간의 표상으로서의 성격을 한층 더 강하게 띠었다. 또한 제한적 정체기론은 여전히 성쇠를 역사 진보의 맥락 속에서 보는 인식이 강고하게 지속되었을 뿐 아니라, 문명 비판의 시대사조에 힘입어 한국사 차원을 넘어 세계사의 굴곡진 전개를 설명하는 논리로 변화하여 양적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진화론의 지배적인 위치 속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했던 나선적 진보는 서구와 전통적 사유를 경유한 정체기를 기반으로 개조론의 사상과 세계사의 전환 속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였다. 즉, 제한적 정체기론의 확장과 나선적 진보의 공고화에는 근대 시기의 세계 정세와 서구 사조뿐만 아니라 전통적 사유도 여전히 강하게 개입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제한적 정체기를 바탕으로 한 나선적 진보는 3.1운동을 계기로 구체적인 실천과 방법론 차원에서 결합되었는데, 그 내적 논리에 따라 지식인들 간에 치열한 논쟁과 갈등이 일어났다. 「민족개조론」논쟁과 「물산장려논쟁」의 핵심 쟁점은 식민지 조선 지식인들의 나선적 진보와 그 내적 논리로서 역사 발전의 법칙성 및 이를 추동하는 인간의 주체성, 그리고 제한적 정체기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였다고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