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新羅 興德王代 金銀器 禁令의 성격 : The Characteristics of Gold and Silverware(金銀器) Prohibition by King Heungdeok(興德王) in Sill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태진

Advisor
권오영
Major
인문대학 국사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19. 2. 권오영.
Abstract
This paper focused on the gold and silverware(金銀器) to discuss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King Heungdeok(興德王)s prohibition of luxury goods.
The only historical records on the prohibition of luxury goods that could be found today, after the first legal codes were promulgated in Silla in the early sixth century, are King Aejangs Royal Edict(哀莊王 敎書) and King Heungdeoks Royal Edict(興德王 敎書). The two royal edicts both include a clause prohibiting the use of gold and silverware. Therefore, research on prohibition of luxury goods in Silla should be approached in matters of gold and silverware.
The first records on gold and silverware in the history of Silla could be found after the mid-Silla period(中代). The fact suggests that the gold and silverware had more implications around this era. This wa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the people in Tang(唐) had toward gold and silverware as the Tang dynasty set the trend in gold and silverware. Gold and silverware in Tang were basically considered as a medium for praying for ones fortune(祈福), the notion of which was later introduced to Silla during the mid-Silla dynasty.
Gold and silverware had ten instances during the mid and late-Silla dynasty, nine of which directly or indirectly concerned the royal family(王室). Most of the instances were found in the mid-Silla period, and showed how the gold and silverware were basically monopolized by the royal family. At times, people other than the royal family owned some gold and silverware, which were bestowed by the royal family, but such cases would have been extremely rare as far as the number of the gold and silverware were limited.
The first prohibition on gold and silverware in Silla was made after the proclamation of King Aejangs Royal Edict in 806, which was in the late-Silla period(下代). This was influenced by the expanded distribution of gold and silverware in East Asia during the late eighth century. In Tang, the production of gold and silverware increased especially in the Jiangnan(江南) region after the revolt of An-Shi(安史之亂). As the gold and silverware were imported to Silla during the late-Silla period, the royal family was no longer able to dominate it.
Later, during King Heungdeoks reign, the prohibition of the gold and silverware became more intricate as Silla accepted Tangs legal system. King Heungdeoks Royal Edict, which was newly proclaimed to all areas of the society, prohibited the use of gold and silverware even for people with the Jingol(眞骨) status, only allowing the use of silver-plated(鍍銀) ware. This edict was a legal force, which intended to revert the situation back to the mid-Silla period when the royal family had monopoly over gold and silverware. In the past when King Heungdeok was the heir to the throne(副君), he experienced the revolt of Kim Heon-chang(金憲昌之亂) which was an act of defiance by a Jingol against the royal family. Therefore, King Heungdeok promulgated the prohibition against luxury goods that also applied to the Jingol to show that there was an insurmountable wall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the general Jingol.
Nevertheless, since the trends of gold and silverware could not be overturned, King Heungdeok seems to have failed in creating a distinction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the Jingol.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rohibition of gold and silverware during the rule of King Heungdeok, however, cannot be denied. Even in the early Goryeo(高麗) dynasty, it was considered presumptuous for people other than the royal family to use gold and silverware. Considering that gold and silverware were first prohibited during the rule of King Uijong(毅宗) in Goryeo, such perception could be understood in tandem with the perception which existed even in the late Silla-period.
본 논문은 金銀器를 소재로 삼아 신라 흥덕왕대 사치 금령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신라에 율령이 반포된 6세기 초 이래로 사치 금령에 대한 기사는 〈애장왕 교서(806)〉와 〈흥덕왕 교서(834)〉가 전부다. 그런데 두 교서는 모두 金銀器에 대한 규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신라사에 있어 사치 금령의 문제는 금은기의 문제로부터 집중할 필요가 있다.
금은기에 대한 기록은 中代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사료상으로 금은기에 대한 일화가 확인되기 시작한다는 것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여 금은기에 대한 의미 부여가 보다 심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동아시아의 금은기 유행을 선도하던 唐人들의 금은기 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당에서 금은기는 기본적으로 祈福의 매개로 인식되었고, 그러한 인식은 중대 초 신라에 유입되었다.
중·하대 금은기 사용례는 총 10건으로, 그 중 9건에는 신라 王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특히 이들 사례의 상당수는 중대에 밀집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중대까지는 금은기가 기본적으로 왕실에 의해 독점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때때로 정치적인 이유에서 下賜의 과정을 거쳐 왕실 이외의 인물이 금은기를 소유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금은기의 수량이 제한적인 이상 그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이후 신라 최초의 금은기 금령은 下代인 806년 〈애장왕 교서〉의 반포와 함께 등장하였다. 이는 8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금은기 유통 확대로부터 영향을 받아 성립한 것이었다. 당에서는 安史의 亂 이후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금은기 생산이 확대되고 있었는데, 하대 초 이들 금은기가 신라로 유입됨에 따라 더 이상 신라 왕실만이 금은기를 독점할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흥덕왕대에 이르러 금은기 금령은 唐令의 수용과 함께 보다 정교해진다. 새로이 사회 전반을 대상으로 반포된 〈흥덕왕 교서〉에서는 진골 일반도 鍍銀을 제외한 일체의 금은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하였다. 이는 왕실만이 금은기를 사용하던 중대로의 회귀를 꾀한 일종의 율령적 강제라 할 수 있다. 일찍이 왕위계승권자의 위치에서 金憲昌의 亂이라는 진골 일반의 도전을 몸소 경험하였던 흥덕왕으로서는 진골 일반까지를 포함하는 사치 금령을 반포함으로써 왕실과 진골 일반 사이의 넘을 수 없는 계선을 가시화하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미 동아시아의 금은기 유행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였던 만큼, 당초 흥덕왕이 의도한 왕실과 진골 일반의 구분이 성공했다고 여겨지지는 않는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흥덕왕대 금은기 금령의 역사적 의미를 부정할 수만은 없다. 율령적 해이와 별개로 〈흥덕왕 교서〉자체가 폐기되었다고 생각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려 초에도 왕실 이외의 인물이 금은기를 사용하는 것을 참람된 행위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존재했다. 사료상으로 고려시대 금은기 금령이 毅宗代 처음 등장하였음을 염두에 둔다면, 이러한 인식을 신라 하대로부터 존재하였던 재래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