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기중세 한국어 (-)ᄒᆞ- 연구 : A Study on Early Middle Korean (-)ᄒᆞ- : Focusing on the letter-attached Seokdokkugyol
자토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선엽-
dc.contributor.author이강혁-
dc.date.accessioned2019-05-07T04:25:11Z-
dc.date.available2019-05-07T04:25:11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606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520-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9. 2. 황선엽.-
dc.description.abstract전기중세 한국어의 (ᄒᆞ)는 많은 문법 현상을 포착할 수 있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기중세 한국어의 의 문법적 지위를 확립하고 그 양상을 검토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이에 대해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1과 문장 형성에 참여하는 2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고 중심적으로 다루는 자토석독구결 자료가 제한적인만큼 전수 조사를 원칙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어근 결합 여부를 확인하여 어근에 결합하는 는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1으로 분류하고 어근에 결합하지 않고 다른 요소에 의존하여 쓰이지 않는 를 문장 형성에 참여하는 2로 분류하였다. 1에 대해서는 파생접미사로 분석하는 구조문법적 관점뿐만 아니라 생성문법적 관점에서 임시어 형성소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1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 논의를 다뤘다. 또한 2에 대해서는 아우름 동사, 대동사, 보조 동사로 나누어 각각의 설정 기준을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 설정한 기준들과 기본적 논의를 바탕으로 제3장에서는 1을, 제4장에서는 2를 검토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우선 생성문법적인 관점에서 임시어 형성소로서의 문법적 지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당시 형성된 임시어가 공인화를 거쳐 어휘부에 등재된 후 실제어까지 도달하는 단어 형성 과정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어휘적 강도를 등재의 기준으로 삼았다. 다른 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어휘적 강도를 보이는 부류를 등재류로 분류하였으며, 등재류에 비해 현저히 어휘적 강도가 낮은 부류를 미등재류로 분류하였고 그리고 등재류와 미등재류 비교군 사이에 놓인 부류에 대해서 공인화류로 분류하였다. 다음으로는 구조문법적인 관점에서 결합하는 어근을 한자어 어근과 고유어 어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자어 어근과의 결합 양상을 어근의 음절수 별로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에는 1과 음독구결의 , 더 나아가 한글구결의 ᄒᆞ까지의 통시적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설정한 기준들에 따라 아우름 동사, 대동사, 보조 동사 순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아우름 동사는 연결어미 -나 -를 통해 나열되는 절 혹은 조사 -/나 -를 통해 나열되는 명사구의 마지막에 등장하여 선행하는 요소들을 아우르는 기능을 가진 동사이다. 다음으로 대동사는 기존의 연구사적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되 자료의 특성에 맞게 해당 구문을 분류하여 인용 구문, 의도·목적 구문, 자·타동사 구문으로 나누어 구문별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특히 구문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동사에 대응하는 자·타동사 구문에 방점을 찍어 살펴보았다. 또한 더 나아가 연결어미 -와 대동사 구문 간에 모종의 문법적 관련성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조 동사의 경우 해당 구문이 갖고 있는 의미 기능에 시도 혹은 의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고 본 연구가 갖고 있는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
dc.description.abstractIn Early Middle Korean, (ᄒᆞ) is a factor that can detect many grammatical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grammatical status of Early Middle Korean (-)ᄒᆞ- and to examine its aspects. Discussions are divided into 1 that participates in the formation of words and 2 participating in the formation of sentences. As a rule, we conduct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because we have limited letter-attached Seokdokkugyol to deal with centrally.
In chapter 2, After We check if the roots are bounded, bounded things classify as 1. And unbounded ones are classified as . Based on principle applied for selecting affix and formatives in this chapter, I would like to examine 1 and 2.
In chapter 3, above all, I would like to establish a grammatical status as a nonce word-formative in the perspective of generative grammar. The temporary words formed at that time are registered in the lexicon after being institutionalized and then added to the lexicon, and the word formation process is established that reaches the actual words. Next, I divided the roots into Native Korean roots and Sino-Korean roots in perspective of structure grammar. At the end,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diachronic change form 1 to hanguel kugyol ᄒᆞ.
In chapter 4, according to principle applied for selecting verb, I would like to exame aurum verbs, proverbs and auxiliary verbs. In advance, The aurum verb embrace a clause connected through conjunctive endings -,  or a noun phrase connected through a conjunctive particles -/, -. The definition of a proverb does not deviate from the existing research history. Depending on this defin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sentence sturcture divided into quotations, intentions·purposes, intransitive·transitive verbs. Among them, the focus was on intransitive·transitive verb sentence structures that responded to various verbs regardless of the type of syntax. I also went on to examine some grammatical associations between a conjunctive ending - and proverb sentence structures. Lastly, in case of auxiliary verbs,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function of the phrase has a attempt or will.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대상과 시대 구분 1
1.3. 연구 방법 및 논의의 구성 5

2.  분류 7
2.1. 단어 형성과 문장 형성에서의 양상 7
2.2. 단어 형성 관련 문제 7
2.2.1. 어근 결합 여부 8
2.2.2. 임시어 형성 12
2.2.3. 접사와 형성소 19
2.3. 문장 형성 관련 문제 21
2.2.1. 아우름 동사 설정 기준 21
2.2.1. 대동사 설정 기준 23
2.2.1. 보조동사 설정 기준 27

3. 단어 형성에 참여하는  29
3.1. 임시어 형성소 29
3.2. 문법적 양상 35
3.2.1. 한자어 어근 35
3.2.2. 고유어 어근 45

4. 문장 형성에 참여하는  53
4.1. 아우름 동사 53
4.2. 대동사 58
4.2.1. 인용 구문 58
4.2.2. 의도·목적 구문 62
4.2.3. 자·타동사 구문 69
4.3. 보조 동사 85

5. 결론 89

참고문헌 91
98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전기중세 한국어 (-)ᄒᆞ-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arly Middle Korean (-)ᄒᆞ- : Focusing on the letter-attached Seokdokkugyol-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Kanghyuk-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9-02-
dc.title.subtitle자토석독구결 자료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국어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606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606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