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어미 -더니와 -었더니 연구 : 韩国语语尾 -더니和-었더니的研究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숙영-
dc.contributor.author손욱-
dc.date.accessioned2019-05-07T04:26:15Z-
dc.date.available2019-05-07T04:26:15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468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524-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9. 2. 문숙영.-
dc.description.abstract本论文的研究目的是探讨当韩国语语尾-더니和-었더니分别出现在句中和句末时的句法和语义特征。
在进入正式的探讨之前,本文在第二章首先先对-(으)니、-더니和-었더니是否可以相互区别的问题进行了考察。虽然-더니的-더-和在句尾使用的-더-在句法方面的特征相同,但是在语义层面上,-더니在表示除原因外的其他语义时,无法与-(으)니互相替换。即使在-더니表示原因时可以与-(으)니进行替换,在语义方面也存在一定差异。因此本论文不把-더니看作是-더-和-(으)니相结合的形态,而是将其看作一个已经固定下来的语尾。就-었더니而言,它与-더니不同,在与客观谓语结合时,主语可以是第一人称,并且在语义方面也与-더니相互区别。此外,-었더니的-더-与在句末使用的-더-不同,不具有新知道的样态意义,并且并不像-(으)니一样可以用在共动句和命令句中,因此本论文认为-었더니也不可再分成更小的语素,而应看作是一个整体。其次本论文还发现,在已有的研究中,对于-더니和-었더니的语义描述方式存在很大的差异,因此本论文认为有必要针对描述-더니和-었더니的语义的元语言(metalanguage)重新进行探讨。最后,本论文还证实了-더니마는和-었더니마는与-더니和-었더니的语义是相同的。
本论文的第三章探讨了作为连接语尾使用的-더니和-었더니的句法特点和语义特点。本论文认为-더니的语义可以分为继起(temporal succession)、原因、对立和添加这四个语义,并且通过一般疑问句的提问范围有所不同的特点,可以看出,比起-더니的其他语义,-더니在表示继起时前后句所描述的事件间连接相对紧密,因此表示继起的-더니应与其他语义的-더니所有区分。当-더니表示继起时,疑问句的提问范围为全句的内容,但当-더니为其他语义时,疑问句的提问范围仅限于后句。本论文认为,在-더니的所有语义中都包含认知上的先后关系,-더니的-더-可以表示直接证据(direct evidence),并且-더니的所有语义都是从中世纪韩国语-(으)니的语义发展而来的。在叙述-더니语义的元语言方面,本论文认为继起、原因、对立和添加较为合适。其中-더니在表添加时,可以称为有顺序的添加(ordered addition)的这一点值得关注。最后,本章将-다더니、-(이)라더니、-자더니、-라더니设为-다더니类,对其句法特征和语义特征进行了探讨,并证实了它们与-다고 하더니、-(이)라고 하더니、-자고 하더니和-라고 하더니并无差别,因此得出了-다더니类是-다고 하더니类的缩写这一结论。
本论文的第四章探讨了作为连接语尾使用的-었더니的语法和语义特征。首先本章将-었더니的语义分为背景、原因和对立这三个语义,通过对每个语义下的-었더니的句法特征进行讨论,发现各个语义间的-었더니的句法特征没有太大的区别。-었더니和-더니一样,各个语义都具有认知上的先后顺序的共同特点,并且-었더니的-더-也表示直接证据。最后,在叙述-었더니的语义时,较为适当的元语言分别为背景、原因和对立。
本论文的第五章对-더니和-었더니出现于句尾的现象进行了讨论。当-더니的语义不是继起时,前后句可以进行倒置;当-더니的语义为对立或添加时,可以看做一种非单纯省略后句的脱从属化(insubordination)。当-었더니的语义为原因或对立时,可以出现前后句顺序倒置的现象;仅当其语义为对立时,可以出现非单纯省略后句的脱从属化现象。此时-더니和-었더니可以看做脱从属化中的一种的原因是,它们后面可补出的内容是不确定的,并具有一定限制,另外这种现象仅在特定语义中才会出现。
本论文的第六章对整篇论文的内容进行了总结并指出日后应该进一步探讨的问题。
-
dc.description.abstract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어미 -더니와 -었더니가 연결부 및 종결부에서 쓰일 때 각 어미의 통사·의미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제2장에서는 -(으)니, -더니와 -었더니의 구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더니의 -더-는 종결부의 -더-와 통사적인 측면에서는 동일한 특징을 보이나, 의미적으로 -더니가 원인의 의미가 아닐 때에는 -(으)니로 대치되지 않고, 원인의 의미일 때 -(으)니로 대치된다고 해도 의미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더니는 -더-와 -(으)니의 결합이 아닌, 이미 굳어진 어미임을 보였다. 한편 -었더니는 -더니와 달리 객관 술어가 결합할 때 1인칭 주어와 공기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더니와는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 또 -었더니의 -더-는 종별부의 -더-와 달리 새로 앎이라는 양태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으)니와 달리 후행절에 청유문과 명령문을 쓸 수 없기 때문에, -었더니 역시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하나의 굳어진 어미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그간의 연구에서 제시한 -더니와 -었더니의 의미 기술 방식이 서로 매우 상이함을 보이고, -더니와 -었더니의 의미를 기술하는 메타언어를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더니마는 및 -었더니마는의 의미는 -더니 및 -었더니와 동일하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결어미로 쓰이는 -더니의 문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더니의 의미는 계기, 원인, 대립, 추가로 나누어 보았는데, 판정의문문의 작용역이 다르다는 점을 통해 -더니의 의미가 계기일 때는 다른 의미일 때보다 선·후행절의 사건이 보다 긴밀하게 연결됨을 확인하였고, 계기와 다른 의미를 구별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더니가 계기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의문문 작용역이 문장 전체인 데 비해, 다른 의미를 나타낼 때는 의문문 작용역이 후행절에만 국한되기 때문이다. 또한 -더니의 여러 의미가 인식 상의 선후관계를 나타낸다는 점, -더니의 -더-는 직접증거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과 -더니의 모든 의미는 중세 한국어 -(으)니의 의미로 설명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는 것을 밝히고, -더니의 의미를 기술하는 메타언어로는 계기, 원인, 대립, 추가가 적절함을 보였다. 특히 -더니의 추가는 순서된 추가라고 할 수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다더니, -(이)라더니, -자더니, -라더니를 -다더니류로 묶어 그 통사·의미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이 -다고 하더니, -(이)라고 하더니, -자고 하더니, -라고 하더니와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다더니류는 -다고 하더니류의 준말이라는 점도 밝혔다.
제4장에서는 연결어미로 쓰이는 -었더니의 문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었더니의 의미를 배경, 원인, 대립, 세 가지로 구별하여 문법적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의미들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니와 마찬가지로 -었더니도 세 의미 모두 인식 상의 선후관계를 나타낸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보았고, -더-도 직접증거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 또한 확인하였으며, -었더니의 의미를 기술하는 메타언어로는 배경, 원인, 대립을 선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더니와 -었더니가 종결부에 쓰이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더니의 경우, 계기의 의미가 아닐 때에만 선행절과 후행절이 도치될 수 있음을 보았고, 대립과 추가의 의미를 나타낼 때에는 단순한 후행절의 생략이 아닌 탈종속화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점 또한 확인하였다. -었더니의 경우, 원인과 대립의 의미를 나타낼 때 선행절과 후행절을 도치해도 자연스러움을 확인하였고, 대립의 의미를 나타낼 때에만 단순한 후행절의 생략이 아닌 탈종속화로 볼 수 있음을 밝혔다. 이때 -더니와 -었더니를 탈종속화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것은 후행절로서 복원될 수 있는 후보가 확실하지 않고 제한적이며, 특정한 의미를 나타낼 때에 한해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제6장에서는 전체 논의를 요약하고 앞으로 살펴볼 점도 제기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 및 대상 1
1.2. 선행 연구 3
1.3. 논의의 구성 7

2. 기본적 논의 8
2.1. -으니와 -더니의 구별 8
2.2. -더니와 -었더니의 구별 20
2.3. 의미 기술의 메타언어 28
2.3.1. 연결어미 의미 기술의 메타언어 28
2.3.2. -더니의 의미 기술 30
2.3.3. -었더니의 의미 기술 34
2.4. -더니마는과 -었더니마는 37

3. 연결어미 -더니의 문법과 의미 42
3.1. -더니의 문법 42
3.1.1. 주어 제약 42
3.1.2. 선행 용언 및 선어말어미 결합 50
3.1.3. 후행절의 시제와 문장유형 55
3.2. -더니의 의미 60
3.2.1. 공통 의미 60
3.2.2. 하위 의미의 종류 67
3.3. -다더니류 구문 78
4. 연결어미 -었더니의 문법과 의미 82
4.1. -었더니의 문법 82
4.1.1. 주어 제약 82
4.1.2. 선행 용언 및 선어말어미 결합 85
4.1.3. 후행절의 시제와 문장유형 90
4.2. -었더니의 의미 94
4.2.1. 공통 의미 94
4.2.2. 하위 의미의 종류 98

5. 종결어미적 쓰임의 -더니와 -었더니 109
5.1.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 109
5.1.1. 도치, 생략 109
5.1.2. 탈종속화 혹은 종결어미화 112
5.2. -더니 118
5.2.1. 도치의 가능성 검토 119
5.2.2. 탈종속화의 가능성 검토 120
5.3. -었더니 129
5.3.1. 도치의 가능성 검토 129
5.3.2. 탈종속화의 가능성 검토 130

6. 결론 135

참고문헌 138
144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어 어미 -더니와 -었더니 연구-
dc.title.alternative韩国语语尾 -더니和-었더니的研究-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孫煜-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468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468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