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Modal Semantics of Korean Bouletic Verbs : 한국어 소망 동사의 양상 의미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민경

Advisor
남승호
Major
인문대학 언어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언어학과, 2019. 2. 남승호.
Abstract
한국어의 소망 동사인 바라다와 원하다는 양상에 있어서 이들의 다양한 의미론적 제한을 보여준다. 바라다, 원하다는 각각 영어의 hope, want와 유사성을 드러낸다. 바라다와 hope은 삽입 명제가 가리키는 사건이 가능하다는 주체의 믿음을 전달한다. 원하다와 want는 주체의 믿음 상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삽입 명제는 비일관적인 미래 사건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 논문은 두 동사의 양상 의미론에 대해 형식적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며, Kratzer의 양상 기반(modal base)과 순서 기반(ordering source)에 기초한다.
이 논문의 견해는 바라다와 원하다가 각각 인식(epistemic)과 비인식(circumstantial)의 양상 기반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주요한 근거 중 하나는 이들의 삽입 명제의 시제 지향성(temporal orientation)이다. 바라다는 미래와 과거를 가리키는 명제를 취할 수 있는 반면 원하다는 미래를 가리키는 명제만을 취한다. 이에 대한 선행 연구는 양상 기반에 시간적 속성을 부여함으로써 양상 기반과 시제 지향성을 연결시켰다. 이 논문은 시간-양상 제약에 대한 기존의 일반화를 받아들여 바라다와 원하다의 시제 지향성을 양상 기반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또 다른 근거는 원하다와는 다르게 바라다가 인식적 보문 표시인 을까와 양상적 표현인 어렵다와 함께 쓰인다는 것이다. 을까와 어렵다는 주체의 인식적 배경과 관련되어 있다. 바라다는 인식적 양상 기반에서 도출되는 인식 배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원하다는 적절한 배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바라다가 요구하는 인식적 불확실성은 자기 효험(self-efficacy)에 대한 불확실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라다는 주체가 자기 효험을 갖게 되는 통제적 상황(controllable situation)에서 쓰일 수 없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형식적 분석은 어떻게 Kratzer의 양상 이론이 소망 동사들의 의미론을 제공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분석은 또한 한국어 소망 동사들의 알려지지 않은 양상적 특징들을 밝힌다.
The two bouletic verbs pala- hope and wenha- want in Korean provide rich evidence with regard to the semantic constraints on modal expressions. Pala- and wenha- show a certain parallelism with the English hope and want respectively. Pala- and hope convey the subjects belief that the event denoted by the embedded proposition is possible. Wenha- and want do not require the subjects belief state and the embedded proposition can refer to an inconsistent future event. This thesis aims to give a formal account of their modal semantics, which is based on Kratzerian modal base and ordering source.
The idea is that pala- and wenha- make uses of two kinds of modal bases, epistemic and circumstantial one. One of crucial evidences is their temporal orientations. While pala- has both past and future orientations, wenha- only has a future orientation. Previous literature correlates the temporal orientations and the modal bases by giving temporal properties to the modal bases. Adopting previous generalization of temporal-modal restrictions, this thesis gives an account of temporal orientations of pala- and wenha- in terms of modal bases.
The other evidence is that pala-, unlike wenha-, is compatible with the epistemic non-commitment complementizer (u)l-kka and modal predicate elyep- hard. (U)l-kka and elyep- are associated with epistemic backgrounds. So pala- is expected to provide the epistemic background which derives from its epistemic modal base while wenha- does not provide the appropriate background. Also, the epistemic uncertainty of pala- requires uncertainty about self-efficacy. Thus pala- shows incompatibility with controllable situations where the subjects have a belief in their self-efficacy.
The simple formal analysis proposed in this thesis shows how Kratzerian theory derives the semantics of bouletic verbs. It also illuminates some unknown characteristics of Korean bouletic verbs in terms of their modality.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