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뮤즈의 아들 : The Muses Son: A Mourners Dilemma in Kaddish
「카디쉬」에 드러난 애도자의 딜레마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훈

Advisor
봉준수
Major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19. 2. 봉준수.
Abstract
본고는 앨런 긴즈버그가 「카디쉬」에서 자신의 어머니인 나오미의 죽음을 애도하는 와중에 부딪치는 딜레마와 그 극복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시인은 기억 속 망자의 살아생전 몸과 목소리를 시에 생생하게 기록함으로써 그녀의 역사를 서술, 보존하고자 한다. 반면에 작품의 기저에 흐르는 비가와 유대교 애도 전통은 애도자와 망자 간의 역사적인 관계를 원형적인 욕망의 역학으로 치환한다. 유대계 미국 시인 긴즈버그는 자신이 끌어들인 탈역사적인 애도 양식에 따라 어머니의 역사를 이야기해야 하는 딜레마에 처해 있다. 다만 나오미의 몸과 목소리는 때로 추상화를 거부하고 역사성과 육체성을 간직하면서 오이디푸스 서사의 질서를 교란한다. 「카디쉬」의 애도자는 결국 망자의 전복적 육성으로 인해 전통의 구속에서 벗어나 역사화를 지속한다.
본론 1장은 긴즈버그가 나오미의 몸을 대하는 모순적인 방식에 관해 논한다. 그는 망자의 손상된 몸을 끈질기게 응시하고 시에 기록함으로써, 그녀를 억압한 당대 미국의 부조리한 사회 권력을 고발하고 그에 항변한다. 하지만 시인은 이를 위해 어머니의 벌거벗은 몸을 대면하는 과정에서 원초적 욕망과 그에 따른 죽음의 공포를 느끼고 모체를 근원적 죽음의 온상으로 인지한다. 이때 긴즈버그는 생존을 위해 망자와 단절할 채비에 임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서사에 충실하게 복무하며, 그 결과 나오미를 역사화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론 2장은 역사적이고 육체적인 나오미의 목소리가 오이디푸스 서사를 어떻게 전복하는지를 다룬다. 그녀의 음성은 아들의 육체적 시학의 모태인, 현실에 위치한 물질적 모체에서 나온 데다 그 자체로 역사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공교롭게도 망자의 육성은 선대와의 단절을 장려하는 오이디푸스 서사에 저항하며 살아남는다. 이에 긴즈버그는 그녀의 발화를 억누르면서 여전히 탈역사적인 애도 양식을 따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나, 나오미의 몸과 목소리는 편집자의 통제마저 물리치고 역사성을 간직한다. 이때 시인은 예기치 않은 망자의 전복적 육성에 힘입어 기존의 전통에 구애받지 않고 역사에 기반한 새로운 애도를 추진할 기회를 얻는다.
본론 3장은 긴즈버그의 지속 가능한 애도-역사화가 진행되는 구체적인 양상을 밝힌다. 시인은 나오미의 일생을 다시 한 번 압축적으로 조망하는데, 이는 그가 일생 동안 추구했던 전우주를 통합하는 의식과 비전에 이르기 위한 사전 조치다. 그러나 시인의 일견 초월적인 비전은 망자의 역사에서 비롯되고 그로 다시 회귀하여 역사적 현실에 편입, 수렴된다. 나아가 긴즈버그는 얻은 시적 비전에 만족하지 않고 나오미와 관련된 총체적인 기억을 시의 끝까지 강박적으로 풀어내면서 그녀의 역사를 붙든다. 「카디쉬」는 치열하고도 절박한 역사화의 산물이자, 전통적 형식에 온전히 담길 수 없었던 애도자 개인의 특수한 감정과 충동이 가득한 비가로, 장르의 지평을 크게 넓힌 작품이다.
This thesis explores the dilemma that Allen Ginsberg faces while mourning the death of his mother, Naomi, in his elegy, Kaddish, and the possibility of its resolution. The poet seeks to narrate the history of the dead by vividly documenting from his own memory her body and voice in her lifetime. Yet, the traditions of elegy and Jewish mourning underlying the poem hinders his historicization with the dynamics of prototypical desires. As a Jewish-American poet, Allen Ginsberg becomes caught in the dilemma where he has to historicize the dead through the ahistorical mode of mourning. However, the body and voice of Naomi often rejects the abstracting and defends her own historicity, disrupting the order of the oedipal narrative. Through the maternal body and voice of subversion, the mourner of Kaddish is able to escape the restraints of tradition and continue the process of historicization.
The first chapter discusses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way Ginsberg treats Naomis body. In the poem, he relentlessly stares and records her damaged body in an effort to denounce the irrationality and oppression of contemporary American society. This project, however, requires him to confront Naomis naked maternal body, a process during which the son feels primal desire and hence the fear of death. At this point, Ginsberg prepares himself to separate from the dead for his own survival, thereby faithfully serving the oedipal narrative. In consequence, the poet faces difficulty in historicizing Naomi.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how Naomis bodily voice subverts the oedipal narrative. Her voice comes from her corporeal body located in reality and contains in itself such physicality. This voice survives through the elegy, resisting the separation between the mourner and the forebear. Ginsberg, as before, still seems to seek the separation by oppressing her voice, but Naomis body and voice defeats even the editors control and retains its historicity. The unexpected, subversive body-voice of the dead leads the poet to engage in a new, historical mode of mourning.
The third chapter reveals the principle of Ginsbergs sustainable mourning. The poet briefly resurveys Naomis life as a preparation for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Nevertheless, his seemingly transcendental vision emerges from and returns to the history of the dead. Furthermore, Ginsberg is not content with the vision he has acquired: he obsessively clings to Naomis history until the end of the poem in order to recapture what he has left out. Thus, Kaddish is the product of a fierce and desperate historicization. As an elegy full of personal emotion and impulse which cannot be entirely contained in traditional genres, it revises and drastically enlarges the conventions of the gen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