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기론과 배우의 심리적 고통 : Psychological distress of actors in acting methods - with a focus on realistic acting methods and trauma theories
사실주의 연기론과 트라우마 이론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윤경

Advisor
홍진호
Major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공연예술학전공, 2019. 2. 홍진호.
Abstract
Throughout the course of history, art has dealt with personal and social distress regardless of its medium(be it painting, movie, music or theatre). Many such artworks were about incidents that left a deep trauma to individuals and society. According to a number of reports in the media, actors immersed in realistic depiction of traumatic events in movies or theatrical performances later experienced nightmares, flashbacks or depression similar to typical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Such reported symptoms indicate that they may have suffered actual trauma, or psychological distress amounting to trauma.
However, it has not been specifically studied how such psychological problems can be caused. One of the reasons why this problem was not fully discussed could be due to the prevailing sentiment after the holocaust - the most traumatic event of in the history of modern time. The ethical and philosophical discourse has been about how cautious an artist should be when representing trauma, or how impossible it is to fully represent trauma, so that the actual problem after representing trauma was hard to discuss. Since the Holocaust, all forms of arts (literature, film and painting) have actively made the representation of it in Germany. The intellectuals actively discussed whether such heavy topic could be represented in an art form without distorting or trivializing the event, and whether it is ethical to represent it in an art form. These discussions have been repeated and are still an important issue today, when traumatic events are omnipresent. In psychotherapy, researches were much more focused on positive effects rather than negative effects of acting when representing trauma –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ordinary actors has remained largely unnoticed.
Therefore,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pain of the actors by focusing on the acting method and process/ which has the greatest effects on life and mind of actors, and to find out how the mechanisms of acting can cause psychological pains to actors. This dissertation mainly focuses on analyzing the realism acting theories whose influence is still significant today in movie and theatre industry, and applied psychological theories and cognitive science to find out how the acting mechanism is related to psychological distress and trauma.
To do this, psychological distress that an actor can experience was analyzed in 1) the case where various degrees of traumatic experience that exist already in individuals can be revived in the process of acting, and 2) the case that traumatic scene represented by realistic acting that newly inflict trauma (indirect trauma) on individuals.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Movie (2016) and drama (2016) were presented as examples to reveal how actors can re-experience trauma or can be newly traumatized through acting process.
예술은 긴 발전의 역사 속에서 장르(미술, 영화, 음악, 연극 등)를 불문하고 개인적ㆍ사회적 고통을 소재로 다뤄 왔다. 이들 중 많은 수가 개인과 사회에 일종의 트라우마를 남기는 사건을 소재로 하는 것이었다. 각종 언론사의 보도에서 배우들은 영화와 연극에서 사실적으로 재현된 트라우마적 사건에 몰입하여 연기를 하면서 악몽을 꾸거나, 극중 장면을 회상하거나, 우울감에 휩싸이는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의 대표적인 증상과 유사한 심리적 고통을 겪었다고 밝혔다. 배우들이 이러한 증상을 겪었다는 것은 연기를 하며 트라우마를 입었거나, 그에 버금가는 심리적 고통을 겪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배우들이 연기를 통해 겪는 심리적인 문제가 어떻게 야기될 수 있는지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는 일차적으로 이러한 문제가 근대의 역사상 가장 트라우마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홀로코스트 이후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담론에서 트라우마적 사건의 예술적 재현 자체가 대단히 신중을 기해야 하거나 금기시되는 문제로 조명되면서, 실제 재현 시 발생하는 세부적인 문제를 조명하기 어려운 환경이 형성됐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독일에서는 홀로코스트 이후, 이를 소재로 한 예술작품들(문학, 영화, 미술)이 활발히 제작되었다. 지식인들은 이러한 무거운 주제가 본래의 사건을 왜곡하거나 축소시키지(trivialize) 않고 예술적 형태로 재현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을 예술적 소재로 삼는 것 자체가 윤리적인 것인지에 관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했다. 이러한 논의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여전히 트라우마적 사건들이 만연한 현대 사회에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또한 심리 치료 분야에서는 연기의 부정적인 측면보다 트라우마를 재현할 때 발생하는 연기의 긍정적인 효과에 집중한 연구로 활발한 성과를 보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연기의 부정적 효과로 볼 수 있는 배우의 심리적 고통의 문제가 조명되기 어려운 환경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고는 다양한 환경적 배경으로 유보되어왔던 배우의 심리적 고통에 관한 문제를 배우의 삶과 정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연기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어떠한 연기론적 기제들이 배우들에게 심적인 고통을 초래할 수 있는지 밝혔다. 본고는 오늘날 영화와 연극의 큰 축을 이루는 사실주의 연기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연기법의 작동기제와 원리가 배우에게 심리적 고통, 더 나아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어떻게 관계되는지 밝히기 위해 트라우마와 관련된 심리학, 인지과학 이론을 사용하였다.
본고는 배우가 겪을 수 있는 심리적 고통을 크게 1) 이미 존재하고 있는 크고 작은 트라우마적 경험이 연기과정에서 되살아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와, 2) 이러한 경험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트라우마적 장면을 재현하며 새롭게 외상을 입게 되는(간접 외상) 경우로 나누어, 오늘날 영화와 연극의 큰 축을 이루는 사실주의적 연기 방법론을 분석했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로 영화 과 연극 를 제시하여 배우가 연기를 통해 트라우마를 재경험하거나, 새롭게 간접 외상을 입을 수 있음을 밝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5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