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와일더 펜필드의 뇌전증 연구와 통합적 뇌과학 : Wilder Penfields Research on epilepsy and the revision of mind-body dualism: From brain localization to higher function
두뇌 국소화를 넘어 상위기능 연구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민

Advisor
이두갑
Major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자연과학대학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2019. 2. 이두갑.
Abstract
와일더 펜필드는 캐나다의 신경외과의로 1920년대부터 60년까지 뇌전증의 치료를 통해서 두뇌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는 그가 수행한 두뇌 국소화 연구로 잘 알려져 있고 기존 과학사 연구 또한 펜필드가 초기에 수행한 연구와 그가 가진 철학관을 가능하게 해준 1950년대의 의학적 맥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분석은 펜필드가 그 이전 유럽에서 발전한 의학적 전통과 어떻게 연결되고 1950년대 미국 의학계에서 받아들여졌던 전체론적인 사고관에 대해 알려주지만, 그가 가진 독특한 두뇌관과 그의 연구 사이의 연결점을 설명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은 이전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한 1945년 이후의 펜필드의 연구를 분석하면서 펜필드가 그 이전 피질 중심의 신경과학 연구를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제안한 기능적 해석에 대해서 분석한다. 펜필드는 뇌과학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한 헐링스 잭슨의 관점과 당시 뇌지도를 작성하는 지배적인 방식이었던 세포구축학적인 입장을 비판하면서 뇌가 수행하는 기능 그 자체와 뇌의 중심부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그의 주장의 배경에는 당시 새롭게 개발된 뇌파검사를 통한 뇌전증의 연구가 있었다.
펜필드는 뇌파검사를 사용하여 1930-40년대에 뇌전증 환자들을 치료하고 연구한 끝에 인간의 뇌와 의식이 별개의 존재라는 결론을 내린다. 펜필드의 1945년 이후 연구에 대한 분석은 펜필드가 피질 중심의 국소화 연구를 넘어 어떻게 그의 독특한 두뇌관과 이원론적 철학관을 발전시켰는지 보여주며 그 이면에서 구체적으로 그의 과학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보여준다. 특히 펜필드는 자신이 해석피질이라고 망명한 부위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던 이유가 피질의 세포구조의 차이가 아니라 피질과 두뇌중심부의 연결의 차이에 있다고 보았다. 이는 당시의 의학적인 맥락과는 다르게 피질보다 뇌의 중심부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후 그가 주장한 통합적 두뇌관에서 피질과 두뇌 중심부의 연결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나아가 그가 뇌전증 연구과정에서 이중의식(double consciousness)이라고 부르는 현상은 그가 두뇌와 정신이 분리되어 있다는 두뇌관을 가지는데 핵심적인 증거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측두엽을 연구하면서 밝힌 현상들을 통해서 뇌를 컴퓨터에, 의식을 프로그래머에 비유하여 어떻게 뇌에서 다양한 기능들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뇌-의식이 맺는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펜필드의 두뇌관의 이면에는 이러한 과학적인 연구가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와일더 펜필드의 뇌과학 연구, 특히 뇌전증에 대한 임상적, 실험적 개입과 연구가 어떻게 그가 지녔던 독특한 뇌-의식 관계에 대한 관점을 보여주는지 분석한다.
This paper examines Penfields research on epilepsy from 1945 to 1960s and closely examines how Penfield attempted to map the cerebral cortex with electroencephalography in order to show how Penfields experimental and clinical operations on the epilep-tic brain lead to his particular view on the mind-brain relationship by analyzing published works of Penfield. This paper will aim to show how Penfields scientific work was related to his brain-mind dualism.
Wilder Penfield pioneered in the field of neurosurgery during his career from 1920s to 1960s. He is well known for his cerebral mapping project of central gyrus and his ambitious at-tempt to map the temporal lobe. Electroencephalography, a tech-nique pioneered by Herbert Jasper, enabled Penfield to system-atically localize seizures created by epilepsy in the temporal lobe. As his project progressed Penfield became convinced that the center of the brain was more central to the higher function of humans and that mind and brain was co-dependent but ultimately separated. The basis of this claim was established through Pen-fields work on the mechanism of interpretation and mechanism of memory which he viewed as essential to creating a function-based approach toward the brain. During this analysis Penfield considered double consciousness –– a phenomena in which the patient is aware of the artificial electrical current in his/her brain –– as key to defining the cortex-diencephalic relationship and the brain-mind relationship.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6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