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의 비교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고은

Advisor
이수영
Major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19. 2. 이수영.
Abstract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로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고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일·가정 양립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각 국가별로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80년대 후반 산업화에 따른 저출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광범위한 정책을 도입·시행하고 있다. 1억 명의 인구를 지키겠다는 일본정부의 의지는 최근에 더 강력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에 이르러서 출산율 감소에 관심을 갖고 정책을 서둘러 도입, 시행하고 있는데 아직도 출산율은 0.97(2018년 통계청 조사)에 머물러 있다. 일본의 여성 경제활동 비율은 한국보다 높은데 이는 일·가정 양립정책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출발점으로 하여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이 어떻게 차이나 나며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간 정책을 비교하는 비교 정책 연구에 해당하며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분석틀을 적용하기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채택하였다. 역사적 제도주의는 신제도론의 한 분파로서 유사한 사회문제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국가 간 정책의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사회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제도적 맥락을 장조함과 동시에 역사적 과정을 중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을 비교하기 위한 제도적 변수로 제도적 유산, 정책 이데올로기(정치 이데올로기, 젠더 이데올로기), 정치적 제도(정부 형태, 정당 제도, 선거 제도), 경제적 제도(산업화 과정)를 정하였다. 이러한 제도적 맥락들은 정책의 형성 시점과 국가의 개입 정도, 정책 내용 및 성격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일·가정 양립 정책의 범주로는 홍승아 외(2009)에서 정리한 휴가 정책, 보육 정책을 채택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제도적 맥락에 따른 일·가정 양립 정책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은 여성 노동력 필요와 저출산이라는 동일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가정 양립 정책이 등장하였다.
둘째, 한국과 일본에서 일·가정 양립 정책이 형성된 시점에 차이가 있다. 한국은 1980년대 후반 민주화와 더불어 남녀고용평등법이 제정되고 1991년 영유아보호법이 제정되어 일·가정 양립 정책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일본은 1990년대부터 일·가정 양립 정책이 형성되었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은 경로의존성의 특징을 공통적으로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도가 정책의 차이를 가져오고, 정책의 역사가 현재의 정책에 차이를 가져온다.는 역사적 제도론자들의 입장을 다시 한 번 검증하였다.
넷째, 한국과 일본은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한 국가 개입의 정도(수준)에 차이가 있다. 일본의 경우 소자화 쇼크 극복을 위해 신속하게 정책을 추진하고 국민, 기업 등을 움직였다. 반면 한국은 1990년대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면서도 정치·경제적 상황에 매몰되어 적극적 개입의 강도가 약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화, 세계화로 국가 간 상호의존성이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동일한 사회문제에 대해 다른 국가도 정책적 대응을 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일·가정 양립 정책은 근로자, 기업, 국가에 도움이 되는 상생전략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을 더욱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한국과 일본은 일·가정 양립 정책에 대해 소극적 태도로 개입을 하기 때문에 선별적 복지의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한국은 돌봄지원 관점과 고용 관점을 통합적으로 접근한 젠더 평등의 정책적 대응을 마련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높은 보육료 문제와 민간 보육시설에 대한 의존을 개선하기 위해 공보육시설의 확충과 단계적으로 보육비용을 낮추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낮은 육아휴직 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여성의 낮은 고용보험 가입율을 염두하여 휴직 대상자에 대한 설정과 휴직 기간을 확대하고 휴직 기간에 대한 충분한 소득 대체율을 보장하며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참여를 위한 할당제 등 강제적인 법안 등으로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의 형성 시점과 정책의 개입 정도가 다른 이유는 양국의 제도적 맥락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가정 양립 정책은 국가와 시민사회, 여성 정치세력, 여성 노동자계급, 자본가계급 등의 세력 관계에 따라 정책의 수혜대상, 지급 정도, 재원 조달방식 등 정책의 내용과 질, 발전여부 등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가정 양립 문제에 기반이 되는 복지와 젠더 평등 이념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과 함께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 확보가 요구된다.
넷째,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의 경로의존성의 특징을 토대로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정책들은 외부적 압력이나 도전에 의해 휩쓸리기 보다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일·가정 양립 정책의 개선 뿐 만 아니라 향후 노동 정책과 결합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Japa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 With historical institutionalism -

Lim, Go Eu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women increasingly take economic roles, the number of double-income family and the low birth rate are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the demand for work-family balance is getting high. To meet the demand, countries have established work-family balance policy but each country appears to have different effects from it. In case of Japan, acknowledging the seriousness of low birth rate from the industrialization in the late 1980s, it has introduced and is currently inplementing a comprehensive policy. These days, Japan appears to be determined to defend its one hundred million population. In Korea, the government realized the decrease in birth rate only in the 1980s and is rushing th introduce and implement related policies, however, the birth rate still stays at 0.97(according to the survey of Statistics, Korea, 2018). The rates of women's economic activity in Japan is respectively higher than that of Korea, which may be due to work-family balance policy. Beginning with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erms of work-family balace policy and what has caused the difference.
As a comparative study on polic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dopted a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o apply systematic and structured analysis.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a branch of new institutionalism and aimed at systematically stating why there are 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for similar social issues. So it highlights institutional aspectsand places emphasis on historical process in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social situations. In this study, the institutional variables for comparing korea and Japan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cluded institutional legacy
policy ideology- politic ideology and gender ideology
political system-government form, part system and election system
and economic system-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rate of organization of women's labor union. It is because these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e the time of policy establishment, the degree of government's intervention, and policy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For category of work-famaily balance policy, vacation policy, child-care policy and labor hour policy stated in Hong Seung Ah et al., 2009 were applied.
The institutional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 terms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reveals the following.

First, Korea and Japan introduced work-family balance policy to resolve the same social issues- demand for women's labor and low birth rate.
Second, Korea and Japan established the policy in different time. Korea enacted Act on the Equal Employment for Both Sexes in linewith democratization in the late 1980s and Infant Protection Act in 1991,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has started to form, while Japan started to build the policy in 1990s.
Third, work-family balance policies of both Krea and Japan have are characterized by path dependence. In consequence, this study verified what historical institutionalists insisted on-'System infuences policy and policy history influences current policy.'
Fourth, Korea and Japan have different degre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work-family balance policy. Japan was able to induce its people and corporations' participation by rapidly pushing ahead policies to overcome "child decreasing shock," However in Korea, though understanding the seriousness of the ploblen in the 1990s. the government did not actively intervene in the policy due to its own political and economical concern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increased the interdependence of nations, governments should acknowledge that other countries also respond to the same social issues that one country has.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promote awareness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as a win-win strategy for employees, companies and country
and necessity of everyone's interest and participation.
Second, as Korea passively intervenes in work-family balance policy unlike Japan, it is inclined to have selective welfare. So, Korea should devise gender equality political measures which feature child-care support and employment. To specifically deal with high child-care cost and dependence on private child-care centers, it is necessary to expand public child-care centers and reduce the child-care cost in stages.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parental leave, mandatory ordinances-setting parental leave targets
expanding the term of the leave
guaranteeing sufficient income replacement rate during the break
and introducing a quota system to promote paternity leave- are required while considering low rate of the unemployment insurance bought by women.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observe legal labor hours, change mile0dominated corporate cultures and resolve wage differences depending ongender and employment type with regard to short-term employment, so that labor hour policy will be effective in the society.
Third, the reason why work-family balance policies of the Korea and Japan formed in different time and the degre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s different is that the two countries are institutionally different. In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power relations among country, civil society, women's political power, female laborer class and capitalist class decide policy contents including beneficiaries of policy, how much to pay, and measures to fund, and the quality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 policy grow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p social sympathy about welfare and gender quality ideology, a basis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to build supportiv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urth, based on the path dependence,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Korea and Japan have for work-family balance policy, the policy should continue to develop rather than being greatly and easily affected by outer pressure and challenges. It also should improve current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combine with labor policies in the future for integrated approac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6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