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난곡·난향 도시재생지역의 주민 활동을 통해서 본 도시공간 이용 특성 분석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Usage through the Resident Activities of Nangok·Nanhyang Urban Regeneration A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여령

Advisor
김세훈
Major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19. 2. 김세훈.
Abstrac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old area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is designed to evolve beyond simple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s, preserv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values of the area,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o are the most important actors of the area and who have experienced the area closest to is important. As the project is implement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cuses on revitalizing the community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ace in social exchange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ovides support for residents' activities to freely show up regardless of space by securing a community hub space or anchor facility.
However, since the establishment of many community hub spaces and anchor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ot of the spaces have become empty due to difficulties in operation and poor utiliza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a criticism tha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currently focusing only on the provision of physical spaces. The space that the planner creates with intent is likely to create gaps in the space us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is gap also occurs with residents who actually use space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even though the community hub space and anchor facility is the central space of residents activity, a lot of activities are appearing also in various other urban spaces. Howeve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ly focuses on the public spaces such as community hub spaces which is led by the public, and in fact,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and research on urban spaces where residents actually use.
It is necessary first to understand the space where the activities of residents are performed before securing spac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residents groups(community groups) participating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o are actual users of the space, and tracked their use of urban spaces and examined how and in what urban spaces they are using in their daily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activities of residentsactivities and to identify urban space usage characteristics and residentsneeds. Through the research, I looked at what kind of urban space could support the residents activities and drew practic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I selected Nangok·Nanhyang urban regeneration area where residents activities are actively appearing,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residents groups(community groups) which are registered at the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in the area to closely observe the activities of the group, such as periodic activities, event activities, and informal activities, social activities.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the analysis framework was used to examine urban areas where residents' activities and activities appear, and the spatial mapping work was conducted to derive urban spatial usage characteristics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usage by the Nangok·Nanhyang residen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of using space by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thering was different. In general, social gatherings were closed and focused on a single space, and a variety of activities were found in this one single space. Although hobby-type gatherings focused on one single space like social gatherings, the exhibition of their hobby activities was held in public space, which is more open than the hobby-activity space. Community contribution-type groups showed various uses of diverse urban spaces according to their purpose of activities.
Second, the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was sharp due to the occupation of the community hub space which is the shared space for all community gatherings. Conflicts over shared space were subtly spread by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and between gatherings. In the periodic activities, the residents wanted to use the space entirely, even if it is temporarily, rather than sharing it together. However, in the event activities, various groups gathered together in the community hub spac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host the festival.
Third, residents groups(community groups) satisfied the needs of spaces through securing alternative spaces. The groups tended to find spa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ir activities, or spaces preferred by the group. The cafes, which are large in size and attracted to the residents, were particularly used as activity spaces, and public outdoor spaces such as parks were actively used for residents' activities. In the case of a specific gathering, they provided a space by themselves that could satisfy the needs of their activity.
Fourth, the groups used the space multi-functionally through temporary use. Through this, residents groups (community groups) resolved the scalability of the insufficient space in the community hub space. Outdoor public spaces, such as parks and vacant lots, were usually used as rest areas, but temporarily as an open event for all residents. Public facilities related to the regeneration project, such as community hub spaces, were normally used as an activity space for residents' gatherings, but temporarily as a small event space.
Recentl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been discussing about the operation subject and the space program so that the space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and used not only after supply but also after the supply. In the future, when establishing a community hub space and anchor facility, the abov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Space should be created by identifying the needs of residents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ies. In the case of already constructed spaces, diverse gatherings should be supported by preventing occupancy of specific residents' groups and guaranteeing the fairness of the space. In addition, event activities that allow multiple resident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should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community hub space or park, so that the resident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well as the independent
activities of the community gathering. Moreover, if the urban spaces which residents use a lot, such as parks and cafes, are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public facilities, such as community hub spaces, provided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diverse residents activities (community activities) can be derived.
전국 각지에서 노후 지역에 대한 생활 여건을 개선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단순한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지역 의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보전하면서 발전시키기 위한 도시재생사업에서는 해당 지역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주체이자 해당 지역을 가장 가까이에서 경험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처럼 주민 참여를 바탕으로 시행되는 사업이기에 도시재생사업은 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공동체 활성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특히 사회적 교류에 있어서 공간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도시재생사업에서는 주민 거점공간 혹은 앵커시설을 필수적으로 확보하여 주민 활동이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도시재생사업에서 다수의 주민 거점공간과 앵커시설이 조성 이후, 초기에 기획했던 의도처럼 활용되지 못하고 운영의 어려움, 저조한 이용 등으로 빈 공간으로 전락해버렸다. 이에 도시재생사업이 현재 하드웨어적인 공간 공급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지속되어 왔다. 계획가가 의도를 가지고 조성하는 공간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이용되는 공간과 간극이 발생하기 쉽다. 도시재생사업에서도 공간을 실제로 사용하는 주민들과 이러한 간극이 발생한다. 또한, 주민 거점공간 및 앵커시설이 주민 활동의 중심 공간이 되며 실제로 많은 활동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 공간에서 나타나는 활동은 일부일 뿐, 그 외의 다양한 도시공간에서도 주민 활동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도시재생사업에서는 공공이 주도하여 마련한 주민 거점공간 등의 공공공간에만 한정하여 주민 활동을 바라보고 있으며, 그 외에 실제로 주민들이 활동하는 도시공간에 대한 고찰 및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공간을 확보하기 이전에 주민들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 참여하며 활동을 하고 있는 주민모임들을 대상으로 하여, 공간의 실제 사용자인 주민들의 일상적 관점에서 이들의 공간 사용을 추적하고 주민모임들이 어떤 도시공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모임의 활동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도시공간 이용 특성과 공간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를 통해 주민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도시공간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하고 실천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중 하나로 주민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 난곡·난향동을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해당 지역 도시재생지원센터에 등록하여 활동하고 있는 주민모임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진행하여 모임의 공식적 활동, 주기적 활동, 이벤트 활동과 친목 등의 비공식적 활동인 교류 활동을 밀접하게 관찰하였다. 심층면접 결과
를 바탕으로 주민 활동과, 활동이 나타나는 도시공간을 분석틀을 통해 살펴보았고, 공간 매핑 작업을 통해 각 모임 별 도시공간 이용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난곡·난향 주민모임의 도시공간 이용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주민모임 성격별 공간 이용패턴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친목형 모임은 대체로 하나의 공간을 위주로 폐쇄적이면서 집중적인 활동 양상을 보였으며 그 공간 안에서 다양한 활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취미형 모임은 하나의 공간을 중점적으로 취미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그 결과물에 대한 전시 등은 취미 활동 공간보다 열려있는 공적인 공간에서 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역사회 공헌형 모임은 활동 목적에 따라 다양한 도시공간을 다채롭게 사용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주민 간의 갈등은 공유 공간인 주민 거점공간의 점유로 인해 첨예하게 나타났다. 공유 공간 점유로 인한 갈등은 세대 간의 갈등, 사업 초기 모임과 이후에 조성된 모임 간의 갈등으로 미묘하게 번져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주민들은 주기적 활동 시에는 공간을 함께 나누어 사용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라도 온전히 사용하기를 원하였다. 하지만 주기적 활동이 아닌, 이벤트 활동에서는 주민 거점공간과 공원 등의 공유 공간에서 여러 모임들이 함께 모여 소통하고 축제를 진행하면서 다함께 공간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셋째, 주민모임은 대안 공간 확보를 통해 공간과 활동에 대한 니즈를 충족하였다. 모임들은 주체적으로 활동에 필요한 공간 혹은 모임이 선호하는 공간을 찾아나서는 경향이 있었다. 규모가 크거나 주민들이 모이기 좋은 카페가 특히 활동 공간으로 애용되고 있었으며, 공원 등의 야외 공공공간도 주민 활동에 적극적으로 이용되었다. 특정 모임의 경우에는 활동에 필요한 니즈를 충족해줄 수 있는 공간을 모임에서 자체적으로 마련하기도 하였다.
넷째, 주민모임은 일시적 활용을 통해 공간을 다기능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주민 거점공간 등에서 부족한 공간의 확장성을 해결하였다. 공원과 공터 등의 야외 공공간은 평소에는 휴식 공간으로 이용되었으나, 일시적으로는 모든 주민들에게 열린 이벤트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재생사업 관련 공공시설은 평소 주민모임들의 활동 공간으로 이용되었으나, 일시적으로는 소규모 이벤트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최근 도시재생사업에서는 공간의 공급뿐만 아니라 공급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공간을 운영하고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 주체와 공간의 프로그램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하고 있다. 향후 주민 거점공간 및 앵커시설을 조성할 시에는 본 연구에서 파악한 위의 특성들을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민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활동 특성들을 파악하여 공간을 조성하여야 한다. 이미 조성된 공간들의 경우에는, 특정 주민모임의 점유를 방지하고 공간의 형평성을 보장하여 다양한 모임들이 다채로운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또한, 여러 주민들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이벤트 활동을 주민 거점공간 혹은 공원 등에서 적절히 추진하여 주민모임만의 독립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주민들 서로 간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재생사업에서 공급한 공공시설 외에 공원, 카페 등 주민모임의 이용도가 높은 도시공간과 연계하여 사업을 진행한다면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주민 활동을 파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7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