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간호사를 위한 일의 의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로고테라피 기반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슬기

Advisor
김성재
Major
간호대학 간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19. 2. 김성재.
Abstract
It is crucial for clinical nurses to find meaning for work and life in their workplaces which has a direct correlation with not only their health conditions but also work efficiency. Modern clinical work flows are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Here the amount of workloads one clinical nurse has to deal with tends to increase, which results in clinical nurses being exposed to high level of stress and being more likely to treat their work and life as being less meaningful. As such,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 to help raise the capabilities of clinical nurses to heal with work-related stresses and find some meanings in their work and life is critical for individual nurses as well as hospital as workplaces.

In this thesis, I developed and implemented a group logotherapy program for clinical nurses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on meaning in life, work meaning, wellnes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variety of successful clinical applications of logotherapy has been shown, but the existing works only focus on finding meaning in life. In this study, I aim to extend this to look at higher level by analyzing more over aspects, especially by including meanings in work that has not been studied yet for clinical nurse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At the first step, I decided to exploit Viktor Frankls Logotherapy as baseline via extensive and thorough literature reviews. I then, as the second step, developed a group logotherapy program for this study. Third, pilot studies were performed to 4 clinical nurses before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 and implemented. Lastly, the program was implement to the clinical nurs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ogram, embedded design of qualitative data within an experiment of concurrent mixed methods study was used.

In this study, I recruited 62 clinical nurses from K academic hospital in Republic of Korea. It was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half of the participants (n=31)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n=31) to the control group. The group logotherapy program had eight sessions with each lasting 90 minutes. Every participant was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ix variables at baseline and twice after intervention (immediately after the eight sessions and four weeks later).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 linear mixed model to find statistical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eight volunte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interviews, either focus group interviews (n=4) or individual interview (n=4) to share their experiences of the group logotherapy program.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quantitative result from the linear mixed model analysis demonstrat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he control counterpart according to all six variables: meaning in life (F=13.92, p<.001), work meaning (F=13.18, p<.001), wellness (F=9.62, p<.001), job satisfaction (F=10.49, p<.001), job commitment (F=10.78, p<.001), and intrinsic motivation (F=10.19, p<.001) across the program.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from the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they found meanings in their work and wellness among their life i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way.

I suggested, though this study, the group logotherapy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the wellness of clinical nurses and their ability in finding meaning in life and work. The development of group logotherapy program is not only limited to this particular study and thus it would be further extended to implement with nurses working at other places than academic hospitals.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일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로고테라피 기반의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빅터 플랭클의 로고테라피(Logotherapy)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과 절차를 따랐다. 첫 단계로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였다. 여러 스트레스 상황에 있는 임상 간호사가 고유한 존재로서 간호사로서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고 나아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와 회기별 목표를 수립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 구성 단계로 간호 관리자와 임상 간호사를 면담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 진행 전략을 수립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예비 연구 단계로 4명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였고, 3명으로부터 전문가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 단계인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 단계에서 8회기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시 소재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로 모집되었으며, 최종 실험군 31명, 대조군 3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집단 로고테라피는 병원 내 회의실과 교육실에서 진행하였다. 실험군에서는 개발된 8회기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을 주 2회, 4주 동안 제공하고 사전, 사후,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추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별도의 처치를 제공하지 않았다. 동시적 내재적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방법으로 임상간호사의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웰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전념도 그리고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으로 평가하였고, 포커스 그룹 면담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확인하였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선형 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 및 개인 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는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삶의 의미(F=13.92, p <.001), 일의 의미(F=13.18, p <.001), 웰니스(F=9.62, p <.001), 직무 만족도(F=10.49, p <.001), 직무 전념도(F=10.78, p <.001) 그리고 내재적 동기(F=10.19, p <.001)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되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의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웰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전념도 그리고 내재적 동기의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 유의하게 지속되었다. 그리고 집단 로고테라피에 참여하면서 대상자들은 의미 없다고 생각했던 일과 삶에서 스스로 의미를 찾으며 태도의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그 결과 대상자들은 간호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며 더 나은 간호사로서의 삶에 도전을 다짐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은 임상 간호사에게 일의 의미를 높이고 웰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전념도, 내재적 동기, 삶의 의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적용 가능한 중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를 위한 효과적인 심리사회적 프로그램이 부재한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가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상급종합병원의 임상 간호사 외 지역사회 간호사 등 타 분야에서 일하는 간호사에게도 확대 실시하여 그들이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그들 개인의 웰니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7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