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사회적 지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남경

Advisor
정진철
Major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2019. 2. 정진철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level of work values of elementary students. Secon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arental attitude on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work valu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cluster sampling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ratio of urban and rural areas. Therefore, 778 students from 5th to 6th grade in 12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s and 182 students from 5th to 6th grades in 4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urvey tool was used after some revision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work values, social support, parental attitude, self–efficacy, and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rvey tool was secured by a review of the experts to check whether the contents of the survey tool were adequately described. The pilot survey was conducted for 3 days(10.10.Wed~ 10.12.Fri, 2018). The pilot survey schools selected randomly that could cooperate with resear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 shortcomings of the pilot survey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the final survey was started on October 13(Wed) ~ Oct. 19(Fri). The 960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6 schools through visits and courier service. Total 680 copies were collected along with parental consent, and the effective collection rate was 70.8%. Only 640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level of work values, and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parental attitude on work values,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presented by Hayes(2013)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mediator effec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determined based on .05.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work values of elementary students, internal work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xternal work values. the six factors of work value were identified as satisfaction, originality, reward, stability, altruism and development orde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levels of work values were identified. The internal work values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grade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external work value, and the higher the economic power of family, the more the external work value.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lower the external work value, and the difference in the work valu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as not found in work values.

Secon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al attitude on work values are as follows. All of the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 internal work value, but not the external work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social support according to support members, support of friend was important in intrinsic work value, and on extrinsic values, parent support wa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Next, the parental affe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rinsic values, whereas autonomy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parental achieve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extrinsic work values, whereas affection-hostility had negative influences. 3rd, Rationality did not affect the work values.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work values of elementary students are as follows: Self-efficacy played a role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intrinsic work values, but it had no mediating effect on extrinsic work values. self-efficacy plays a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of friends, teachers, parents of social support and internal work value, but it has no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of external work value. Next,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affection-hostility and intrinsic work values, and no mediating effect on extrinsic work val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control and intrinsic work values, self-efficacy showed a perfect mediating effect and no mediating effect on extrinsic work values. In the achievement-non-achievement and intrinsic work values, self-efficacy has a full mediation effect. and no mediating effect on extrinsic work valu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irrational and intrinsic work value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reas it was found that mediating effect was not related to extrinsic work valu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s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he work value of this study is 20%, so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have not been found yet to explain all of the work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effects of career experience of elementary students affect the work values of students. 2nd,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work values of students by analyzing sub-factor of work values by taking a step further in the study of intrinsic·extrinsic work values. By doing so, we can see how the work values of students are changing from a macro perspective as they go through 'primary-middle-high' school. 3r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work values of elementary students into multi-layer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care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each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사회적 지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첫째, 초등학생의 직업가치관 수준을 구명하고, 둘째, 사회적 지지와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며,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및 부모 양육태도와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이다. 이에 전국을 다섯 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와 농촌의 비율을 고려한 군집표집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도시 지역 12개 초등학교 5~6학년 778명, 농촌지역 4개 초등학교 5~6학년 182명, 총 960명을 이 연구의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연구자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측정도구의 문항을 번안하여 그대로 쓰거나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직업가치관, 사회적 지지,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인구통계학적 문항 등 모두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조사도구의 내용이 적합하게 기술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 10인들로부터 조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예비조사는 2018.10.10(수)∼10.12(금) 3일 동안 진행하였으며, 경기도 내에서 연구자의 방문조사에 빠른 협조가 가능한 일부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예비조사에서 나타났던 단점들을 수정·보완하여 10월13일(수)~ 10월 19일(금)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배부는 16개 학교에 960부가 직접방문과 택배를 통해 배부되었으며, 이 중 부모의 동의서와 함께 총 680부가 회수 되어 70.8%의 유효회수율을 보였다. 자료분석에는 이상치 40부를 제외하고, 640부만이 사용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직업가치관의 수준을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와 부모의 양육태도가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향관계가 검증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Hayes(2013)가 제시한 Process macro 모델 4번을 적용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연구문제별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은 외적 직업가치관보다 내적 직업가치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6가지 직업가치관 구성요인별로 확인한 결과, 만족성, 독창성, 대가성, 안정성, 이타성, 발전성 순으로 높았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직업가치관 분석 결과 남학생, 학업성취가 높은 학생은 내적 직업가치관이 높았고, 여학생, 6학년, 가정경제력이 높은 학생은 외적 직업가치관 수준이 높았으나, 도시-농촌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 지지 전체의 내적 직업가치관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였으나, 외적 직업가치관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내적 직업가치관에는 친구지지의 영향만이 유의하였으며, 외적 직업가치관에는 부모지지의 영향만이 유의하였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직업가치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직업가치관에 대한 애정성의 정적 영향 및 자율성의 부적 영향은 유의하였다. 외적 직업가치관에 대한 성취성의 정적 영향 및 애정성의 부적 영향은 유의하였다. 한편, 자율성과 합리성의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지지 전체와 내적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외적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지원별 사회적 지지인 친구·교사·부모지지와 내적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의 역할을 하였으나, 외적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애정-적대 및 합리-비합리와 내적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자율-통제 및 성취-비성취와 내적 직업가치관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부모의 양육태도와 외적 직업가치관의 경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의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발달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효능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해주고 있다. 하지만 직업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설명력은 20%로 직업가치관 전부를 설명하기에는 아직 찾지 못한 변인들이 많다. 따라서 부족한 개인·사회변인들을 추가로 설정하여, 보다 다양한 영향관계를 구명해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외적 직업가치관 연구에서 진일보하여 직업가치관 하위 구인별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학생들의 직업가치관 변화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초-중-고를 거치는 동안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종단적 관점에서 확인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의 경제, 문화, 교육상황과 맞물려 시대적인 직업가치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확인하고, 국가적인 진로교육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때문이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을 다층적으로 분류하여, 집단별로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의 진로교육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현재 초등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을 보다 세분화시켜 각 집단별로 영향요인을 연구해 본다면, 학생들의 다양한 직업가치관을 보다 잘 이해할 뿐만 아니라 진로교육의 처방적 측면에서도 분류집단에 따라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1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