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은둔(隱遁)의 전복성 : The Subversive Recluse: Yeoseonghyang Subculture and Its Adaptation in Visual Art
여성향 서브컬쳐의 회화적 적용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화현

Advisor
김성희
Major
미술대학 미술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19. 2. 김성희.
Abstract
Reclusion, in East Asian tradition, has been regarded as a form of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and oppression. In many cases it was a political act: the literati who disapproved of the ruling party chose to retreat to remote regions, when holding a post at the court meant having to compromise with the unjust regime. Similarly, in comtemporary Asian subculture, the female creators and audience have chosen to stay underground rather than to seek acknowledgment from the patriarchal culture. Reclusion, again, is practiced as a means to avoid compromise. Undetected by the male-dominant mainstream, this subculture of young women in East Asia(namely Korea, China and Japan,) which is called "Yeoseonghyang(pronounced /yə-su̇ŋ-hyäŋ/)--meaning 'catering to women's taste,' but also broadly referring to 'the subculture with such characteristics--," has developed some distinctive traits in form and content, that can be considered as subversive to patriarch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hrow light on those subversive elements, which have previously been trivialized by the mainstream critique, and to account for how I, as an Asian female artist, have adapted them in my paintings with feminist purposes.

Among many prominent artists in Asian art history who worked in reclusion, this dissertation pays special attention to Qian Xuan(錢選: 1235-after 1301) and Zhao Mengfu(趙孟頫:1254ー1322) of the early Yuan. In their paintings, multiple techniques from different dynasties are revived. As the result, viewer is unable to single out one period in the past that these artists wish to bring back. It is never sure where the artists wish to be. Therefore they cannot be accused of instigating a rebellion to restore a certain dynasty, yet still instill in their art the bitter sense of displacement and their discontent with the Mongolian rule.

This "twofold reclusion," in which the artist is physically removed from the mainstream culture and simultaneously obscuring her stance in artworks to avoid falling victim to censorship, appears again in contemporary Asia's Yeoseonghyang subculture. Created by and circulated among young women, its romance Manhwa(comic books / graphic novels) and fanfictions/fanart have been considered a uniquely female culture (hence the term "Yeoseonghyang", ) and therefore have been denigrated as petty, nonsensical or juvenile. But instead of correcting itself to comply with patriarchical standards, Yeoseonghyang has remained in the cove of underground culture, preserving it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ing as a safe haven for women to freely unfold their thoughts and fantasies.

Many Yeoseonghyang artists and audience hide under anonymity, often dividing themselves into multiple identities. This has the effect of confusing the patriarchal censor, rendering him unable to track down the creator of fantasies that patriarchy disapproves of. Also, Yeoseonghyang goes a step further by making it impossible to detect the location of the female subject inside those fantasies.

Even in girl-meet-boy romance Manhwa, it is never clear whether the female artist/reader/viewer(i.e. the female subject) wholly identifies herself with the female protagonist(the girl). In many cases the girl does not sexually objectify the boy, because physical attraction is rarely present in the story. The drawings, on the other hand, constantly show off the boy's physique, not for the girl, but for the readers outside the story. Therefore the female reader is never completely inside the story or completely outside of it. She relates to the girl most of the time, but when it comes to enjoying the boy's sex appeal, she moves outside the story to the position of the omniscient viewer.

The case becomes even more complicated in BL(Boys' Love) Manhwa and homoerotic fanfiction, where there are no female protagonists at all. Romance is carried out by two boys, and the female subject has the freedom to identify with either one of the boys,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two as she pleases, or take on the position of a voyeur.

Dispersing the position of the female subject is a means to conceal where she truly stands. The patriarchal censor may find highly sexualized male bodies, but he will never capture the subject who is objectifying them.

This ever-elusive, reclusive female subject of Yeoseonghyang is subversive in that she uses her freedom to generate fantasies that defy patriarchical conventions. Many female protagonists of Yeoseonghyang violate the stereotypical depictions of women, and, unlike in other areas of mass culture, these oddballs are never punished with tragic endings in Yeoseonghyang's "alternate universe." This affects the reader: Yeoseonghyang readers either have not internalized patriarchal norms, or at least have grown to criticize it. They seek what truly pleases them, and the prettiness of romance Manhwa characters and the "unrealistic" or "naive" narratives of fanfiction are the results of such explorations.

I adapted formal elements and the strategies of Yeoseonghyang subculture in my paintings. The "pretty boy" figures from Manhwa, appear not as representations of men in real life, but as a Yeoseonghyang invention: an invention to reflect uncensored female desire, and also to secure a hideout for the female subject to sefely conduct fantasizing.

I often fuse art historical elements of Asian and Western art with Manhwa techniques. Just as the fanfiction writer takes pre-existing elements from original stories and appropriates them for women, I displace some well-known compositions or brushworks from masterpieces and use them to crown Yeoseonghyang like trophies. In this process the authority of the male-dominant high art is contaminated, and, in contrast, Yeoseonghyang (temporarily) usurps the power.

Although Yeoseonghyang subculture is primarily an entertainment, the fantasies it provides often lead the female subject to a liberating experience from the confines of the patriarchal norms. Such subversive potentials are celebrated and experimented with in my artmaking.





Keywords : Reclusion, Twofold Reclusion, Feminism, Subculture, Yeoseonghyang, Subversion
은둔(隱遁)이란 숨어 지내는 행위를 뜻한다. 그러나 단순한 도피와는 달리, 체제에 화합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의도 하에 행해지므로 전복적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실천이다. 실제로 은둔의 주체는 지배 권력에서 배제되거나 제도권의 억압을 받는 이들로서, 물리적 거리감을 이용해 심리적 불복종 상태를 이어 간다. 이들은 제도권이 끝끝내 흡수하지 못한 미결 과제로 남아 체제의 완결성에 흠집을 내는 존재들이며, 이들의 문화 그러한 비순응적인 성향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한다.

특히 여성들이 창작하고 향유하는 여성향 서브컬쳐는 비주류의 영역에 은둔함은 물론 작품 안에서도 여성 주체의 입장을 포착할 수 없도록 숨김으로써, 주류 이데올로기가 배척하는 독특한 내용과 형식을 지속적으로 생성하고 있다. 그러한 형식과 내용 및 전략은 본인의 작품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은 여성향 서브컬쳐가 활용한 은둔 방식을 동아시아의 은둔 문화와 연관지어 규명하고, 특징을 여성주의적인 맥락에서 해석하여 본인의 회화 작품에 활용한 과정을 설명한 글이다.

중국 후한(後漢)대부터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등장한 은둔은, 문인 사대부가 군주에게 반역하지 않으면서도 체제에 협조하지 않을 수 있던 독특한 방식이었다. 그들은 구체적인 사회 변혁을 도모하기보다는 정치 활동 일체를 거부함으로써 정권의 권위를 훼손하며 제도권과의 긴장 관계를 형성하였다. 은둔을 창작 태도로 택한 작가들도 동아시아 미술사에서 다수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도가사상이 자리잡은 후부터 은둔은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탈속적 행동이라는 의미가 더하였기에, 공직에서 좌절을 겪거나 혼란기에 생명의 위협을 당하여 주변부로 도피해야만 했던 작가들이 도가에서 마음의 위안을 얻고 박탈감에서 벗어나 창작을 계속할 수 있었다. 자신을 소외시킨 속세를 초월한 가치를 추구한다는 의미를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송대부터 그려지던 묵죽도, 세한삼우도, 그리고 청대 팔대산인(八大山人, 본명 주탑(朱耷): 1626?-1705?)의 새 그림 등은 그들의 그러한 심경이 자연 경물에 반영된 결과이다.

대부분의 은둔 작가들은 그림의 주제나 소재를 통해 그들의 견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데, 원(元)대 유민화가들, 그 중에서도 전선(錢選: ca. 1235-1301이후) 과 조맹부(趙孟頫: 1254-1322)의 작품에서는 그림의 내용 뿐 아니라 형식에서도 이중으로 작가를 숨기고 있다. 은둔을 암시하는 상징적 소재를 그리는 이외에도, 침략 왕조가 후원하는 미술 형식을 일부러 기피하고 일부러 먼 과거의 미술을 참조함으로써 현실과의 거리를 둔 것이다. 나아가 참조하는 과거의 시점을 여럿으로 분산시키기까지 하였다. 작가가 정확히 어떤 왕조를 되돌리려 하는지 포착할 수 없으므로, 불복종의 정체를 규명하거나 반역의 혐의를 씌우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렇게 작품 안에서 주체의 지향점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하는 양상은 서브컬쳐, 그 중에서도 남성중심적 사회에서의 영원한 오점으로 남을 여성향 서브컬쳐에서 더욱 복합적인 형태로 발견된다. 이미 주류에서 벗어나 있다는 서브컬쳐도 전반적으로는 남성중심적 문화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한국의 서브컬쳐는 그 형식과 발전과정이 일본의 그것과 유사한데, 대부분 남성 수용자를 위해 제작된 소년만화나 애니메이션, 게임 등이 서브컬쳐의 전형으로 일컬어지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 수용자를 위해 여성들이 제작·유통하는 서브컬쳐는 비주류 중의 비주류라고 볼 수 있으며, 나아가 1)주류 문화와 2)남성중심적 서브컬쳐에 의해 이중으로 주변화된 분야이다.

이러한 동아시아 여성들의 서브컬쳐를 본 논문에서는 여성향 서브컬쳐로 칭하였다. 그 중 특히 여성향적 특징이 강한 순정만화와 팬픽션·팬아트는 그 내용과 형식이 남성중심적 문화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저평가와 홀대를 받아 왔지만, 주류의 인정을 받고자 스스로를 변형시키거나 타협하기보다는 오히려 더욱 폐쇄적인 영역으로 은둔함으로써 가부장적 가치체계에 포섭될 수 없는 독특한 표현양식과 컨텐츠를 보존하고 발전시켰다. 또한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에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판타지적인 요소를 극대화함으로써 현실의 편향성을 폭로하는 동시에 현실의 규범을 유희거리로 전환하였다. 특히 팬픽션·팬아트는 2차 창작이라는 형식을 통해 남성중심적 문화의 의미화 과정을 어지럽히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에서 전복적이다.

여성향 서브컬쳐는 남성 소비자를 포섭하고자 여성향적 개성을 포기하지도 않았다. 이로 인해 단 한 번도 범 대중적 유행이 된 적이 없으나, 바로 그렇기 때문에 비주류로서의 전복성을 유지하고 있다. 수많은 서브컬쳐가 제도권에 대한 반항으로서 탄생하였으나 결국 상업화되고 대량생산되는 소비재로 전락하여 저항성을 상실한 채 지배 이데올로기의 일부분으로 수용되었으나, 여성향 서브컬쳐는 초지일관 주변부에 머무름으로써 주류가 소화하지 못하는 형식과 내용을 보존할 수 있었다.

이 은둔처에서 청소년기의 여성은 제도권이 정의한 여성으로 구성되라는 권력의 호명에 매 순간 불응할 수 있다. 가부장제를 지탱하는 여성으로 젠더화되는 미세하고 일상적인 의례들로부터 도피하는 것이다. 그러한 도피처에서 가부장적이지 않은 여성과 남성의 모습을 상상하고 구체화하며 자신들의 욕망과 망상을 펼친다. 나아가 그러한 망상의 주체로서 지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주체를 분산적으로 숨긴다. 여성 창작자와 독자들은 익명성 뒤에 정체를 숨기고, 작품 속 인물 중 누구에게 이입해 있는지 알아볼 수 없도록 수시로 이입 대상을 바꾸거나 작품 밖의 시점으로 도피한다. 결국 가부장적 검열자는 체제에 비순응하는 불온한 상상의 주체를 포착할 수 없게 되며, 여성 주체는 현실의 규범을 더욱 과감하게 비틀고 조롱하는 상상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여성향 서브컬쳐는 장르로서도 비주류에 숨어 있고, 나아가 여성 주체를 작품 안에서도 숨겨 줌으로써 은둔을 이중으로 구사한다. 이로써 가능했던 성취들 중, 본인은 특히 여성주의적으로 유의미하다고 규정한 몇몇 요소들을 발췌하여 작품에 적용하였다. 가부장적 검열자의 시선으로부터 여성 주체를 효과적으로 도피시킴으로써 여성이 시선의 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었다는 점, 나아가 남성 신체를 (재)구성하여 여성의 상상과 욕망을 자유롭게 펼칠 기제를 마련하였다는 점이 그것이다. 여성의 성애적 욕구를 다루되 여성의 몸이 아닌 남성의 몸을 통해 기술하는 특이한 방식을 통해, 여성향 서브컬쳐는 제도권이 문란하다 고 단죄할 주체를 처음부터 찾을 수 없게 하여 공격을 무력화는 것은 물론, 여성 신체가 대상화될 계기 또한 동시에 원천적으로 차단하였다. 본인 작품 속의 순정만화적 남성 신체는 이러한 불복종의 결과물로 기념비화되어, 기존 미술사의 정전(正典, canon)만큼이나 이상적으로 그려진다.

작품의 구성에 있어서는 기존 명작의 구도와 시각언어를 차용하고, 동양화의 전통적 기법을 만화적 조형언어와 혼용하였다. 중요한 인물의 초상을 남기던 영정기법으로 순정만화적 인물을 그리고, 동아이사 남성 엘리트의 전유물이던 수묵 기법을 활용해 만화적 장면을 구사하였다. 남성중심적 미술사의 조형언어를 다른 맥락에 위치시킴으로써 원래 지니고 있던 의미대로 읽히지 못하도록 방해하고, 여성들의 하위예술을 고급예술의 지위에 올려놓는 일에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그 모습이 이상하거나 우스꽝스럽지 않고 매우 자연스러워 보이도록 연출하였다. 마치 기존 명작들의 다른 버전(異本)을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이다.

이는 원작을 재구성하는 2차 창작의 전략을 회화에 도입한 명작 다시 그리기, 나아가 여성적 입장에서의 대안-미술사(alternate art history) 제시하기이다. 팬픽션·팬아트가 현실의 패러디에 그치지 않고 완전히 다른 기준 하에 작동하는 대안적 현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과 유사한 전략이다. 그 상태로 현실에 침투하거나 심지어 기존 미술을 대체한대도 무리가 없어 보일 만큼 체계적인 여성향적 대안들은, 패러디가 제공하는 일시적 웃음이나 해소 이상의 역할을 한다. 기존 명작의 권위를 훼손하는 동시에, 그 권위를 일시적으로 빼앗아 오는 전복적인 현상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주변화된 주체는 몸을 숨김으로써 불만과 상상을 구체화할 시간과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 상상의 산물 안에서도 자신의 위치를 포착할 수 없도록 또 한 번 숨김으로써 자신을 불온한 존재로 낙인찍으려는 검열자를 교란시킨다. 전통 미술에서도 일부 확인되는 이러한 이중 은둔의 효과는 현대의 여성향 서브컬쳐에서 전략적으로 활용된다. 가부장적 규범에서 벗어난 여성 주체와, 그가 구현한 대안적 남성 신체의 전복성이 회화 작품에 적용되어 기념비화되는 과정을 본 논문을 통해 설명하였다.





주요어 : 은둔, 이중 은둔, 여성향, 서브컬쳐, 전복성, 여성주의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2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