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술관 경영 측면에서의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 개최 연구 : Research on Pop Culture Icon Exhibition in the Management Aspect of Art Museum
사례 성과 분석과 제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변지혜

Advisor
김상훈
Major
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협동과정미술경영, 2019. 2. 김상훈.
Abstract
In 2010, the exhibition of popular culture icons was held in succession around major art museum all over the world. The exhibition of the popular culture icon, a new type of exhibition that has not been seen before, is a strategic choice for the museum to attract the public by symbolizing the already successful personality beyond the exhibit dealing with popula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of the mass culture icon at the art museum, to confirm how the museum responded through actual case studie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of the exhibition of the mass culture icon.

The exhibitions of popular culture icons were influenced directly by the exhibitions of art museums as the discourse of contemporary art revealed hybrid and intermedial characteristics. In 2008, due to the global economic crisis stemming from the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many museums have suffered operating crisis due to reduced support from sponsors and sponsors. In order to realize the sustainable management, the art museums sought to discover the value that can be created inside of the museum.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and the museum became an important topic, and as the exhibition of art exhibition became a leisure culture, it became necessary to change as a content that can appeal to the visitors who change in the age and the environment. The exhibition presented as one of the alternative is the exhibition of popular culture icon.

This research is the art museum exhibition case study of of V & A in 2013, of MoMA in 2015, and of SeMA(Seoul Museum of Art) as strategic Museums Management. In the case exhibition, the exhibition structure between art and popular culture icons was different, but the possibility of presenting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in the aspect of art discourse was broadened, but did not positively act as a place to revitalize art discourse. In the case of financial aspects, it was possible to derive a profitable value model of the popular culture icons exhibition through the exhibition structure. However, in order to create the right profit value, the museums had to secure the initiative in the exhibition planning aspect of the museum. As the audience of the museum changes to the media audienc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visitors who change the museum. Especially, the efforts to find out the audience with high loyalty and power such as the fandom-based cultural consumer, should be preceded.

The study analyzed the exhibition phenomenon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the art museum, understood the situation of the actual museum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xhibition in the level of the strategy of each museum. Based on this, today's museums proposed a more effective exhibition-holding strategy through exhibition of popular culture ic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today's art museum. Therefore, this study is the try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strategic choice and effort of art museum to cope with contemporary age, to derive its meaning, and to suggest more advanced alternative. It is an attempt to examine art museum management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beyond academic field such as art historical, business, and policy based on actual c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number of suggestions that can help the actual museum management not only in academic studies.
세계적으로 2010년대 들어 대중문화 아이콘의 전시가 미술관에서 연달아 개최되고 있다.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유형의 전시인 대중문화 아이콘의 미술관 전시는 대중문화를 다룬 전시를 뛰어넘어 이미 성공한 인물의 상징성에 기반하여 미술관이 대중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 배경을 살펴보고, 실제 사례 연구를 통해 미술관은 어떻게 대응 하였는지를 확인하고,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가 지닌 성과적 의미는 무엇인지, 또 발전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는 동시대 미술 담론이 혼종적, 탈장르적 성격을 드러내면서 미술관의 전시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2008년에는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에 따른 전세계 경제 위기로 인해 많은 미술관들이 후원 기업과 후원자들의 지원이 축소되어 많은 미술관들이 운영 위기를 겪었다. 미술관들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미술관이 창출 할 수 있는 가치재를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전시가 지니는 콘텐츠로의 가치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관람객들과 미술관의 관계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미술 전시 관람이 여가 문화화 되자 시대나 환경에 변화하는 관람객을 위해 이들을 소구 할 수 있는 콘텐츠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연구는 그 결과 대안 가운데 하나로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가 제시되었다고 보았다.

2013년 개최된 V&A의 전시와, 2015년 개최된 MoMA의 전시, 2015년 개최된 서울시립미술관의 을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로 미술관들의 미술관 경영 전략 측면에서 사례분석 하였다. 사례 전시는 미술과 대중문화 아이콘 간의 전시 구조가 각기 달라 미술 담론의 측면에서 다양한 해석과 관점을 제시 할 가능성을 넓혔으나, 미술 담론의 활성화를 위한 장(場)으로서의 역할 수행에는 소극적이었다. 재정적 측면의 경우 전시 구조를 통해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가 지닌 수익적 가치 모델을 도출 할 수 있었으나, 미술관들이 제대로 된 수익 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미술관의 전시 기획 측면에서의 주도권을 확고히 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미술관의 관객 또한 미디어 향유 관객층으로 변화함에 따라 미술관이 변화하는 관람객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팬덤을 기반한 문화소비자와 같은 높은 충성도와 소비력을 지닌 관람객을 발굴하고 이들에게 소구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구는 미술관 경영 측면에서 전시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실제 미술관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며, 각 미술관들의 전략 차원에서 전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미술관들이 대중문화 아이콘 전시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전시 개최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관이 당면한 오늘의 미술관 상황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동시대에 대처하는 미술관의 전략적 선택과 노력의 배경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며, 보다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관 경영 연구로서 실제 사례를 토대로 미술사적, 경영학적, 정책적 측면 등 학문적 영역을 넘어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본 연구가 학문에서 그치지 않고 미술관 경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많은 제언이 도출 하고자 하였다는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2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