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적 주체 구성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종원

Advisor
윤여탁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9. 2. 윤여탁.
Abstract
본 연구는 시적 주체 구성을 중심으로 시를 이해하는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시적 주체란 시를 읽는 과정에서 독자의 의식 속에 구성되는 발화 행위의 주체를 가리키는 개념이며, 시는 시적 주체가 특정한 상황에서 수행한 발화 행위의 결과물로서 의미를 가진다.

시학에서 시의 말하는 이를 가리키는 개념은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시적 주체는 서정적 자아와 시적 화자의 문제의식을 모두 지양(Aufheben)하여 만들어진 개념으로, 실제 작가와 구분되는 허구적 존재이며, 독자에 의해 구성되는 변화가능한 존재이지만 동시에 작가의 실존을 강하게 환기하며, 작가와 독자의 대화적 관계를 매개하는 것이기도 하다. 대화적 관계를 인식하였을 때 특별히 강조되는 응답성은 작품 이해의 과정에서 타자의 존재를 의식하고 실현하는 원리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시를 읽는 과정에서 시적 주체의 이러한 특성을 적극적으로 의식함으로써 독자는 자기동일적 관점을 반복 재생산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성장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시적 주체 개념은 시를 발화 행위로 보는 관점에 근거하여 성립된다. 발화 행위와의 유비적인 관계를 전제로 하여 예술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했던 온건한 의도주의의 논의는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행위의 맥락과, 행위의 주체를 함께 고려하게끔 한다는 점에서 시적 주체의 구성 과정을 분석하는 관점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온건한 의도주의는 발화 주체의 행위를 발생시키는 일차적인 원인으로 주체의 의도에 주목한다. 이 의도는 다시 텍스트 내적․외적 요소를 포괄적으로 살피는 검증의 과정을 거쳐 수용 가능성이 인정되었을 때에만 시적 주체의 구성 결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의도를 중심으로 하는 시적 주체 구성의 계기를 발화 상황의 인식, 발화 의도의 확인, 표현 전략의 이해로 나누고 각각의 계기를 초점화하였을 때 다르게 인식되는 시적 주체 구성의 변화 양상을 살폈다. 이어서 구성 계기의 분류 범주를 응답적 구성의 유형과 조합하여 Ⅲ장 분석의 이론적 틀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작품, 자작시 해설, 그리고 다양한 해석 담론들의 가설적인 대화적 관계를 분석하여 시적 주체 구성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의 실제를 논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응답적 구성의 유형을 기준으로 보충적 구성, 응용적 구성, 실행적 구성으로 대별하였다. 보충적 구성은 선행 해석 담론의 시적 주체 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한편, 그 결과를 보다 구체화하거나 보완하는 양상이다. 응용적 구성은 선행 해석 담론에서 도출한 공통 요소의 전이를 통해 개별 작품의 시적 주체 구성 방식을 갱신하는 양상이다. 실행적 구성은 선행 해석 담론의 시적 주체 구성 방식을 비판적으로 극복하여 다른 방식으로 전환하는 양상이다. 독자가 작품과 선행 해석 담론을 종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상대적인 위치를 어느 자리로 정향하는지에 따라, 응답적 구성의 유형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의미 실현의 변화 가능성을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이후 Ⅳ장에서는 시적 주체 구성을 중심으로 한 시 읽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설계하였다. 먼저 교육의 목표로 문학 소통의 본질적 구도 복원, 시적 주체 구성 중심의 분석적 시 읽기 능력 향상, 해석 담론의 응답적 관계 형성을 통한 타자성의 인식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궁극적으로 다른 의식과의 대화적 관계 형성을 통해 학습 독자의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상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내용의 설계는 먼저 전제를 제시하고 그 내용을 체계화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교육 내용 설계의 전제로는 시적 주체의 특성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 다범주적인 접근을 통해 학습 자료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 선행 해석 담론을 교수학적으로 변환하여 교육의 비계를 확보하는 것 등을 강조하였다.

교육의 내용에 대한 논의는 시적 주체 구성의 구도 형성, 시적 주체 구성의 계기 인식, 응답적 구성의 수행을 위한 교육 내용의 순으로 체계화하였다. 교육 내용은 과정적․암묵적․방법적 지식으로서의 특성을 강하게 부각하는 방식으로 서술하였으며, 응답적 구성의 수행 절차에 근거를 두어 시적 주체의 다층적 구성, 학습 독자의 응답적 위치 인식, 구성 결과의 검증과 평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시 읽기에서 작가의 의미와 가치를 재고하고, 시 읽기의 과정에서 인식되는 타자성의 교육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조명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educational materials intend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poetry centering on composition of poetic subjects. A 'poetic subject' refers to the subject engaging in a locutionary act initiated in the process of reading a poem, and a 'poem' is eventually the result of such locutionary act conducted by the 'poetic subject' in a specific situation.

The concept of 'poems narrator' in poetics has diversely chang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poetic subject' is a concept of sublating (Aufheben) the recognition of issues in both 'lyric self' and 'poetic speaker' and is a fictional existence to be recognized separately from the actual writer as well as a variable existence to be composed by reader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strongly reminds of the presence of the writer and serves the purpose of mediating the convers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s. In particular, 'answerability', which is being specifically aware of and implementing the awareness of oth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understanding a work also highlights the issue of 'moral responsibility' that readers are supposed to have. Taking consider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readers are able to go beyond reproducing self-assimilating interpretation in a repetitive manner and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further growth.

The poetic subject is the subject of the poetic 'locutionary act', and the primary cause of instigating an act originates from the subject's intent. This intent can be fully accepted as one of the constituents of the poetic subject together with the grounds used in the process only if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is recognized following the verification process of examining the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ext in a comprehensive manner. With th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the components into the 'awareness of the locutionary situation', 'identification of the locutionary inte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strategies' and examined the aspects of the poetic subject components revealed when focalizing each of the components. The type of 'responsive composition' identified in individual aspects combin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 composition moment build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spect analysis.

Based on the discussions so far, Chapter analyzes the hypothetical dia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 works, narration of ones own poems, and various interpretative discourses to discuss the practical reality of the poetry reading center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poetic subject. The aspect of construing the poetic subject can be classified into 'supplementary composition', 'application composition', and 'executive composition' based on the type of responsive composition. The 'supplementary composition'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ion of the poetic subject of the preceding interpretation discourse and takes the aspect of further specifying or complementing the outcome. The 'application composition' takes the aspect of updating the composition of poetic subject of individual works by taking advantage of the common principle derived from the discourse of preceding interpretation. The 'executive composition' takes the aspect of critically overcoming and diverting the result of composition of the poetic subject in a different manner. The types of responsive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where readers are positioning their relative positions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works and the preceding interpretation discourses in a collective manner. The study has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fulfilling meanings by reclassifying patterns seen in different types into the composition moment of the poetic subject.

Then, the study has suggested the objective of poetry reading education centering on the composition of poetic subjects and how to design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spect of the responsive composition. First, as the objective of education, the study has presented 'restoration of essential compositions in literary communications', 'promoting the ability of critical poetry reading centered on poetic subjects', and 'recognition of otherness by building the responsive relationship of interpretation discourse'. The ultimate goal is to stimulate the intellectual growth of learners by building a dialogical relationship with 'other-consciousness'.

When it comes to designing the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presents the premise of designing and systemizing the educational content. As the premises of designing the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has emphasized a number of points, including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subject, ensuring diversity of available learning materials through a multi-categorical approach, and to appropriate conversion of the precedent interpretation discourse as a scaffolding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se conditions are met, designing the educational content begins with the building the composition of the poetic subject, followed by recognition of the moment of composing the poetic subject, and systemat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type of responsive composition. This study finds its meanings in that it has sought to illuminate the educational value of 'something new', which is practicable in poetry upon successful completion of these process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3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