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플롯 중심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 A Study on Plot-Oriented Classical Novel Education : Focusing on 17th Century Novels
- 17세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보미

Advisor
김종철
Major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9. 2. 김종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pecify the need and ways to use the concept of plot in literature education by preparing educational contents of classic novel plots focusing on the 17th-century novels. Plot, which is a key term in theories of the novel, is a concept distinct from story, and it is responsible for the literary value and completeness of narrative. However, in literature education, the concepts of plot and story have been used without much distinction,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discussions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lot and specific ways to understand it. Given that a plot is an index that allows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temporality and causality of a literary work and is an objective and clear standard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work, it is a tool that promotes the learners novel analysis and communication, so there is a need to educate about it more actively.

Thus, this study organized the concept of plot, at the level distinct from story, into causal arrangement of events and structure of making organic meaning. In this case, events, causality, and arrangement become surface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plot type, and based on them, it was considered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depth contents that the plot contains and the plots macroscopic form. The base factors that make up in-depth contents include desire, discourse, and conflict, and the attributes of ba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zed events, method of organizing causality, and arrangement method. And finally, as the plot type that can serve as an index for understanding the macroscopic form and meaning of the plot, single-plots such as convergent plot and divergent plot or multi-plots such as cross-over plot and integrated plot of the two single-plots can be set. The convergent plot and divergent plot have the semantic role of order establishment and alternative search respectively. The cross-over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 integrated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have the semantic role of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respectively.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xamine various plot types of individual works and impart meanings.

Plot-oriented novel education designed based on the propositions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securing probability in classical novels, allows the learner to experience the effect of a plot as an immersion mechanism for a novel, and prepares specific ways to consider configuration in a discussion on contents.

This study selected four novels of the 17th century as materials for plot education. They are Honggildongjeon, Sassinamjeonggi, C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series. These four works are similar in that they restructured issues in reality by introducing the narrative world family(家), constructed the logic of the narrative worl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ossibility and inevitability, and looked for an effective arrangement method to maintain tension in the narrative scope that became broader than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plot should be discussed in the 17th-century novel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rface factors and base factors comprehensively in order to analyze the plot type and meaning of the four works, Honggildongjeon had a divergent plot that explored an alternative world of family, and Sassinamjeonggi had a cross-over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at showed the value of patriarchal order which supported family and at the same time showed the nature of problem posing by addressing such order sharply. Changseongamuirok had an integrated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at showed the nature of problem solv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order of family construct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search, and Sohyeonseongrok series had a convergent plot that limited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search as the ideal order of family was established. In each work, the plot not only secured intimacy based on family relations of the narrative world family and the real world but also gave a lesson and interest to the reader by combining the faith in the realitys order and curiosity about an alternative world.

The results of analysis become the foundation for setting a structure for classical novel plot education. This can be set in two directions, education on narrative structuring by understanding plot types and education on theme exploration through organic interpretation of plot.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 in the two directions through voluntary activities of the learner, this study considered it effective to design inquiry learning for finding out how and why the plot is configured. To concretize this into educational contents, a procedure was prepared in four steps, concept learning about plot, setting a hypothesis based on the story summary,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plot exploration, and elaborating the theme interpretation by utilizing plot. From among these,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plot exploration is carried out by collecting evidence based on surface factors, evaluating the hypothesis based on base factors, and drawing of plot types and experience of plot effect.

These education contents will not only increase understanding of a work by guiding the leader to figure out the plot type and meaning organically but also have a significance in literature education as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me of a new work.
본 연구는 17세기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고전소설의 플롯 교육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문학교육에서 플롯 개념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론의 주요 용어인 플롯(plot)은 스토리(story)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서사의 문학성과 완결성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문학교육에서 플롯은 스토리 개념과 큰 변별성 없이 사용되었으며, 플롯의 본질적 특성이나 구체적 파악 방식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였다. 플롯은 작품의 시간성과 인과성을 파악하는 벼리이자 작품 해석과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명료한 기준이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소설 분석 및 소통을 촉진할 도구가 되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롯의 개념을 스토리와는 구분되는 층위에서 사건의 인과적 배열과 유기적 의미 부여의 구조의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때 사건과 인과성, 배열이라는 요소는 플롯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표층적인 요인이 되며, 이를 바탕으로 플롯이 담지하는 심층적인 내용과 플롯의 거시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심층적인 내용을 이루는 기저 요인으로는 욕망, 담론, 갈등이 있으며 이 요인들의 속성은 강조되는 사건의 성격과 인과의 조직 방식, 배열 방식과 각각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최종적으로 플롯의 거시적 형태와 의미를 파악하는 데 활용 가능한 플롯 유형으로는 수렴형 플롯, 발산형 플롯과 같은 단일형 플롯과, 두 단일형 플롯이 결합된 교차형 플롯, 통합형 플롯의 복합형 플롯을 상정하였다. 수렴형 플롯과 발산형 플롯 유형은 각각 질서 실현과 대안 탐색의 의미역을 가지고 있으며, 수렴과 발산의 교차형 플롯과 수렴과 발산의 통합형 플롯은 각각 문제 제기와 문제 해결의 의미역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플롯 유형과 의미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작품별로 다양하게 마련된 플롯에 대하여 보다 설득력 있고 타당한 해석을 꾀할 수 있다.

이상의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구안한 플롯 중심 소설 교육은 고전소설에서 개연성을 확보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소설의 몰입 기제로서 플롯 장치의 효과를 체험케 하며, 내용을 중심으로 한 주제 논의에서 형상을 고려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롯 교육의 제재로 17세기 장편소설 네 작품을 선정하였다. , , , 연작이 그것이다. 이 네 작품은 모두 가(家)라고 하는 서사 세계를 상정하여 실제 현실의 문제를 재구성하였고, 가능성과 필연성의 원칙에 따라 서사 세계의 논리를 구축하였으며, 전대에 비해 넓어진 서사 편폭에서 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배열 방식을 모색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점은 17세기 장편소설에서 플롯을 논의해야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 네 작품의 플롯 유형과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표층 요인과 기저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은 가(家)의 대안 세계를 탐색하는 발산형 플롯으로 되어 있고, 는 가(家)를 지탱하는 가부장적 질서의 가치를 보여주면서도 균열 또한 첨예하게 다루어 문제 제기적 성격을 보여주는 수렴과 발산의 교차형 플롯으로 되어 있었다. 은 가(家)의 바람직한 질서 실현이 대안 탐색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문제 해결적 성격을 보여주는 수렴과 발산의 통합형 플롯으로 되어 있고, 연작은 가(家)의 이상적 질서가 실현되어 대안 탐색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수렴형 플롯으로 되어 있었다. 각 작품들에서 플롯은 가(家)라는 서사 세계와 실제 세계의 가족 관계를 바탕으로 친숙감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현실 질서에 대한 믿음과 대안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나름대로의 비중으로 조합함으로써 독자에게 교훈과 흥미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고전소설 플롯 교육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토대가 된다. 이는 플롯 유형의 이해를 통한 서사 구조화 교육과 플롯의 유기적 해석을 통한 주제 탐구 교육의 두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향의 교육이 학습자의 자발적인 활동을 통해 성취되도록 플롯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와 왜 이러한 플롯이 구성되는지를 밝혀내는 탐구학습의 방법을 참고하여 플롯 교육을 설계하였다. 이를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플롯에 대한 개념 학습, 스토리 요약을 통한 가설 설정, 플롯 탐색을 통한 가설 검증, 플롯을 활용한 주제 해석의 정교화와 같이 크게 네 단계의 절차를 마련하였다. 이 중 플롯 탐색을 통한 가설 검증 단계는 다시 표층 요인을 중심으로 한 근거 수집, 기저 요인을 중심으로 한 가설 평가, 플롯 유형의 도출과 플롯 효과의 체험으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플롯의 유형과 의미를 유기적으로 파악하도록 안내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작품의 서사 구조와 주제를 분석하는 데에도 활용 가능한 전이력 있는 분석틀이라는 점에서 문학교육적 의의가 있으리라 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3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