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탈북학생 교육 경험의 통일교육적 의의 연구 : A Study on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Teachers' Experiences in Schools with Students from North Korea
탈북학생 밀집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슬기

Advisor
박성춘
Major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19. 2. 박성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unification education of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understanding on school including students and teachers is need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midst a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in schools with many students from North Korea. It was assumed that schools with high populations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is a place for receiving prior experience and making preparations for the real issue of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s South Korean citizens and North Korean migrants meet on a daily basis. Based on such an awareness of the issu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teaching students from North Korea were analyzed and through this, implications of unification education preparing for a integrated environment were derived.

Teachers that instruct students from North Korea are aware of the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they expand understanding on themselves, students and educational guidance. Through such experiences, they become aware of educational needs and the roles of teachers in schools with students from North Korea.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ated that it is necessary to perceive unification not as an issue of systems, but an issue of people meeting with other people and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about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migran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to create a just society where people live together and get along for unific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role of teachers is shifting from simply conveying knowledge to students to comprehensively designing education and connecting with various agents, and that it is also essential to change and develop the capacities needed for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o be qualified as adaptive experts. Under such view, the ability to be culturally responsive, the ability to design education, and the capacity for connecting and cooperation were selected as the essential competencies of teachers in schools with students from North Korea.

Based on such discussions, the implications of teaching experience of students from North Korea on unification education preparing for a integrated environment can be summed up as follows. Unification education currently needed in our society should focus on people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 meet and communicate and to create values and an attitude for coexistence when the two Koreas are unified or in environments where South and North Korea actively interact and cooperate at levels of de facto unification.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integration at this time should be to perceive unification as an issue of South and North Korean residents meeting together and understanding North Korea as a partner for communication, and to prepare a just society where South and North Korea can live together in harmony. Also, the expertise of teachers for unification education depends on judging what is educationally needed in changing times and how to use them appropriately based on teacher communities, and the competencies needed for this are the capacity for cultural response, education design, and connecting and coopera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diversity of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was expanded through an approach focusing on school and that it presented alternatives based on educational needs.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scussions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in the search and systemiz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preparation of an integrated environment.
본 연구는 탈북학생 교육 경험의 통일교육적 의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통일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학생 및 교사를 포함한 학교 현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탈북학생들이 많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에서 탈북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일상적으로 만나고 교류하는 탈북학생 밀집학교 환경이 남과 북의 통일이라는 실질적인 문제를 먼저 경험하고 준비하는 장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탈북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통합 환경을 준비하는 통일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탈북학생 밀집학교에서 탈북학생을 지도하는 교사들은 탈북학생을 둘러싼 학교 및 사회 환경을 인식하고, 자기 자신, 학생, 교육지도에 대한 이해를 확충해나간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탈북학생 밀집학교에서의 교육적 요구와 교사의 역할에 대해 인식하게 된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북한이탈주민과의 만남의 경험을 통해 통일을 체제나 제도의 문제가 아닌 사람과 사람의 만남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과 서로 소통하기 위해서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해서 아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통일을 위해서는 함께 살아가는 공정한 사회를 위한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교사의 역할이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서 교육 전반을 설계하고 다양한 행위자들과 연계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필요한 역량을 변화시키고 발전시키는 적응적 전문가로서의 자질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탈북학생 밀집학교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역량과 교육 설계 역량, 연계 및 협력 역량을 꼽는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사의 탈북학생 교육 경험이 통합 환경을 준비하는 통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현재 우리 사회에 필요한 통일교육은 통일 및 통일에 준하는 남북한 교류·협력이 활성화되는 환경에서 남한과 북한의 사람들이 서로 만나고 소통하고 공존할 수 있는 가치관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통합을 위한 통일교육의 목표는 통일을 남북주민의 만남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과 소통의 상대방으로서 북한에 대해 이해하는 것, 그리고 남과 북이 함께 살아가는 공정한 사회를 위해 준비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통일교육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 공동체룰 기반으로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교육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에 달려있고, 이를 위해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역량, 교육 설계 역량, 연계 및 협력 역량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학교 현장 중심의 접근을 통해 통일교육 연구의 다양성을 확장시키고 교육적 요구에 근거한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의 논의가 통합 환경을 준비하는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과 체계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3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