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문화 음악교육의 교육목적론적 쟁점 연구 : A Study on the Issues of Educational Purpose in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 recasting Bennett Reimer's Idea of Education of Feelings
베넷 리머의 느낌의 교육에 대한 교육적 재음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화

Advisor
곽덕주
Major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 2019. 2. 곽덕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ssues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s a social demand that has been placed on our contemporary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draw the implications of the purposes of music education related to such issues. Today, teachers who engage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e confused about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They have essential questions about why they should teach students the music of foreign cultures. In addition, they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ether such educational practices are merely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or to understand the universal value of music apart from Western-style music, or to maximize the student's individual inner jo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musical styles and genres they are exposed to. Through such questions, they also recognize that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a form of civic education, and that such educational goals have room to conflict with the intrinsic values of the subject of music.

In this way,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practiced in public education today is characterized by the subtle conflict of intrinsic and external values of music, and conflict between knowing within music and knowing about music, and in this conflict,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s not clarified. In additio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is problem is compounded by the question of exactly where the educational values of sound as music and musical experience lie. The knowing about music, which is emphasized in the discourse of contextualism, has many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education because it reflects the new roles and values of music and music education by seeking direct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in society and communities. However, in the multidimensional knowing of musical experiences, when we examine the value and the roles of affective knowing from the knowing within music emphasized in the discourse of universalism, and when we considerate the educational values of the affective know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turity of a more holistic humanity including community relationships and history, we find the educational values proposed serve as a new purpose for contemporar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order to propose a new purpose for contemporar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 explore the issues and the concepts inherent in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specifically reconsider the meaning of an education of feelings suggested by Bennet Reimer and its associated educational value. Through these reconsiderations, I want to propose a new purpose of music education for the comprehensive practic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to reduce confusion within the profession in the practice of music education. To that end, I start by pos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ore debate i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philosophical debate in the discour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rd, what is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s an education of feelings according to Bennett Reimer?
and fourth,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an education of feelings according to Bennett Reimer for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music curriculum principles?

With these questions, in chapter 2, I explore the four theoretical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cultural assimilationism, cultural pluralism, multiculturalism,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consider the debate on universality and contextuality inherent i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3, I explore the controversy of contextualism and universalism as a philosophical debate inherent in the teleological discour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re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multicultural and the multi-musical in this regard. In chapter 4, based on research conducted by Antonio Damasio, I explore the concept of feeling and feeling feelings (or knowing feelings) as a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rough these explorations I re-examine the educational values of an education of feelings as a new vision of multi-musical music education. Furthermore, I discuss how the feeling-state implies the possibility of self-understanding as a state of consciousness, and explore three concepts of sounds, structured sounds (or structured form), and meanings to reveal the educational meaning of experiencing the universality of musical experiences through self-understanding with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chapter 5, I summarize the educational value of an education of feelings as a proposal for multi-musical music education, and suggest that the education of feelings which acknowledges the universality of the musical experience can become an educational practice that encompasses communication, empathy, and the recognition of others.

Several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se arguments. Multi-musical music education refers to education that highlights the universality of the human experience through internal exploration of musical sounds from various cultures and emphasizes the expansion of the student's self-understanding. In addition, this type of education includes an examination of the material of sounds, structured sounds (or musically structured forms), and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eanings of music which are components of the universality of musical experiences, and also involves experiencing the commonness of humanity as well. Furthermore, multi-musical reinforces the idea of the universality of a more comprehensive meaning that encompasses contextuality and specificity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and balance. That is, the multi-musical is rooted in the balance of knowing within music and knowing about music as delineated by Bennett Reimer, and this multi-musical music education is an educational practice requiring such a balance of knowing. Moreover, this balanced multi-musical music education necessitates the existence of a linguistic dimension (in the form of knowing about music) for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ty members, and also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selfness―the self as a member of community belonging to a specific culture― and acknowledge otherness. Such educational practices suggest that the meaning of the musical experience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can be maximized through communication, empathy, and recognition for others, transcending the logic that human beings are connected simply through musical sounds. As a result, multi-musical music education is not an educational practice that pursues the universality of musical experience as an abstract concept, but a practice pursuing universality based on contextuality as a specific and experiential musical experience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our lives.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모해 가면서 요청되는 사회적 요구로서 다문화 음악교육과 관련한 교육철학적 논쟁점을 탐색하고 그와 관련한 음악교육 목적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늘날 다문화 음악교육을 실천하는 현장교사들은 음악교육의 목적에 대해 많은 혼란을 겪는다. 낯선 타 문화의 음악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이유에 대한 본질적 질문과 더불어, 그러한 교육적 실천이 단순히 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인지 아니면 서구양식 위주의 음악에서 벗어나 음악의 보편적 가치를 이해하기 위한 것인지, 혹은 음악 양식과 장르의 확장을 통해 학생의 개인 내적인 즐거움의 극대화를 위한 것인지 등의 질문을 던지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질문은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천이 시민교육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것과 동시에 그러한 교육적 목표가 음악 교과의 본질적 가치와 충돌할 수 있는 여지를 갖는다는 점도 포착하게 만든다.

이처럼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는 다문화 음악교육은 외견상 드러나는 음악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미묘한 갈등 속에서, 혹은 음악 내적인 앎(knowing within music)과 맥락적 앎(knowing about) 간의 갈등 속에서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명료화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그리고 이 문제와 관련한 논쟁은 음악으로서의 소리(sounds as music) 및 음악적 경험의 교육적 가치가 정확하게 어디에 놓여 있는가의 문제로 압축된다. 맥락주의 입장에서 강조하는 맥락적 앎의 교육은 사회와 공동체에의 직접적인 참여와 발전을 추구함으로써 음악 및 음악교육의 역할과 가치를 새롭게 조명한다는 점에서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하지만 음악에 대한 다차원적인 앎 가운데 보편주의 입장에서 강조하는 음악 내적인 앎이 이끌어내는 정서적 앎의 가치와 역할은 무엇인지, 그리고 공동체적 관계성 및 역사성을 포함한 보다 전인적인 인간성의 성숙이라는 관점에서 그 정서적 앎의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검토해볼 때, 동시대 다문화 음악교육의 새로운 목적을 제안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동시대에 요구되는 그러한 새로운 교육의 목적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 음악교육 담론에 내재한 교육목적의 쟁점 및 관련 개념들을 탐색하고, 특히 베넷 리머(Bennett Reimer)의 느낌의 교육의 의미와 그것의 교육적 가치를 재탐색한다. 이러한 탐색을 통해 연구자가 의도하는 바는 음악교육의 실천에서 현장교사들이 겪는 혼란을 제거하고, 보다 풍성하고 포괄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천을 위해 주장되어야 할 음악교육의 목적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던지며 출발한다. 첫째, 다문화 교육이론에 내재한 핵심 논쟁은 무엇인가? 둘째,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론적 담론에 내재한 철학적 논쟁은 무엇인가? 셋째, 베넷 리머의 느낌의 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가치는 무엇인가? 넷째, 베넷 리머의 느낌의 교육이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 및 교육과정 원리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질문을 가지고, 2장에서는 다문화 교육의 네 가지 이론적 접근(동화주의, 문화다원주의, 다문화주의, 비판적 다문화주의)과 다문화 교육이론에 내재한 보편성과 맥락성 논쟁을 탐색한다. 그리고 3장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의 목적론적 담론에 내재한 철학적 논쟁으로서 맥락주의와 보편주의 논쟁을 탐색하고, 이와 관련하여 다문화적인 것과 다음악적인 것의 개념을 재해석해본다. 뒤이어 4장에서는 다음악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의 새로운 전망으로서 느낌의 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재탐색하기 위해, 안토니오 다마지오(Antonio Damasio)의 연구에 기반한 느낌의 개념을 탐색하고 의식의 상태로서 느낌(느낌을 아는 것)을 살펴본다. 그리고 의식의 상태로서 느낌이 어떻게 자기이해의 가능성을 내포하는지 논의하며, 다문화 음악교육에서 자기이해를 통한 음악적 경험의 보편성을 경험하는 것의 교육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소리, 구조화된 형식, 의미의 세 개념을 탐색한다. 5장에서는 다음악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의 전망으로서 느낌의 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정리하고, 음악적 경험의 보편성을 인정하는 느낌의 교육이 언어적 소통과 공감, 타자의 인정을 포괄하는 교육적 실천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연구자의 탐색을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다음악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은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이 가지는 소리 그 자체에 대한 내적인 탐색을 통해 인류의 보편성을 감지하고 동시에 학생의 자기이해의 확장을 강조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것은 음악적 경험의 보편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소리라는 재료, 구조화된 소리(혹은 구조화된 형식), 음악의 내재적·외재적 의미를 경험하는 것을 포함하고, 동시에 인간 존재의 공통성을 경험하는 것을 포함한다. 더불어 다음악적인 것은 맥락성과 특수성을 포괄하는 보다 포괄적 의미의 보편성을 뜻하는 것으로, 이는 통합과 균형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다음악적인 것은 리머가 칭한 음악적 앎의 용어로 음악 내적인 앎(knowing within music)과 맥락적 앎(knowing about) 간의 균형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다음악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은 그러한 앎의 균형이 요구되는 교육적 실천이 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균형의 차원으로서 다음악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천은 공동체 구성원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적 차원의 의미(맥락적 앎)를 요청하며, 특정 문화권에 속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아를 이해하는 것, 그리고 타자를 인정하는 것까지도 요청한다. 그리고 그러한 교육적 실천은 곧 단순히 음악적 소리를 통해 인간이 연결된다는 논리를 또 한 번 넘어서서, 언어적 소통과 공감, 타자의 인정을 통해 개인이 경험하는 음악적 경험의 의미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국 다음악적인 다문화 음악교육은 추상적 의미로서 음악적 경험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교육이 아니라, 우리가 삶 속에서 경험하고 인정할 수밖에 없는, 맥락성에 기반한 구체적이고도 체험적인 음악적 경험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교육적 실천이라 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40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