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Hypertension Risk with Abacavir Use among HIV-Infected Individuals : A Nationwide Cohort study : HIV 감염인에서 아바카비어 약제로 인한 고혈압 발생위험 평가: 코호트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미

Advisor
박병주
Major
의과대학 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19. 2. 박병주.
Abstract
Background: While a link between abacavir and CVD risk is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abacavir and hypertension remains unclear.

Purpose: To validate the use of claims database in research of HIV-infected individuals, and evaluate the incidence and risk of hypertension induced by abacavir among HIV–infected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structed a nationwide cohort of HIV-infected individuals using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datab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NHIS) from the period of 2007-2016, and compared the numbers of individuals with the official reports of the government. From 6093 HIV-infected individuals on their initial ART, 1,234 who had used abacavir or non-abacavir ART without switch were were selecte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use of ART was treated as a time-varying covariate measured as a daily unit. Incidence rate of hypertension was calculated,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estimate adjusted hazard ratios (HRs)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incident hypertension overall and among subgroups.

Results: The cohort from HIRA database showed similar numbers of individuals with the ones detected by the government. Among the total 6,093 HIV-infected individuals, incidence rates of hypertension were 4.6 and 3.6 per 100 person-years for abacavir and non-abacavir ART users, respectively. The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of abacavir use on hypertension was 12%. Among the matched 1,234 subjects, abacavir exposure elevated the risk of hypertension among overall study population. However, those aged over 30s, with psychiatric disorders, and diagnosed after the year 2013 were at higher risk of hypertension induced by abacavir.

Conclusion: We constructed a database that can be used as a source of HIV epidemiology studies in the future. Those diagnosed after the year 2013 may warrant additional concern for hypertension in patients treated with abacavir.
배경 : 항레트로바이러스제(ART)인 아바카비어는 심혈관계질환의 발생위험과 연관성이 제기된 바 있으나 고혈압과의 연관성은 연구된 적이 없다.

목적 : HIV 감염인 연구를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며, 감염인의 고혈압 발생률과 아바카바이어로 인한 고혈압 발생위험을 평가한다.

방법 : 2007-2016년 국민건강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HIV 감염자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전 국민 코호트에서 6,493명의 코호트 입적 당시 고혈압이 없었던 신규 감염된 HIV감염자를 대상으로 고혈압의 발생률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PAF)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대상 전체와 노출군과 대조군 간 약물 변경이 없는 감염인만 대상으로 제한한 후 propensity score (PS) matching을 한 1,234명을 대상으로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abacavir 약제로 인한 고혈압 발생위험을 교란변수를 보정한 hazard ratio(HR)와 95%신뢰구간(CI)을 산출하였다. ART 처방은 하루 단위의 time-varying covariate로 적용하여 시간에 따라 처방여부가 변하는 것을 반영하였다.

결과: 청구자료를 이용한 HIV 감염인 코호트는 질병관리본부에 신고된 감염인 숫자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아바카비어 처방자와 비처방자(다른 ART 처방자)의 고혈압 발생률은 각각 100인년 당 4.6과 3.6이었고, 이로부터 PAF은 12로 산출되었다. 약제변경없는군 내에서 PS matching된 대상에서 아바카비어 노출은 고혈압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경계성 유의성을 보였다(HR 1.7 [95%CI, 1.0-3.0], P value, 0.06). 이 연관성에 30대 이상의 연령, 정신과 질환의 병력, 2013년 이후 진단 이력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이용하여 HIV 감염인에 대한 역학연구가 가능한 자료원 구축을 통해 향후 이 자료원의 활용가치가 크다. 아바카비어 약제 처방 시 혈압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ART 순응도가 높은 최근 진단자에서 특히 그러하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6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