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 연구 : A Study on the Critic of Moonji
-문학-지식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선애

Advisor
손유경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9. 2. 손유경.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mon discourse of literary theories and noetics developed through critical writings of Moonji. This shows not only the fact that Moonji was a conversational place where various discourses existed and mingled but also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of those who shared media. In addition, planning publishing activities of Moonji Publishing Company as an expanded type of critical writing were selected as a study object. To see how publishing companies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managed and the companies and quarterlies established their joint line can be an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current literary system. Meanwhile, Moonji shows a circulatory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knowledge. This paper names their critical discourse literature-intelligence and examines literature-intelligence as what mingle and confront with each other due to internal principles and rules such as media, systems and capital and as where literary things, academic things in the literature field, authors, intellectuals and critics are autonomously in.

Chapter 2 identifies epistemology, esthetics related to universality and sociality, and social values of introspection and inner side(citizenship) through the writings of Moonji critics in 1960s. So-called 4·19 generation was categorized through the identity of reason and refinedness of linguistic sense considered to be obtained by childhood experience in war and Hanguel education, and this identity and linguistic modality are redetermined to be gained through 4·19 incident at some point. However, their linguistic awareness and identity related to global perception they continuously claim were the change that the experience in war brought them at first. Their generational identity explained without mentioning 4·19 has occupied a prerogative position in Korean history by monopolizing the symbol called 4·19.

Dependence on foreign literature theories shown in 󰡔The Age of Prose󰡕 and debut works shows that they seek for the modernity of literature through western theories. This modernity can be said to be absolute purity. Yeom Moo-ung considers this as something impossible and what the authors will is not reflected in while Kim Joo-yeon, Kim Hyun and Kim Chi-so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professional reading in this literary attribute.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nity of literature whose meaning needs to be recreated through reading is necessarily the expansion of criticism, and furthermore, guarantees that creation through criticism is possible. Meanwhile, the awareness of tradition and universality deducted during the conflict with the postwar generation was a major problem to young critics in 1960s as well. It appears that to postwar authors, universality was what they could identify themselves with without doubt, but it was something unreachable to 4·19 generation. Such a problem related to universality makes one inquire into something internal or his own problem. At this moment, the reason for oneself, the concern about his position, this is the Korean thing, appear to be something social that literature needs to achieve, and sociality strongly associated with esthetics emphasizing inner and autonomy emerged as a major reference point in criticism later.

The point where literary positions of Baek Nak-cheong and Kim Hyun-Kim Joo-yeon that were categorized together as 4·19 generation mak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is about literature subject. Kim Hyun and Kim Joo-yeon emphasized the individual human being as a subject who autonomously considered that the meaning of the world revealed as the world and the individuals mingled. The petit bourgeois Kim Joo-yeon submitted is the pure human being who carried out epistemological severance with a possibility to change into an individual one through independent reasons and exploration into the world. As the petit bourgeois becomes an individual human being, the world and objects have their own meaning. The reality and ideology passing individualities and inner sides themselves were typical of diversity. In this way, Kim Byeongik defines the petit bourgeois as the one who seeks for ethics. For those who doubted and denied the existing world, the novelty of literature appeared as the one discovering the new world order and building the principles of life, and it paradoxically made the personality submitted by them again obsessive to the principles of order and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the petit bourgeois was accepted as the way of acknowledging the alienated from the community, which was only made in the relation to citizen. Writings by Kim Joo-yeon and others guided by such a critic discourse not only made petit bourgeois into the shape considered as citizen but also discussed it again having citizen that projected introsp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s in mind. However, this was not a way of identifying Baek Nak-cheong-typed human being but a way of overlapping the modernity of literature with citizen.

In Chapter 3, the directing point of literature-intelligence established during the beginning of Moonji is examined. Individuality, universality, social things and ethics/morality as the order suggested through various conflicts and arguments in 1960s became the key criteria for their awareness and esthetics. In addition, their esthetics and awareness are re-emphasized in the way that they overcame and transcended the two debates that continued in the oppositional composition in the 1960s literature field. Especially,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Kim Yoon-sik and Kim Joo-yeon in the ideal criticism, epistemological intelligence and criticism can be referred to in identifying the epistemological attitudes of criticism coterie of Moonji different from other critics at the time. The critical writing of Moonji, a work asking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and criticism, forms a literary genealogy that leads to them,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ritics of Moonji designed complete self-establishment by forming a contact point betwee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 (Section 3.1)

Meanwhile, ideals of literature of Moonji become clear in realism controversy when its first issue is about to be published. Imagination in Moonji is not a regulative judgement but a reflective one, and engagement in literature means to express meanings invisible in the not-signified phenomenon(structure/social contradiction) by a language. Realism of Moonji including Kim Hyun is the realism as a way to recognize the world, and it was possible through the imagination recognizing the reality of the world and making it a constructive truth and the sensitivity making others experiences his own and understanding it as a universal thing. The reality and literary truths found in this way were involved in reality from recognizing them, and this also guaranteed the political character as literature.(Section 3.2)

If the role of literature is to construct reality through imagination, recognize problems and turn it into a literary form, what intelligence does is to achieve this work through knowledge. Such imagination(reflective decision) is the item required of intellectuals as well, and the intellectuals can be involved in the society through social imagination discovering invisible social contradictions. There were literature-intellectuals worries and desire for freedom toward criticism in this background of noetics.(Section 3.3)

Chapter 4 shows that the value of reading and readers(the public) and the communicational possibility of literature-intelligence were mainly sought for during the middle and the latter part of Moonji. The overall intention of Chapter 4 is to shift the focus on understanding Moonji, too. Another dimension of Moonji such as the format of intelligence suggested as not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the modern theory about origination and structuralism but sharing and criticizing it, and the works posthumous effect in the authors imagination and personal creativity―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work through reading and discovery of its possibility―will be examined.

Moonji critics intended to suggest new literature-intelligence by describing history of literature such as understanding of semantic network. 󰡔History of Literature󰡕, which tried to overcome not-western-centered and independent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described based on the existing awareness and prejudice, relied on transcendental conditions such as backwardness, modern era and race, so it revealed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history of literature that it criticized. While sharing the plan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intended to find a new relationship of literatures through structural reading and the interpreters meaning making, Kim Joo-yeon and Kim Chi-soos historial recogni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of 󰡔History of Literature󰡕. Kim Joo-yeon suggests a history of literature that focuses on authors and considers the society as a place where the authors in. At this time, society was another set of exceptional individuals who could see the meaning, spirit and world of the times to Kim Joo-yeon. In this way, social things can only be understood as something beyond reality, and the culture, which is the fruit of the author who is a member of this society, appears as the sublime of spiritual thing transcending marital things. On the other hand, Kim chi-soo argue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as not an unexpected and exceptional individual history of the author but the history of society system where the author is in from the viewpoint of literary sociology. What he says i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developing individually by historicizing the western trend of literature or the trend of literature corresponding Korean society needs to be discovered. Furthermore, this awarenes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order of power inherent in the composition of dominance of the developed-underdeveloped.(Section 4.1)

The late 1970s was also the time when the media and publishing of literature were integrated. Publishing let their literary theories and works by the authors they evaluat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this spread of literature-intelligence was their delivery of literary and esthetic values. At the same time, it was impossible to exclude the power of those who owned media and publishing capital. The will to spread intelligence was possible through the action of rationality such as choosing of excluding something, which was the desire of the enlightened who wanted to spread their knowledge. Paradoxically, however, this will of rationality was possible by turning literature-intelligence into product, and while doing so, Moonji coterie accidently became aware of the cultural level of reading masses who chose their product. (Section 4.2)

The spread of publication and increase in reading population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public to them. The spread of mass media made intellectual-critic themselves aware that they were also public, and the reading phenomenon of public or the unexpected popularity that literature-intelligence showed made it possible to see the intelligence of public newly and contemplate the universalization of culture or literature-intelligence. The transformation of public awareness that appeared in the late 1970s was in this context, and the discussion on the literature technique as a form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reading-public was shown as well.(Section 4.3)

This discussion confirms the esthetic practice of various literary people who asked about the logic of literature and criticism in the 1970s and the function of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guess the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from the current literary criticism. Furthermore, the formation and spread of publishing capital was confirmed to be linked to the discursive direction of literature, which showed that literature-intelligence work related to the spread of culture and intelligen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lace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a clue to precisely trace the bifurcation of study and literature and the differentiation of knowledgeable things and literary ones that appeared at this time was prepared.
이 논문은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전개된 담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문학과지성』이라는 매체를 공유하면서 풍부한 사유를 제출했던 여러 비평가들의 상호 영향관계를 추적함으로써 『문학과지성』이 다양한 담론이 존재하고 교차하는 대화적 장소였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비평적 글쓰기의 확장된 형태로서 문학과지성사의 기획 출판활동 또한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출판사의 운영과, 출판사와 계간지의 공동 노선의 구축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현재의 문학적 제도의 기원을 탐색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한편, 『문학과지성』의 비평은 문학과 지식의 순환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이들의 비평담론을 문학-지식으로 명명하고, 문학장(場)에서 문학적인 것과 학술적인 것, 작가와 지식인, 그리고 비평가의 공동 영역과, 매체와 제도, 자본과 같은 문학 외적 원리와 규칙에 의해 교차하고 대립해나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2장에서는 1960년대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의 글을 통해 인식론, 보편성과 사회성에 관련된 미학과 성찰성과 내면의 사회적 가치(시민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른바 4·19 세대는 유년의 전쟁 체험과 한글 교육을 통해 획득되었다고 여겨지는 사유의 주체성과 언어감각의 세련성을 통해서 범주화되었고, 어느 시점에 이르러서 이 주체성과 언어의 양식은 4·19라는 사건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 재규정된다. 하지만 이들이 줄곧 주장하는 그들의 언어 의식과 세계 인식에의 주체성은 애초에 전쟁 체험이 그들에게 가져다 준 변화였다. 4·19를 직접 거론하지 않고서도 설명되었던 이들의 세대적 정체성은 4·19라는 상징을 전유함으로써 한국사에서 특권적 위치를 점하게 된다.(2장1절) 󰡔산문시대󰡕와 등단작 등에서 나타나는 외국문학이론에 대한 의존성은 이들이 서구 이론을 통해 문학의 현대성을 모색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김주연과 김현, 김치수는 상투화하지 않는 20세기 문학의 창의성에서 전문적 독서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독서를 통해서 의미가 재창조되어야 하는 문학의 현대성은 비평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며 나아가 비평을 통한 창조가 가능함을 보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한국인으로서 도달할 수 없었던 유럽적 보편성은 오히려 4·19세대로 하여금 내면성과 자기 자신의 문제에 천착하게 만들었다. 이때 자기 자신에 대한 사유, 즉 한국적인 것에 대한 고민은 문학이 성취해야 할 사회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나타났다. 내면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미학에 결부된 사회성은 이후 이들의 비평에서 주요한 기준점으로 나타났다.(2장2절) 김현과 김주연은 세계와 개인이 교차함으로써 드러나는 세계의 의미를 주체적으로 사유하는 개인으로서 개성적 인간을 강조하였다. 김주연이 제출한 소시민은 인식론적 단절을 감행한 순수한 인간이며, 주체적 사유와 세계에 대한 탐색을 통해 개성적 인간으로 변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담지한 존재였다. 소시민이 개성적 인간이 되는 과정에서 세계와 사물은 제각각의 의미를 획득하고 이와 같인 개성과 내면을 통과한 현실과 이념은 그 자체로 다양성을 표상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편, 소시민은 비-사회적 인간형을 인정하는 논법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시민과의 관련성 속에서만 이해되었다. 이와 같은 소시민에 대한 비판담론에 이끌려갔던 김주연 등의 글은 소시민을 시민으로 여겨지는 형상으로 만드는 동시에 성찰성과 지식인성을 투사한 시민을 염두에 둔 개념으로 재논의하고 있었다. 이는 이전부터 그들이 제출했던 문학의 현대성이 시민에게 겹쳐지는 방식이기도 했다.(2장3절)

3장에서는 『문학과지성』 창간 당시에에 구축된 문학-지식의 지향점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1960년대 여러 대립과 논쟁 등을 통해 제기되었던 개성, 보편성, 사회적인 것과 질서로서의 도덕/윤리는 이들의 인식과 미학에 주요한 기준이 되었다. 또한 1960년대 문학장에서 대립적 구도로 지속되었던 논쟁을 극복하고 초월하는 방식으로 이들의 미학과 인식은 재차 강조된다. 문학과 비평의 본질을 묻는 작업인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자신들까지 이어지는 문학적 계보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이 문학사와 나의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완전한 자기 정립을 구상했던 것이라 할 수 있다.(3장 1절) 한편, 『문학과지성』의 문학적 이념은 창간을 즈음한 리얼리즘 논쟁에서 뚜렷해진다. 『문학과지성』에서 상상력은 규정적 판단이 아니라, 반성적 판단을 의미하는 것이며, 문학을 한다는 것은 의미화되지 않은 현상에서 보이지 않는 의미(구조/사회모순)를 발견하여 이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김현을 비롯한 『문학과지성』의 리얼리즘은 세계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의 리얼리즘으로, 이는 세계의 현실을 인식하고 이를 구성적인 진실로 만드는 상상력과 타자의 체험을 자기화하고 보편적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감수성을 매개로 가능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발견되는 리얼리티, 문학적 진실은 그것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현실에 관여하는 문제로 나아가는데, 이들은 이것이야말로 문학으로서의 정치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보았다.(3장 2절) 현실을 상상력을 통해 구성하고 문제를 인식하는 것, 그리고 이를 문학적인 형상으로 바꾸어놓는 것이 문학의 역할이었다면, 지성은 이와 같은 작업을 지식을 통해서 이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상력은 지성인에게도 요구되는 항목이며, 상상력을 통해 보이지 않는 사회적 모순을 발견할 수 있는 사회적 상상력을 통해 지식인이 사회에 관여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지성론의 배경에는 고민과 비판의 자유를 향한 당시 지식인의 갈망이 놓여있었다.(3장 3절)

4장에서는 『문학과지성』이 독서와 독자(대중)의 가치를 발견하고 문학-지식의 소통 가능성을 모색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문학사 서술, 출판 등 다양한 작업으로 구현되었으며, 이는 대중담론에서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었다. 『문학과지성』의 비평가들은 의미인의 문학사 서술을 통해 새로운 문학-지식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문학사󰡕는 서구중심적이지 않고 주체적인 문학사 서술을 목적으로 기존의 인식과 편견에 사로잡힌 문학사 인식을 극복하려는 작업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후진성, 근대, 민족과 같은 선험적 조건들에 의존함으로써 자신들이 비판했던 기존 문학사의 문제점을 그대로 드러내는 한계를 보였다. 구조주의적 독서, 해석자의 능동적인 의미 부여를 통해 문학들의 새로운 관계를 찾고자 했던 문학사 서술의 기획을 공유하면서도 김주연과 김치수의 역사 인식 방식은 󰡔한국문학사󰡕의 그것과는 차이를 노정하고 있다. 김주연은 작가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사, 작가가 놓여있는 자리로서의 사회적인 것을 고려하는 문학사를 제안한다. 이때 김주연에게 사회는 시대의 의미와 정신, 세계를 투시할 수 있는 또다른 예외적 개인들의 집합이었다. 이렇게 볼 때 사회적인 것이란 현실 초월적인 것으로만 이해되며, 이 사회의 구성원인 작가의 산물로서 문화는 물질적인 것을 초월하는 정신적인 것의 숭고함으로 나타난다. 한편, 김치수는 문학사회학의 관점에서 작가라는 돌발적이고 예외적인 개인의 역사가 아니라, 그 작가가 놓인 사회, 체계의 역사로 문학사를 새롭게 쓰자고 주장한다. 서구의 문예사조를 상대화·역사화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문학의 역사, 혹은 한국의 사회에 조응하는 문예사조를 발견하자는 것이 김치수의 주장이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인식은 선진-후진의 우열적 구도에 내재한 힘의 질서를 간파하게 한다.(4장1절) 1970년대 후반은 문학의 매체와 출판이 통합되는 시기이기도 했다. 출판은 이들의 문학론과 자신들이 고평하는 작가의 작품이 다양한 형태로 유통할 수 있게 했다. 이와 같은 문학-지식의 확산을 통해 이들은 자신들의 미학을 전달하고자 했다. 한편, 이 출판은 매체와 출판 자본을 소유한 자들의 권력 작용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지식을 확산시키려는 의지는 자신들의 앎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계몽주의자의 욕망에 같으며, 이는 무언가에 대한 선택과 배제라는 이성의 작용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이성의 의지는 문학-지식을 상품으로 만듦으로써 가능했고, 이 과정에서 『문학과지성』의 동인들은 우연히도 자신이 생산한 상품을 선택하는 독서대중의 문화적 수준을 자각하게 되기도 했다.(4장 2절) 출판의 확산, 독서 인구의 증가는 이들에게 대중을 재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대중매체의 확산은 지식인-비평가 스스로도 대중임을 자각하게 하였으며, 대중의 독서 현상, 혹은 문학-지식의 출판이 보여준 의외의 흥행은 대중의 지식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주었고, 이는 문학-지식의 보편화에 대한 풍부한 사유를 이끌었다.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난 대중 인식의 변모는 이러한 맥락에 놓여 있었고, 그 과정에서 독서 대중과 소통 가능한 형식으로서의 문학 기법이 논의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했다.(4장 3절)

이와 같은 논의는 1970년대 문학과 비평의 논리, 그리고 문학의 기능에 대해 질문했던 다양한 문학자들의 미학적 실천을 확인하는 작업이며, 동시에 현재의 문학 비평과의 연속과 단절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출판자본의 형성과 확산의 과정이 문학의 담론적 향보와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문화와 지식의 확산에 관한 문학-지식적 작업이 문학의 생산과 소비의 장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74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