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월남 작가의 문학 세계에 나타난 주체 형성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subject formation process in literary world of the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Focused on Choi Inhun and Lee Ho-cheols novels.
최인훈과 이호철의 소설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소영

Advisor
방민호
Major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19. 2. 방민호.
Abstract
이 논문은 한국현대문학사의 대표적 월남 작가라 할 수 있는 최인훈과 이호철의 소설을 중심에 두고 그들의 자기 전유를 통한 문학 세계 구축 양상을 고구하기 위해 쓰였다.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현대 문학사를 설명하는 가장 연속성 있는 개념 중 하나는 분단 문학이다. 한반도 분단 체제의 배경이 된 것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 소로 양분된 전 지구적 질서였다. 냉전(cold war)이란 말 그대로 눈에 보이지 않되 지속력 있는 전쟁 상황을 가정한 채로 적을 상정하면서 구축되었다. 말하자면 적대적 공존의 질서가 냉전 체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냉전의 행위주체인 국가가 위기담론을 형성하고 권력을 배타적으로 행사함으로써 존속될 수 있었다.

문제적인 것은, 냉전이 이른바 마음의 분단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아(我)와 피아(彼我)의 구획과 대립, 타자를 통한 주체의 공고화가 냉전의 기본 성분이었던 바 이는 그 같은 체제 하에서 분단체제를 종용받은 민중에게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게 되었다.

분단체제란 적대적 공존관계를 이루고 있는 정권에 의해 민중이 소외되어야 했던 현상이며 그 안에서 실질적인 대립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남북의 체제가 아니라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권력 계층과 민중이다. 즉 분단 문학의 개념은 해방과 분단, 전쟁이 야기한 월경의 의미를 성찰하는 측면에서 끊임없이 되새겨지고 되물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와 같은 맥락에서 간과될 수 없는 존재가 바로 월남(북)민이다. 월남민은 대체로 1945년부터 1953년의 시기에 정치적 박해나 다른 여러 상황에 의해 한반도 민족 공동체의 북한 지역에서 다른 체제를 가진 남한으로 이주한 존재를 뜻한다. 분단 체제의 뼈아픈 그림자로 역사에 존재해 온 월남민들은 해방 직후만 해도 귀환 전재민의 부류에 소속되어 포용해야 할 동포로 인정받았다. 그러다 3.8선이 생성됨과 동시에 월남 따라지로 달리 불리며 경계의 대상이 되었고 전쟁 및 그 이후 반공체제가 공고화되는 과정 안에서 빨갱이라는 호명으로부터 내내 자유로울 수 없었다.

월남 작가에 대한 기왕의 조명이 고립된 해석에 갇혀왔던 까닭도 거기에서 비롯된다. 이는 축적된 연구의 양이나 질 보다는 방향성의 문제인데, 북과 남의 체제가 경직되면서 월남 작가의 텍스트가 곧 반공적, 친정권적 텍스트라는 도식이 강력하게 작동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거기 환원되지 않는 개별 작가들의 생애사적 측면과 문학 세계는 긴밀하게 발화 될 지평이 마련되기 어려웠던 것이다.

분단 이후 한반도의 굴곡진 현대사는 이렇듯 과거와 과거의 흔적을 객관적으로 검토하려는 시선의 불가능성을 어떤 운명적 한계처럼 연구자들에게 안겨왔다. 기실 월남 작가를 이데올로기적 수사―반공적, 친 정권적이라는 선입관 안에 가두려는 시각은 여전히 건재해있다. 이를테면 월남 작가들이 생산해 낸 텍스트를 적법한 남한 사회의 국민되기, 달리 말해 전향의 과정으로만 보는 시선 등이 있다.

이는 물론 국시로서의, 일상을 장악한 헤게모니로서의 반공주의 같은 이념과의 상관성 안에서 이루어진 논의가 무소용이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더불어 월남 작가의 행적에 대한 평가가 축소되거나 간과되어야 한다는 것도 아니다. 다만 작가와 작품 활동을 추동한 보이는, 보이지 않는 역학에 대한 추적 역시 그에 못지않게 중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여기서 강조하고 싶다. 북으로, 남으로 불가피하게 이동해야 했던 사람들의 삶과 그 지반은, 해방과 6.25 이후를 지나온 한국 사회 전반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국 문학사의 대표적인 월남 작가 최인훈과 이호철이 지닌 월남민으로서의 자의식과 문학 세계의 원심성과 구심성을 살펴봄으로써 월남 작가라는 집단적 가능성 속에서 개별 작가의 변별성을 밝히는 연구의 자리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최인훈은 1959년 등단한 후 후기 희곡 창작 및 『화두』를 포함하여 1990년대 중반까지 작품 활동을 지속했고 이호철 역시 1955년 데뷔 이래 2016년의 작고 직전까지 60여 년 간 창작활동을 지속하면서 특히 1960년대 및 1970년대의 대표적인 작가로 남아있다. 이들은 월남민으로서의 자전적 경험을 시대를 탐사하고 성찰하기 위한 하나의 측심추(測深錘) 삼았다는 점에서 닮아있다. 월남민의 자의식을 바탕으로 쉼 없이 소설을 써낸 두 작가는 자신이 처한 존재론적 위상을, 남북한의 정치사회적 질곡의 표지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학적 궤적은 이른바 월남 작가라 불리는 작가군의 행보 안에서도 특기할 만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말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소설을 써낸 한 작가가 드물기도 하거니와 그로써 오래(적어도 미소 냉전 체제 와해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현장들을 성찰하려했던 시도 또한 흔치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최인훈과 이호철이 월남 이전 초기 이북체제에서 얻었던 사회주의의 경험을 전유하여 각각 남북한의 이데올로기를 조감하는데 활용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후술되겠지만 두 작가에게 사회주의의 경험이란 교실(지도원 선생)에서 습득된 진영 논리와 그것과 도서관(책)을 통해 맞닥뜨린 좀 더 본질에 가까운 이데올로기 사이의 파열음으로 점철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해방 이후 남북한을 유사한 방식으로 속박시켰던 억압적 이념을 지양하고 비판적 인식 체계를 소설 속에 기입할 수 있었을 것이다.

논문의 2장에서는 전사로써 해방 이후 월남민의 위상 변화와 월남 작가의 자기 정위 유형을 다룬다. 이와 더불어 최인훈과 이호철의 원산 경험이 그들의 사유의 결에 미친 영향을 구심성의 차원에서 추적한다. 3장과 4장에서는 각각 최인훈과 이호철의 문학 세계의 심층을 자전적 맥락들과 연결 지어 논의한다. 같은 발원지를 지닌 작가들의 문학이 각기 역사철학적 문학론과 수정주의적 문학론이라는 상이한 좌표로 나아가는 과정을 원심성의 맥락에서 논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ocus on the novels of Choi Inhun and Lee Ho-cheol, two major writers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who moved to from North to South Korea, and track the formation of the subjecthood as shown in their literary world.

On of the concepts with the greatest continuity that describe the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from the national liberation to the present time is the literature of the national partition. What backgrounds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global order set up on the division between the US and the USSR following the Second World War.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people remain alienated by the regimes that have established hostile coexistence. And it is not people in South and North Korea but the power elites who actually constitute the opposition. In a nutshell, the role of the literature of partition lies in endlessly revisiting and requestioning the significance of border-crossing, which was caused by the liberation and the war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And the people who moved to south cannot be overlooked in that context. They moved from the northern half of the Korean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southern half with a different political system because of political persecution or for other reasons. Those people who moved to south who have served as the victims of the national partition in history could not free themselves from the consolidation of the anti-Communist regime in South Korea. This is why the erstwhile study on the writers who moved to south is limited.

However, one cannot neglect the task of tracking the dynamics that have driven the writers who moved to south and their creative work. Understanding the life of those who inevitably moved to north or to south and its basis has to go hand in hand with the reflection on the entire Korean society that has experienced the local life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ased on such critical thinking, this thesis treats the literature of Choi Inhun and Lee Ho-cheol, two major writers in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who moved from north to south. By examining the common self-consciousness and the different creative works that the writers harbored as writers who fled to south, this study wants to create a basis for the study on the group of writers who moved to south.

Since his debut in 1959, Choi Inhun carried on his literary creation as late as the mid-1990s, which included the plays in his later years and Hwadu (Question for Reflection). Since his debut in 1955, Lee Ho-cheol carried on with his creative work for 60 or so years right before his death in 2016, thus cutting a figure as a major writer in the 1960s and the 1970s.

Their careers stand out even among those of the writers who also came from North Korea. Writers rarely created novels continuously into their late years, and rarely tried to reflect on the scenes of the modern Korean history for so long (as late as up to the breakdown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USSR.

This thesis aims to show how Choi Inhun and Lee Ho-cheol appropriated their experience of socialism in the early North Korean regime prior to their move to south to contemplate the ideologies of the two Koreas. The two writers experience of socialism is recollected as it goes through the world of books which helped them come to terms with partisan rhetoric and its fictiveness. Having come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this process, Choi Inhun and Lee Ho-cheol were able to stay away from the oppressive ideologies that governed the two Koreas in a similar way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and show in their works their criticism on the regime.

Chapter 2 of the thesis treats how the people who came from North Korea have changed and existed in South Korea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Besides, the study tracks the influences that Choi Inhun and Lee Ho-cheols experience in Wonsan have commonly exerted on their thoughts. Chapter 3 and Chapter 4 discuss the deep structure of the literature of Choi Inhun and Lee Ho-cheol in connection with their autobiographical contexts. The thesis will discuss the process in which the literature of different writers with the same origin proceed to different coordinates with a view to their differentiation.



Keywords: the Writers who came from North Korea, Division Literature, trauma, Subjecthood Appeared in the litereay world, appropriation, Choi Inhun, Lee Ho-cheo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274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