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거지역 근린양육환경 사례 연구
미취학모의 양육활동 및 양육환경인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정선

Advisor
김광중
Major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19. 2. 김광중.
Abstract
이 연구는 포용도시(inclusive city)의 관점에서 서민층 여성 양육자가 근린주거환경에서 겪는 양육의 부담과 어려움을 조명한다. 19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통해 형성된 서울시 양천구 신월4동을 단일사례지역으로 하여 197명의 여성 양육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10명의 여성 양육자에 면접조사를 통해 근린환경과 양육활동, 물리적 환경에 대한 양육자의 인식과 사회적 이웃관계망에 대하여 알아보고, 양육자가 근린환경에서 경험하는 양육부담과 양육스트레스의 정도 및 요인을 파악하였다.

설문응답자는 모두 영유아자녀를 둔 미취학모로서 소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20~40대의 연령대이며, 중위 또는 그 이하의 가구소득계층에 속하는 서민층 여성양육자이다. 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취업상태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지만 평균적으로 주중에는 하루 6.0시간, 주말에는 하루 9.8시간을 아이를 키우는데 쓰고 있다. 응답자의 약 80%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고 있고, 약 20%는 가정에서 직접 양육하고 있다.

동네에서 집 밖으로 나가는 양육활동이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는 공원녹지, 상업시설, 놀이터, 의료시설, 공공보육시설 순으로 나타났다. 양육활동은 일간, 주간, 월간단위로 그 빈도를 구분할 수 있는데, 보육시설, 놀이터, 교육시설, 상업시설, 공공문화체육시설이 일간 또는 주간의 방문빈도를 보이는 가장 자주 방문하는 시설로 나타났다. 이용시간은 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데, 가장 자주 방문하는 놀이터, 공공문화시설, 상업시설의 경우 30분~1시간 또는 1시간 내외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양육관련 시설로의 이동은 주로 보행을 통해 이루어지며, 활동범위는 영아와 유아 두 자녀를 동반하는 경우 보행권은 200미터, 유아 이상의 경우는 400미터 범위가 일반적이다. 주중 양육활동은 주로 400미터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주말에는 신월4동의 경계 밖에 위치한 공원이나 공공문화체육시설을 이용하기 위하여 양육활동범위는 800미터로 확대된다. 그러나 주말이라도 양육자 혼자 자녀를 동반하여 활동하는 경우 활동범위는 400미터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양육자의 활동범위는 목적 장소, 자녀 연령, 동행 여부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신월4동의 시설환경에 대해서 양육자들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리커트 5점 척도 중 평균 2.6~2.7). 보육시설과 놀이터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만족감을 나타냈으나 전반적으로 동네에서는 자녀를 데리고 갈만한 곳이 없고 부족한 시설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공원, 공공문화시설, 주민커뮤니티시설에 대한 결핍감이 크게 나타났다. 보행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 정도의 수준(리커트척도 2.95)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인식은 범죄안전성에 대해 만족할만한 수준이라고 인식한 응답결과를 반영한 평균값으로서, 차량안전성, 보행편의성, 대중교통 접근성 측면에 대해서는 보다 부정적인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양육자들은 차량으로 인한 위험과 불편을 자녀를 동반하여 걸어 다니는 동안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법주차, 보도 부재 및 연속성 단절, 차량의 골목길 지배 등이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넓은 폭의 간선도로, 신호등이 없는 집산도로, 블록 내부 교차로가 위험한 지점으로 지적되었다.

양육자의 물리적 근린환경(시설환경,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양육활동은 총량적으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보육시설, 놀이터 등 필수적인 활동보다 공공문화체육시설과 같이 선택적인 활동인 경우에는 상관성을 보였다. 놀이여가시설은 시설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이 높을수록 활동시간이 늘어나며, 상업편의시설은 활동빈도가 증가한다. 공공시설에 대한 인식은 활동빈도 및 시간 둘 다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는 물리적 근린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양육활동이 위축되거나 활성화될 것이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부합한다. 그러므로 선택적인 활동의 경우 시설환경과 보행환경의 안전성, 편의성, 접근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조성되지 않으면 양육자의 외부활동은 제약을 받는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시설환경 및 보행환경에 따라 외출에 대한 부담감, 외출제약으로 인한 고립감, 자녀교육 미흡에 대한 자책감 같은 양육스트레스를 받는다는데 대해 신월4동의 양육자는 보통이하(리커트 척도 2.56~2.96)로 응답하여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리커트 척도별 응답자의 분포를 보면 부담감(33%), 고립감(13%), 자책감(31%) 유형별로 일부의 응답자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신월4동 여성양육자의 약 1/3은 집밖으로의 외출에 부담을 느끼고 이에 따라 자녀에게 미안한 자책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는 시설환경보다 보행환경으로 인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양육자보다 영아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크게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활동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 양육활동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양육스트레스 중 외출 부담감이 늘어날수록 양육활동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월4동의 여성 양육자들이 일부이기는 하지만 양육활동을 매개로 서로 알게 되고 교류하며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켜나가고, 때로는 양육에 도움을 주는 단계에 이른다는 점을 보여준다. 양육을 통해 알게 된 이웃의 수는 평균 4.6명이며, 응답자의 1/4은 이웃관계가 없다. 이웃은 주로 보육시설, 놀이터, 집근처에서 마주친 것을 계기로 알게 되었고, 놀이터, 보육시설, 시장 같은 거의 매일 들리는 일상생활공간에서 이웃과 만나 대화하고 교류한다. 양육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는 만남의 횟수가 증가하면서 강도가 높아지고 다양한 형태의 도움을 주고받는다. 도움의 형태로는 육아정보공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지지, 자녀친구관계, 육아물품공유, 자녀돌봄부탁 순으로 나타났다.

이웃의 양육도움은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므로 양육자에게 중요한 사회적 환경이라 할 수 있다. 자녀돌봄을 부탁하는 이웃도움은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육아정보 공유, 정서적지지, 육아물품공유 역시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영향 관계를 가진다. 이웃교류빈도도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주 만날수록 당면한 양육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웃의 경험담을 들으며 정신적으로 위안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면접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기성시가지 내 일반적인 서민 주거지역이 보다 바람직한 양육환경이 되기 위해서는, 양육자의 활동범위를 고려한 계획, 다양한 공공시설의 확충, 주거지역 보행환경의 개선, 양육자간 사회적 교류를 높일 수 있는 커뮤니티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ordinary residential neighborhood from the perspective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Shinwol 4-dong, Seoul, was selected as a single case study area to gain a fuller contextual understanding of parenting realities. A total of 197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ere surveyed in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and 10 were interviewed in unstructured and in-depth mode. The investigation was aimed at unveiling their outdoor parenting activities, satisfaction level toward the facilities and pedestrian environment, mutual parenting support between mothers, and their parenting stresses.

The study finds that their outdoor parenting activities take place in daily, weekly, and monthly intervals, depending on the type of destination visited. The most vital and frequent destinations are day care centers, playgrounds, educational institutions, commercial sites, and public cultural facilities. Walking appears the most common travel mode. The spatial coverage of travel depends on the age of the child: the younger, the smaller the coverage. Coverage of 200 meters is common for a mother walking with a child younger than three years old, and 400 meters for a child older than that. On weekdays, most outdoor activities take place within 400 meters coverage: this expands to 800 meters and beyond on the weekends, when family leisure travel is practiced.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mothers in the study area think their neighborhood provides the needed facilities neither sufficiently nor satisfactorily. Day care centers and playgrounds are perceived as satisfactory, but they think the neighborhood lacks parks and public and community facilities providing various cultural, sports, and other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to pedestrian environment, the parenting mothers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due to threatening car traffic, ill-maintained sidewalks, and poor accessibility to transit. They complain that these difficulties are persistent throughout their journeys with children. They feel unsafe as they navigate the car-dominated alleys and cross the wide arterials.

The study finds that this perception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the pedestrian environment affects the level of outdoor activities of mothers with their children. Such necessary activities as going to day care centers and playgrounds take place anyway, regardless of the satisfaction level. However, option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pursuits and shopping are affect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he more such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poor facilities and pedestrian environment discourage outdoor activities and tend to confine parents to home.

The study discloses that this confining effect may not lead to parenting stress in general. Yet there are small groups (13 to 33 percent of respondents) who experience a negative psychological burden due to their limited outdoor travel. This parenting stress includes a general sense of difficulty of outdoor travel, a sense of isolation, and a a feeling of failing their children. Their troubles are due more to pedestrian environment than to facility dissatisfaction.

The study also shows that some portion of mothers in the study area develop relationships that provide mutual support for raising their children. On average, each mother comes to know 4.6 other parenting mothers, mostly from encounters at day care centers, on playgrounds, and around the home. Those places, as well as neighborhood markets, are cited as major meeting places where such relationships deepe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more they have such encounters, the deeper is the relationship. This mutual support includes, in decreasing order: parenting information exchange, emotional comfort, development of friendship between children, sharing of parenting materials, and requests to care for children. The study also shows that more frequent meetings lead to a greater possibility of building a mutually helping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rdinary Korean neighborhoods should be more inclusive by considering parenting mothers in their planning and management. The residential neighborhoods need accessible public community facilities, safe and walkable residential streets, and more meeting places for mothers to make social contac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309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