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간이영양상태조사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로 조사한 일개 복지관 여성노인의 영양상태 평가와 관련요인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소현

Advisor
최스미
Major
간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2. 2. 최스미.
Abstract
재가 노인의 5-10%는 영양상태가 불량하며, 영양불량으로 인한 근육소모 및 체중감소 등의 신체적 증상과 건강상태의 악화로 삶의 질이 낮아지고 만성질환의 치료와 회복에 어려움이 따른다. 노인의 영양불량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노인의 건강유지 측면에서 볼 때 영양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해 먼저 노인의 영양상태에 대한 평가가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이영양상태조사지(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를 통해 여성노인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노인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영양상태는 MN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영양소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해 3일간의 음식섭취량을 조사한 후 영양소 분석프로그램인 CanPro 3.0로 분석하였다. 영양관련 혈액지표는 호모시스테인, 트랜스페린, 프리알부민, 림프구 농도를 측정하였다. 우울은 우울측정도구(Korean Geriatric Depression Scale), 사회적 지지는 Enriched Social Support Instrument, 체내 항산화능은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assay, 지질 과산화물은 Thi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assasy로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 노인을 위한 DASH 식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2011-4)에 참여한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별한 질환이 없는 서울시 소재의 일개 복지관에 등록된 만 65세 이상 여성 노인 120명으로, 이 중 최종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는 100명이었다. 자료는 훈련된 연구원이 일반적, 임상적 특성과 영양상태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고 영양관련 혈액지표는 금식 후 채혈하여 전문 업체에 의뢰하였다. 대상자의 항산화능과 지질과산화물 수준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기초간호과학 실험실에서 직접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불량 대상자는 정상 대상자보다 고지혈증 환자가 많았으며 식이섬유 결핍률이 높았고 채소 섭취가 일주일에 3회 미만인 대상자가 많았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복부둘레가 클수록, K-GDS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도가 낮을수록 MNA 점수가 낮았다.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한달 용돈 사용을 보정 후 고지혈증이 있고, 사회적 지지도가 낮을수록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양관련 혈액지표 및 항산화능 값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영양상태를 보정한 후 연령에 의한 차이만 있었다. 또한 영양소 섭취 결핍 혹은 과다인 영양소의 개수가 7개 이상인 대상자는 7개 미만인 대상자보다 연령이 높고, 사회적 지지도가 낮았으며, 전체 영양소 섭취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당뇨가 있을 경우,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 경우, 우울이 없을 경우 섭취량이 결핍 혹은 과다인 영양소의 개수가 7개 미만일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체적, 사회경제적 요인이 노인의 영양상태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영양불량이 발생하고 비만, 당뇨, 고지혈증, 우울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영양상태가 더욱 불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영양상태를 개선하는데 있어 포괄적이고 정확한 영양상태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반영하여 노인의 영양상태를 개선시키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영양상태는 연령, 만성질환, 경제적 수준과 독립적으로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영양상태는 좋았으므로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만성질환을 보유한 노인일지라도 정부나 지역사회의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식생활의 변화로 노인의 영양상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are associated with biological and socioeconomic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to it in the Korean female elderly.
A hundred female elderly attending a local elderly welfare center were recruited. Evaluation included demographic and clinical status, nutritional status using Mini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al intakes, nutritional bioparameters such as their homocysteine, transferrin, prealbumin, lymphocyte count, and antioxidant power status.
While 83% of the subjects were recognized to be undernourished, they had more often hyperlipidemia and fewer intakes of fiber (p<0.05, respectively) and vegetables than normal subjects. In correlation analysis, nutritional status was associated with abdominal circumstance, Korean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 score and Enriched Social Support Inventory (ESSI) score. Nutritional bioparameters and antioxidant power status were associated with age among undernourished subjects, but not associated with it in undernourished and normal subjects. Old ag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and poor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undernutrition. Poor social support,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total nutritional intakes deficiency after controlling age, educational and economic status.
In conclusion, age, chronic disease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undernutrition to the elderly. The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support in Korean female elderly may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394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