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 암환자의 경구용 항암제 복약순응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정실

Advisor
최명애
Major
간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2. 2. 최명애.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경구용 항암제를 복용하는 노인 암환자의 복약순응도와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복약순응도에 차이를 나타내는 특성을 확인하며, 복약순응도와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이다.
2011년 7월에서 9월 사이에 서울시내 일개 병원의 혈액종양내과에서 경구용 항암제로 치료중인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 8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구용 항암제의 복약순응도는 알약세기와 약물복용시간, 횟수, 용량에 관한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은 8문항, 4점 척도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담과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은 실수, 백분율을 산출하고, 복약순응도와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복약순응도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로 분석하였고, Scheffe test와 Mann-Whitney U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복약순응도와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알약세기 복약순응도는 평균 87.7%이었고, 자가보고 복약순응도는 10.5점이었다. 복약순응도에 차이를 나타낸 특성은 교육수준, 항암제 분류, 항암치료의 목적, 치료에 대한 신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육수준의 노인암환자가 무학을 제외한 다른 교육수준에 비해 자가보고 복약순응도가 낮았고,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표적치료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비해 알약세기 복약순응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치료에 대한 신념이 없는 경우와 항암치료의 목적이 보조요법인 경우 알약세기와 자가보고 복약순응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은 평균 26.5점이었다. 알약세기 복약순응도 및 자가보고 복약순응도와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알약세기 복약순응도 및 자가보고 복약순응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암환자의 경구용 항암제 복약순응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복약관련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dherence to oral anticancer drugs and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of elderly cancer patients.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84 elderly cancer patients(Age≥65), who were being treated with oral anticancer drug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July, 2011 to September, 2011. Adherence was measured by pill count, and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items with time, frequency and dose.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a tool for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consisted of 8 items with 4-point numeric rating scale. Adherence and self-efficacy were present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 of subjects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or Kruskal-Wallis test. Correlation between adherence and self-efficacy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ean adherence rate by pill count method was 87.7%. Self-reported adherence score was 10.5 out of 12. Self-reported adherence was less in subjects with middle school level education than those with other education level only except for no education group. Pill-count adherence was less in subjects being treated with hormonal agents compared to those with molecular targeting agents. Adherence to oral anticancer drugs was less in subjects without belief in treatment than those with belief in treatment.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ill-count adherence, and self-reported adher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enhancing self efficacy to promote the adherence to oral anticancer drugs for elderly cancer patients need to be develop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394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