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한옥에 대한 복원적 연구
대한제국기 도시한옥 측량도면을 바탕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창수

Advisor
전봉희
Major
건축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2. 2. 전봉희.
Abstract
이 연구는 가옥의 외곽선만 그려져 있는 대한제국기 도시한옥의 측량도면을 바탕으로 평면부터 구조, 입면에 이르기까지의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한옥의 건축적 내용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대한제국기의 근대적인 토지제도에 의하여 만들어진 도시한옥에 관한 도서 『토지가옥증명원본(土地家屋證明原本)』과 『토지가옥전당증명원본(土地家屋典當證明原本)』은 토지 및 가옥의 명확한 소유권 확립을 목표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당시의 도시한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특히 근대적인 측량 기법과 제도에 의해 작성된 측량도면은 도시한옥에 대한 정확한 건축적 형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대한제국기 도시한옥에 대한 복원적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본적 토대가 된다. 그러나 도서에 기록되어 있는 가옥의 정보는 토지 및 가옥의 평(坪), 칸(間) 등 규모 위주의 한정된 정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정보만으로 도시한옥의 복원을 진행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정보의 부족을 채우기 위해서는 당시의 가옥에 대한 2차 자료의 정보 및 목조 건축의 이론적인 내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정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건축물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정보들 간의 간극을 메워야 하는 가정 설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들과 가정에 의해 진행되는 복원적 연구는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한옥을 온전히 재현하지 못하더라도 잠정적 결론으로서 건축사적 의미를 가진다.
복원은 평면과 구조 및 입면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평면 복원은 칸 나누기, 실 구성하기, 치수 조절하기의 세 단계로 구성하여 각 단계마다 세부적인 가정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복원 대상으로 선정한 가옥에 적용하여 평면 복원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구조 복원은 도시한옥을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상부 가구와 지붕형태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상부 가구는 도시한옥의 규모와 평면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가구형식 등을 추정하였다. 지붕형태는 사진자료 등을 통하여 유형을 결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서까래 배치를 복원하였다. 그리고 입면은 도시주거로서의 특징이 나타나는 가로입면과 소규모 주택으로서의 특징이 나타나는 마당입면을 복원하였다.
위와 같은 복원 과정을 거쳐 본 연구는 대한제국기 한성부 도시한옥의 평면과 구조 및 입면까지 복원하였으나 전반적인 복원 과정에서 세밀한 부분까지 다루지 못 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면 복원은 세부적인 가정을 설정하여 도시한옥의 평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칸과 실의 복원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대한제국기 도시한옥 측량도면의 분석의 틀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구조 및 입면 복원은 도시한옥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상부가구와 지붕형태 및 주요 입면을 복원하여 이 후 대상 자료의 복원작업에 대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45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76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