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신순남의 <레퀴엠> 연작 연구 : A Study on the Series of Requiem Drawn by Nikolai Sergeyvich Shin
강제이주의 기억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명훈

Advisor
김영나
Major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12. 2. 김영나.
Abstract
신순남(Nikolai Sergeyvich Shin, 1928-2006)은 소비에트 시절 스탈린에 의해 강제로 이주되어 우즈베키스탄에 정착한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1세대 화가이다. 그는 자신이 겪은 강제이주의 기억을 바탕으로 1980년부터 1996년까지 연작을 제작했다.
1937년 강제이주는 신순남을 포함한 고려인들의 식민지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 당시 러시아 중심주의를 표방한 스탈린 체제는 차등적 민족분류작업을 통해 고려인들을 적성민족으로 분류하고, 민족분규를 막는다는 미명하에 1937년 중앙아시아의 각 지역으로 강제이주시켰다. 강제이주는 고려인들에게 떠올리기 괴로운 사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언급은 소비에트 체제에 대한 저항의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었기 때문에 금기시되었고 고려인들의 기억 속에서 점차 잊혀져갔다. 여기서 신순남은 연작을 통해 망각되었던 강제이주의 사건을 재현하고 고려인들의 역사적 운명을 담아 스탈린 체제의 탄압적 통치에 억압받았던 희생자들의 혼을 달래고자 했다. 신순남의 작품들은 이들에게 바치는 레퀴엠이었다. 민족주의적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는 연작은 소비에트의 감시가 덜했던 키르키스탄(Kyrgyzstan)에서 진행되었고 소비에트가 해체된 이후인 1990년이 되어서야 공개되었다.
연작에 나타난 기억하기는 과거의 자신과 현재의 자신을 돌아보게 하며 동일성을 회복시키고 타자로 상정하였던 자신을 주체로 구성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정체성의 문제를 내포한다. 고려인들은 정신적 외상을 주었던 강제이주라는 체험으로 인해 언제라도 그와 유사한 일이 반복될지도 모른다는 공포와 불안감에 떨어야 했고 점차 능동적 저항보다는 수동적 체념에 길들여졌다. 고려인들의 체념의 감정은 타자화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디아스포라를 겪은 사람으로서의 욕망과 맞물리면서 소비에트에 대한 동화현상을 빠르게 진행시켰다. 소비에트 사회로의 동화현상 속에서 고려인들의 강제이주에 대한 기억은 망각 또는 왜곡되기 시작했다. 그들은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소비에트에 유토피아적 이미지를 결부시켰다. 또한 낯선 땅의 풍경을 정겨운 고향의 이미지로 바꾸며 이질감을 동질감으로 대체시켰다. 강제이주의 진실을 직면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현재의 삶을 위험하게 했기 때문이다. 고려인들은 세대가 지날수록 자신의 동질성, 존재와 삶의 근원을 상실한 채 러시아에 동화되어갔다.
신순남은 이러한 현상을 소비에트 지배 담론으로 인한 고려인들의 내면화된 식민성으로 보았고 연작을 통해 여기서 벗어나고자 했다. 어렸을 때부터 소비에트 시기의 폐쇄된 사회체제에서 비교적 외래문화의 영향을 덜 받은 채 보존되어온 한민족 고유의 전통이나 관습을 접할 기회가 많았던 그는 기억하기로 인해 드러나는 정체성 문제에 대한 해답을 한민족이라는 민족적 테두리 안에서 제시했다. 특히 디아스포라의 민족적 정체성의 특성 중 객관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언어, 종교, 생활방식들을 연작에서 상징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후 일어난 소비에트의 해체는 그간 신순남이 모색해온 조국의 이미지와 한민족의 의미가 오직 관념 속에서만 상정되어진 것임을 깨닫는 계기로 작용했다. 특히 1988년도에 개최한 서울올림픽은 소비에트와 한국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가능하게 했는데 여기서 접한 문화적․경제적으로 발전한 한국은 그동안 고려인들이 그려오던 조국의 모습과는 차이가 많았다. 심리적, 원초적 안식처를 갈망하는 디아스포라를 겪은 사람으로서의 욕망이 한국이라는 관념적 이상향을 만들었던 것이다.
1996년 신순남은 레퀴엠이라는 미사곡의 마지막 장이라고 할 수 있는 을 제작했다. 이 작품 역시 고려인들의 강제이주와 정착의 경험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여타의 연작과는 다르게 고려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어떠한 기표도 찾을 수 없다. 이것은 이 신순남의 현실에 대한 저항의식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을 때 그가 정체성을 모색하는 과정에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소비에트의 공식적인 해체이후 중앙아시아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일어난 자민족 중심주의 정책은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는 약 20만 명의 고려인들을 주변화하며 민족적 정체성을 또 다시 약화시켰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자국어를 표준어로 지정하고 모든 공식 업무에서 우즈베키스탄의 언어만 사용하도록 했다. 이는 그동안 러시아 동화정책의 영향으로 현지어를 무시하고 러시아어의 습득에만 주력해왔던 고려인들에게 커다란 혼란과 부담을 주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고려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은 주변화 경향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었다.
결국 신순남은 식민지 경험으로 만들어진 민족이라는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모색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을 통해 전작들에 비해 변화된 모습을 드러냈다. 강제이주라는 사건을 다룬 작품이라는 점은 전과 같았지만 소비에트의 식민담론 하에서 규정되었던 민족주의적 색채에서 벗어던진 채 그 사건만을 담은 것이다. 신순남의 탈민족적 사고는 한국이라는 낯선 조국을 접하면서 인식하게 된 한국인도 아닌, 그렇다고 러시아인도 아닌 디아스포라를 겪은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깨닫게 되는 인식의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는 여기서 소비에트의 지배 담론에 의해 규정되어 온 민족이라는 관념적 테두리를 벗어나 강제이주라는 역사적 사건에만 주목하고자 했다.
연작에 드러난 신순남의 강제이주에 대한 기억과 그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탈식민성은 고려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고찰하게 해준다. 신순남은 타자화 되었던 자아를 연작을 통해 주체적으로 구성하여 자아정체성을 회복함으로써 소비에트의 지배담론이 내면화된 고려인들의 식민성을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민족적 정체성의 위기 속에서 이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Nikolai Sergeyvich Shin(1928-2006) is the first Korean artist who was forced out by Stalin in the Soviet Union and then settled in Uzbekistan. Based on his personal experience of deportation, Shin made a series of Requiem from 1980 to 1996.
The 1937 deport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event among colonial experiences of Koreans including Shin. The Stalin-led system which claimed to support Russo-centrism classified Koreans as enemy by preferential race classification. In the name of preventing ethnic complications, they were deported to Central Asian countries in 1937. Deportation was not only a painful experience to them, but if they mentioned it, that could be construed as an expression of resistance to the Soviet Union. Thus, it was strictly forbidden and the incident became forgotten in their memories. Through the series of Requiem, Shin tried to reenact the deportation, which was lost in memories. By dealing with historical destiny of Koreans, he desired to console the souls of victims who were oppressed by the repressive rule of Stalin. The series of Requiem, which reveals a strong nationalistic inclination, progressed in Kyrgyzstan where was under the less surveillance of the Soviet Union and it was not until 1990, the time after the Soviet Unions dissolution, that the Requiem got opened to the public.
Remembering poses some identity problems in that it makes someone look back himself on the past and the present, regain his identity and construct himself as a main entity, which was considered as otherness. Due to psychological injury, Koreans had to suffer from anxiety and fear that something similar can happen again. Consequently, they got accustomed to passive resignation rather than to active resistance. Koreans feeling of resignation got interlinked with desire for diaspora that struggled to escape from being otherness, which made assimilation with the Soviet Union more quickly. In the mid of the assimilation, peoples memories on deportation began to be forgotten or distorted. In order to get accustomed to the reality, Koreans combined Utopian image with the Soviet Union. Moreover, they changed unfamiliar scenery to familiar hometown and replaced a sense of difference with that of kinship. That is because facing the truth of deportation made them feel distressed and put their current life in danger. As time went by, Koreans got assimilated with Russia, losing their own identity, existence and roots of life.
What Shin struggled to eliminate through the series of Requiem was Koreans colonial disposition internalized by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Soviet Union. He had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Korean tradition and custom maintained under the weak influence by foreign culture in the closed society of the Soviet Union. Thanks to that, he suggested the answer to the question on identity posed by remembering in the ethnic frame of the Korean people. In particular, among the traits of ethnic identity of diaspora, he tried to suggest objective elements such as language, religion and lifestyle symbolically in the series of Requiem.
However, the Soviet Unions breakup made him realize that the Korean race was a mere ideal product.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enabled direct interchanges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Korea. At that time, Korea had developed culturally and economically, so that it was way different from the image of Korea that Koreans had imagined before. The desire of diaspora that longed for psychological and basic place to rest created an ideal utopia of Korea.
In 1996, Shin made Requiem, White Bird, Black Sun, which is the last chapter of mass Requiem. This work also deals with deportation and settlement of Koreans. Unlike other series of Requiem, however, any signal cannot be found that symbolizes the Korean ethnic identity. Considering that Requiem was derived from Shins sense of resistance to reality in which Koreans were ruled by the Soviet Union, it poses a chance of change in the process of seeking identity.
After the official breakup of the Soviet Union, ethnocentrism penetrated countries in Central Asia. It marginalized about 200,000 Koreans who lived in Uzbekistan and weakened their ethnic identity again. The Uzbekistan government designated their own language as a standard one and used only Uzbekistan language in every official business. Its language policy gave a huge confusion and burden to Koreans who had ignored their native language and focused only on learning Russian due to the Russian assimilation policy. In the circumstances, highlighting ethnic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worsened the trend of marginalization.
Consequently, Shin broke down the boundary of ethnicity, which was made by colonial experience, and sought another alternative. Through Requiem, White Bird, Black Sun, he revealed some changes from the original works. It also dealt with deportation, but he got out of ethnic colors fixed under the colonial discourse of the Soviet Union and included the incident only. He could have post-ethnic thought, because he went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he realized his identity as diaspora. As facing unfamiliar image of Korea, he thought of himself that he is neither Korean nor Russian. Through Requiem, he tried to confront deportation out of the frame called ethnicity which was provided by the Soviet colonial discourse.
Likewise, memories on deportation and the post-colonial disposition inherent in the hidden side enabled Koreans to consider their ethnic identity. Through the series of Requiem, Shin regained his self-identity by constructing himself independently and tried to overcome Koreans colonial tendency, which internalized colonial discourse of the Soviet Union. Therefore, he gave direction to the Koreans in identity crisi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56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5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