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민자의 시선에 담긴 미국 : America in the Immigrants Eye
조셉 스텔라의 1910-20년대 뉴욕 이미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경소

Advisor
김영나
Major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12. 2. 김영나.
Abstract
이민자 화가 조셉 스텔라(Joseph[Giuseppe] Michele Stella, 1877-1946)의 작품 세계는 20세기 초 유럽과 미국의 경계에 자리했던 예술가들의 상황을 잘 대변해 준다. 이탈리아 남부의 소도시 무로 루카노(Muro Lucano)에서 성장한 그는 1896년 가족들과 함께 미국에 건너왔으나, 일생동안 대서양 양단을 끊임없이 오가며 어느 한 곳에도 완전히 속하지 못한 이방인으로 살아야 했다. 스텔라가 미국과 이탈리아의 두 문화 사이에서 유랑하며 가졌던 생각과 느낌, 그리고 나름의 대처 방식은 뉴욕의 장관을 시각화 한 1910-20년대 작품들에 여실히 투영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 재현된 근대성의 지표들, 혹은 미국 문학가들과의 관계 등을 살핀 선행 연구들은 20세기 초의 미국 사회와 초기 미국 모더니즘 미술사에서 그가 갖는 특수성과 그 의미를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데 다소 미흡했다. 스텔라가 미국 사회에서 스스로의 위치를 어떻게 설정하였고, 또 그것이 작품 속에서 어떻게 표출되었는가에 관한 고민 없이 그가 뉴욕을 해석한 방식과 그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남동유럽 출신의 신 이민자들(New Immigrants)의 유입에 냉담했던 당시 미국의 내셔널리즘적 분위기에 주목하여, 이민자의 정체성이라는 시각에서 그의 뉴욕 이미지에 접근해 보고자 했다. 특히 본인의 삶과 예술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솔직한 감정이 녹아있는 여러 에세이 및 서신들을 검토하여 이민자로서의 삶이 스텔라의 예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 한 이미지 내에서 서로 다른 두 정체성이 표현되는 방식 및 그 미술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미국적 가치와 정서의 특수성을 지향한 미국적 미술에 대한 요구가 거셌던 20세기 초, 뉴욕 화단의 토착주의 경향 속에서도 스텔라는 유럽 예술에 대해 보다 열린 태도를 추구하고 보편적·국제적 가치를 표방한 아방가르드 집단들과 깊은 유대 관계를 형성했다. 먼저, 1915년부터 그는 아렌스버그 부부(Walter & Louise Arensberg)의 살롱에서 영향력 있는 유럽 예술가들과 교우하며 현대의 도시라는 소재와 이에 적합한 양식에 대한 고민을 공유할 수 있었다. 또한 뉴욕 미술계의 폐쇄적 분위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캐서린 드라이어(Katherine S. Dreier, 1877-1952)가 만든 소시에테 아노님(The Société Anonyme)의 주요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동시대 유럽의 다채로운 모더니즘 경향을 포용하는 데 앞장섰던 아렌스버그 살롱 및 소시에테 아노님과의 긴밀한 관계는 그가 유럽에서 유래한 전통 미술 형식 및 미학적 사고, 그리고 모더니즘 양식을 모두 통합하여 미국적인 소재들에 초월적 속성을 덧입힌 방식에 기여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이와 더불어 스텔라는 「아웃룩(Outlook)」이나 「서베이(The Survey)」등의 사회 복지 및 개혁적 성향의 간행물들과의 삽화 작업을 통해 주변 이민자들의 역할과 상황에 공감하며 미국 사회 내에서 이민자라는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인지할 수 있었다. 특히 「서베이」의 취재를 위해 찾았던 머농거(Monogah)의 광산 참사 현장과 피츠버그 제련소에서의 경험은 그가 이민 노동력과 미국 산업 사이의 강력한 공생관계를 목도하고, 산업적 풍경에 주목한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그의 복합적인 감정과 가치관들이 도시적·산업적 대상들을 다룬 작품에 투영된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과정이었을 것이다.
1913년부터 제작된 코니 아일랜드(Coney Island) 연작에서 스텔라에게 내재한 이중의 문화 정체성은 화려한 기술 문명의 성과에 대한 동경과 예찬의 시선 속에 이탈리아 미래주의 양식과 전통적 모티프들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사조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시각 언어라든지 카니발 주제, 그리고 추상적으로 표현된 마돈나 모티프 등에서 고국에 대한 화가의 향수가 짙게 묻어난다. 그러나 코니 아일랜드가 이민자들의 고된 일상이 가려진 가상과 환상의 세계였다는 점에서 미국에 대한 그의 입장은 명확히 파악하기 힘들다.
반면, 1920-22년 작 는 뉴욕 항, 브로드웨이, 고층 건물, 그리고 브루클린 다리와 같은 전형적인 미국적 소재 안에서 두 세계의 문화와 가치를 종합하며 본인만의 서사로 재구성했다는 측면에서 뚜렷한 변화를 읽을 수 있다. 맨해튼은 이민자인 스텔라가 실제로 부딪힌 현실이었기에 아마도 그의 자전적 태도가 보다 진솔하고 분명하게 표출될 수 있었을 것이다. 나아가 스텔라는 마치 이민자들과 함께 유입된 유럽의 전통과 문화 역시 미국 사회의 일부임을 선언하듯, 전통적인 제단화 구조를 참조하여 새로운 미국의 가치를 시각화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했다. 이처럼 그가 산업적·기계적인 도시 풍경에 종교미술이 가진 권위를 부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추구한 바는 미국에 대한 경의와 숭고의 감정을 유발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스텔라의 맨해튼 이미지들을 마주한 사람들은 단지 눈으로 보는 것에 머물지 않고 몸으로 지각하며 작품의 대상과 정신적인 교감을 이루는 것으로 나아간다. 여기서 작품에 대한 직접적 경험을 유도하는 압도적인 규모, 그리고 수직성에서 획득한 숭고함 같은 스텔라 예술의 본질적인 요소들이 추상표현주의나 미니멀리즘 같은 이후의 미국 미술 사조들에까지 관통하고 있음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스텔라가 이중의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를 가장 성공적으로 구축한 작품은 1919년부터 제작하기 시작한 6점의 브루클린 다리 연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첫 번째인 에서 그는 바림질 기법을 바탕으로 천상과 지하 세계의 이분법적 구도 속에 조화로움이 공존하도록 표현하여 정신적 분위기를 고조하였다. 그런가 하면, 를 구성하는 패널에서는 실제로 보이지 않는 아래층을 캔버스 한편에 그려 넣고, 그곳의 소리와 불빛을 선과 색채로 시각화하여 공감각적 경험을 유도했다. 이러한 방식들로 구현된 브루클린 다리 이미지에는 스텔라가 이민자로 살아가면서 미국 사회에서 경험했던 불안과 희망, 그리고 좌절감과 가능성 사이에서 충돌하는 감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그는 장벽이나 창살을 연상시키는 수직선들로 화면을 가득 채운다거나 대서양을 쉴 새 없이 오가야 했던 방랑적 삶을 암시하는 산책로의 시점을 강조하여 자신이 미국에서 느꼈을 좁혀지지 않는 거리감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 환기하는 일차적인 이미지가 문이라는 사실을 떠올려 본다면, 스텔라가 브루클린 다리 연작을 통해 전달하려 했던 메시지가 단순히 이민자로서의 소외감이나 단절감에만 머물러 있지 않았음을 추측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에서 부각된 두 개의 길고 뾰족한 고딕식 아치로 치장된 타워가 중세 유럽에 세워진 성당들의 정문과 흡사하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성당의 정문이 신성한 공간으로 인도하듯, 스텔라에게 성당의 입구와 닮아있는 고딕 타워는 맨해튼, 나아가 미국으로 들어가는 문을 표상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타워 사이로 보이는 맨해튼은 마치 기념비처럼 묘사되어 스텔라가 새로운 조국인 미국에 대해 갖고 있던 찬미의 감정을 은유적으로 비춰준다. 서로 단절된 두 장소를 이어준다는 다리 자체의 본질적인 기능과 의미에 초점을 둘 때, 그에게 브루클린 다리가 가지는 특별한 맥락은 한층 뚜렷해진다. 스텔라는 자신의 에세이들에서 가교의 이미지를 환기시키는 용어를 되풀이하고, 그림을 통해 물리적인 다리를 정신적이고 초월적인 존재로 격상시킴으로써 이 세계와 저 세계, 그리고 우리와 당신들을 이어주는 다리의 상징성을 역설했다. 종합하건대, 비록 이중의 국가 정체성에서 기인하는 갈등이 그의 일생동안 지속되었던 것은 분명했지만, 스텔라가 다른 주제에 몰두했던 이후 시기에도 간간히 브루클린 다리를 그리곤 했다는 사실은 끝까지 그가 자신의 토대인 미국과 유럽이라는 두 세계 간의 결합을 소원했음을 짐작하게 해 준다.
이 논문은 이민자의 시선을 논의의 틀로 삼아 스텔라의 1910-20년대 뉴욕 이미지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그가 예술을 통해 궁극적으로 발언하고자 했던 바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작품들은 현대 미국 사회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는 다원성의 가치를 성공적으로 구현했다는 측면에서 이민자들로 새로워진 미국 사회를 담은 미국적 미술의 주요한 흐름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20세기 초에 전개된 미국적 미술에 대한 기존의 편협한 논의는 스텔라처럼 경계에 놓여있던 예술가들까지 포괄할 수 있는 범위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The art of immigrant painter Joseph Michele Stella(1877-1946) is extremely representative of the situation of the artists who were caught in the boundary between America and Europe in early twentieth century. Raised in Muro Lucano, a small town in southern Italy, Stella went to America in 1896, and had to live as an alien who did not completely belong to either society, coming and going across the Atlantic Ocean throughout his entire life. His thoughts of, feelings about, and his responses to this unstable situation are vividly reflected in his works from 1913 throughout the 1920s, which visualized the spectacle of New York. Nonetheless, former studies, which solely focused on the modernity portrayed in Stellas paintings or his relationships with American writers, do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specialty of Stella and his works meaning both for American society and early American modern art. If we are to begin to comprehend his intentions and to see how he went about interpreting New York, we must appreciate how he positioned himself, and how he understood his place as an unwelcomed immigrant. This thesis, therefore, attempts to sketch an overview of the nationalistic mood of early twentieth century America, which opposed the influx of immigrants from southern and eastern Europe, and also analyzes Stellas images of New York in the context of immigrant identity. In particular, by scrutinizing Stellas own writings and letters which reveal his emotions about his own artistic life and his responses as an immigrant, I examine how immigrant life affected Stellas art. I also attempt to understand his ability to express two distinct identities in one painting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in art history.
In spite of the nativistic tendency of New Yorks art world during this period in which American artists and critics pursued their own ways of expression, the so-called American Art, Stella tried to form strong ties with avant-garde communities that showed open attitudes towards European art and advocated for its universal and international values. Since 1915, he actively associated with influential European artists staying in New York, frequenting places like the salon of Walter and Louise Arensberg. Through this intensive network between European and American artists, Stella had access to contemporary social and artistic issues; he shared opinions about modern city themes, as well as suitable visual language for expressing them. On top of that, he was a key member of the Société Anonym, a group founded in 1921 by Katherine S. Dreier(1877-1952) to introduce European vanguard arts into the United States and break from the provincialism of the New York art scene. As such, Stella attempted to forge an international bond with the avant-garde artists of Europe. To be brief,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rensberg Salon and the Société Anonym, along with his embracement of diverse modernism movements of contemporary Europe, played a critical role in building Stellas artistic identity. He united the traditional artistic methods of Europe with the aesthetic approaches and styles of European modernism, allowing him to infuse typically American subjects with transcendental properties.
Furthermore, Stella came to sympathize with the roles and status of other immigrants as well as acknowledge his identity as an immigrant in American society through his illustrative works with periodicals, such as Outlook or The Survey. This work was largely focused on social welfare or reformation issues. Especially, Stellas experiences with the Monongah mining disaster and in Pittsburgh factories, which he visited for the commission of The Survey, gave him opportunities to witness the symbiotic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immigrant labor force and American industry. These experiences also exposed him to the industrial cityscapes and mechanical images of American cities. Thus, it is natural that his complex emotions and thoughts are reflected in his paintings that captured icons of American technology and industry.
In the Coney Island series, produced in 1910s, Stellas dual identity is revealed through the combining of Italian Futurist influences with Italian classical motifs based on his admiration of the remarkable outcomes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He pictured Coney Island as a fantasy world separated from reality by revealing its splendid spectacle through abstract expression. The visual language is directly affected by the art movement of Italy, the theme of carnivals, and the abstract motif of Madonna clearly suggest the painters nostalgia for his native land. At the same time, it is hard to grasp Stellas attitude toward his adopted country, America. This is because the harsh life of immigrants is absent in his depiction of Coney Island as a fantasy world.
In contrast, Stella tried to incorporate and reconstitute the cultures and values of both worlds into his own narrative using the most typical American subjects, as shown in The Voice of the City of New York Interpreted(1920-22), which consists of five panels illustrating New York harbor, the Great White Way, skyscrapers, and the Brooklyn Bridge. The change in theme, from Coney Island to Manhattan, has particular importance because it relates to his evolving perspectives on America and its city life and culture. Since Manhattan was the real world that confronted Stella as an unwelcomed immigrant, his autobiographical attitude could be candidly and explicitly depicted in this work. What is more, he groped for ways to envision a brand new America in the light of traditional altarpiece structure, as if announcing that Europes cultural heritage should be considered a part of the newly formed American society. What Stella ultimately accomplished by endowing New York, which lacks a long history or solid cultural tradition, with the prestige of religious art was to create an impression of a sublime America. As a result, people facing Stellas Manhattan images were not just looking at them but also interacting with them psychologically by experiencing them with their senses. The fact that some essential factors of Stellas art, including the massive scale of canvas and repeated verticals that lead to a direct perception of the sublime continued in later American art movements like abstract expressionism and minimalism is also noticeable.
Stellas most successful works that focus on his own narrative about having a dual identity are six oil paintings describing the Brooklyn Bridge that he created after 1919. The first of these paintings, The Brooklyn Bridge, enhances the ethereal, spiritual mood of the binary composition of heaven and hell by using the scumbling technique. On the other hand, in The Bridge of New York Interpreted, Stella visually expresses the noise from the train, which is running on the bridges lower floor, with lines and colors. Stella effectively leads viewers to feel as though they are actually on the bridge by portraying his visual and auditory experiences at the promenade in more intuitive ways. Stellas Brooklyn Bridge paintings, expressed in the above-mentioned ways, reflect his contradictory emotions of anxiety, hope, desperation and anticipation, which he felt in America as an immigrant. Stella represents his sense of distance by filling canvases with verticals resembling closed gates or a prisons bars, or emphasizing the viewpoint of the promenade, implying his nomadic life. Nevertheless,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 primary image in The Bridge is the entrance, it is reasonable to presume that Stella intended to send a message, not just express the alienation or estrangement of immigrants.
As the main door of a cathedral has the function of guiding visitors into the interior of a sacred space, the gothic tower of the Brooklyn Bridge symbolized an entrance to the new world for Stella. Moreover, Manhattan, as seen between the two towers, seems a sort of ideal monument, and this suggests Stellas awe toward his adopted country. Mo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bridges main function of connecting two separate spaces, the meaning of the Brooklyn Bridge would have been more special and clarified for Stella. He highlighted the symbolic function of a bridge as a link from here to there by repeatedly using certain words reminiscent of bridging in his writings. He also elevated the physical bridge to a spiritual and transcendental plane in his paintings. To sum it up, although the conflict stemming from a dual national identity stayed strong throughout his lifetime, the fact that Stella painted the Brooklyn Bridge even when immersed in other subjects means that he always hoped to conjunct America and Europe, two disparate worlds that formed the painters basis.
This thesis attempts to grasp what Stella wanted to tell through his art by analyzing his New York paintings of the 1910s-1920s within the frame of discussion, the immigrants eye. It also suggests that Stellas works should be acknowledged as a true genre of American Art, as he successfully created a new way of expression which is able to illustrate the pluralis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American society. Therefore, the existing definition of American Art for this period must be expanded to a broader scope including artists who were on the fringes, like Stella. In this way, we will uncover more dynamic and varied aspects that until now were missed in studies of early twentieth century American ar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565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86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