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물 분류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소집단 논변활동의 이해 : Understan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ll group argumentation about biological classific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현

Advisor
김희백
Major
과학교육과(생물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과학교육과(생물전공), 2012. 2. 김희백.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소집단 내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소집단의 논변활동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생물의 구성과 다양성단원에서 논변활동을 포함하는 탐구활동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한 학급에서 9개의 소집단을 구성하여 학생들은 토론을 통해 탐구활동을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도입차시에서 논변의 필요성과 논변구조를 학습하고 소집단 논변활동을 통해 생물분류학습을 하였다. 소집단의 담화분석을 위해 토론과정을 소집단 별로 녹화·녹음 하였으며, 그 전사본을 분석의 주된 자료로 활용하였다. 활동지, 사전·사후에 실시한 생물분류평가, 학생들의 반구조화된 인터뷰, 연구자의 수업관찰노트를 소집단 논변의 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소집단의 논변 수준과 학생들의 담화를 관련지어 분석한 결과, 소집단 구성원 사이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소집단에 따라 논변활동의 활발한 정도와 질이 다르게 나타났다. 소집단 구성원 중에서 리더는 모둠원들의 의견을 포용하는 측면과 정교한 논변을 만드는 사고를 촉진하는 측면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이 두 가지 측면을 기준으로 리더 유형을 나누었을 때 연구 참여자 중에는 포용적인 사고 촉진자, 포용적인 사고 방관자, 독단적인 사고 촉진자 유형의 리더가 있었다.
포용적인 사고 촉진자인 리더의 소집단에서는 모둠원이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추론을 통해 서로 다른 의견이 긴밀히 연결되며 협력적 논변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소집단 내의 생물분류지식이 정교하게 구성될 수 있었다. 협력적 논변활동을 지속하는 데에는 리더의 역할 외에 모둠원들이 가진 생물분류와 논변에 관한 지식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포용적인 사고 방관자인 리더의 소집단에서는 모둠원이 참여하여 개개인의 지식이 모일 수 있었지만 이들 사이를 연결하고 평가하는 추론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협력적 논변활동이 지속되지 못하여 깊이 있는 생물분류지식 구성이 제한되었다. 독단적인 사고 촉진자인 리더의 소집단에서는 모둠원이 참여하지 않은 채 리더의 개인적 논변활동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소집단 공동의 생물분류지식 구성이 제한되었다.
본 연구는 소집단 논변활동에서 소집단 구성원의 지식과 역할에 따른 상호작용이 기여하는 맥락에 대한 이해와 소집단 논변활동을 조력하는 교수 학습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분류교육에서 논변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how soci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s contribute to small group argumentation on socio-cultural perspectives. To this end, inquiry activities, including argumentation on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organisms unit,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7th grade students, who worked in nine small groups in one classroom. In the preliminary lesson, the students learned the necessity and components of an argument. Subsequently, students learned about biological classification through small group argumentation. Transcripts of video and audio recordings of the discourses during the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core data sources for this study. Students' worksheets, pre- and post- individual argument tests, and semi-constructed student interviews provided additional sources of data.
We analyzed students discourses in connection with the small group argumentation. The different small groups showed various qualities of argumentation. The leader of each group was the core element of these different social interactions. The leaders influenced small group argumentation by fostering the other members participation, and by facilitating the thought processes needed to form logical arguments. Thus, we categorized the leaders into types based on these two traits. There were three types of leaders among our participants: the inclusive facilitator, the exclusive facilitator, and the inclusive bystander.
In groups having leaders classified as inclusive facilitators, group members participated in discussions and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closely relating their opinions with reasoning and engaging in collaborative argumentation. Elaborate knowledge concerning biological classification was constructed in these groups. The knowledge of each member about biological classification and argumentation influenced the groups collaborative argumentation. In groups having leaders classified as inclusive bystanders, group members participated in discussions and each members knowledge regarding biological classification was collected. However, because of inadequate reasoning, they were not able to relate and evaluate the different opinions. Therefore, collaborative argumentation could not be extended and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regarding biological classification was restricted. In groups having an exclusive thinking facilitator, the other members rarely participated. There was only the individual argumentation of the leader, which restricted the other members construction of biological classification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offering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small group argumentation, and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nter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group members roles and knowledge for constructing elaborate arguments. This study also clarifies how teachers can instruct small groups made up of members with different argumentation styles, and the value of learning biological classification using small group argument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57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9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