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and Canada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ᆞ캐나다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인아

Advisor
백순근
Major
교육학과(교육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2. 2. 백순근.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comparatively examined in Korea and Canada. Specifically, the proposed relationship was examin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academic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eoretical linkages among the constructs, a conceptual model was established and tested using a variety of statistical methods. To shed light on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 total of 420 high school students from public high schools in Korea (N = 210) and Canada (N = 210)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pilot testing,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to elicit information about perceptions of their own parents, self-esteem, and academic-related motivation. Meanwhile, data about their family background information as well as math and English/Korean achievement results were also collected. After reliability testing, all the measurement scale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were found to be reliable in both cultural contexts. In addit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results showed an appropriate range of factor loadings for all question items. After the questionnaire has been rendered reliable and vali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test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e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an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has been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only as an indirect effect with self-esteem and academic motivation as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s.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parenting style were equally observed in both cultural contexts.
Second, a closer look at the parenting style profiles has revealed that in both Korea and Canada, parents belonged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parenting profile groups: 1) parents who demonstrate high levels of autonomy and connection, and low levels of regulation; 2) parents who demonstrate medium levels of autonomy and low levels of connection and regulation; 3) parents who demonstrate medium levels of autonomy and connection, and high levels of regulation in their style of parenting.
Also, between-group comparisons has revealed that in both Korea and Canada, parents who give their children a high level of autonomy, nurture them with lots of parent-child connection, and impose relatively low levels of regulation are most likely to have a positive contribution on their childrens academic outcomes, self-esteem, and academic motivation. Meanwhile, cultural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regard to the least ideal parenting style profile. Specifically, the absence of parental warmth and connection was found to be more disparaging for Canadian students as it was for Korean students.
Overall results show that slight cultural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the consequences of parenting styles. However, the findings are not as culturally disparate as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For one, the findings are in conflict with popular beliefs that claim that the practice of high parental control and less support for autonomy is not 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sian cultural context as it is for students in Western cultures. Regardless of culture, demonstrating autonomy-support parental behaviors and dedicating efforts to enhance parent-child connection is crucial for both intellectu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For future research, samples from both rural and metropolitan areas should be included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Also, including other possible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school variables into the current model may promote a more thorough insight to this topic.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녀의 심리적인 발달이나 학업적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아울러 학업성취도를 종속 변인으로 한 연구는 비교적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자아존중감이나 학습동기와 같은 학생의 심리적 요인들의 매개효과를 포함시킨 포괄적인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드물었다. 뿐만 아니라 중국과 미국을 비교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진 반면 한국과 캐나다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육방식과 학업성취도간의 연관성에 대한 관련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였고,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를 매개변인으로 고려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에 있어서 한국과 캐나다간의 문화 적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있어서 한국과 캐나다간의 문화적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 있어서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는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이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들의 검토 및 예비검사, 전문가 협의회 등의 과정을 거쳐서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척도 (SPPSS), 학생의 자아존중감 척도(ASES), 학생의 학습동기 척도(AMS)를 제작하였다.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 척도는 자율성(autonomy), 친밀감(connection), 통제(regulation)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학생의 학습동기 척도는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무동기(amotivation)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세 척도의 신뢰도는 한국에서 각각 .85, .92, .83으로, 캐나다에서 각각 .82, .93, .88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검사는 한국의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캐나다의 11학년과 12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은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접적인 효과가 아닌,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는 양육방식-학업성취도 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한 매개변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두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전형적 프로파일을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두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3개의 군집으로 묶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군집1은 자율성과 친밀감이 높고 통제가 낮은 집단이고, 군집2는 자율성이 보통수준, 친밀감과 통제가 낮은 집단이며, 군집3은 자율성이 보통수준, 친밀감과 통제가 높은 집단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군집들을 바탕으로 군집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1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수준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두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군집3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와는 다르게 캐나다에서는 군집2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학습동기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자율성 부여 행동과 자녀와의 친밀감 형성은 양국간의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심리적 발달 및 학업적 발달에 있어서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05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4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