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20년대 딱지본 신소설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민호-
dc.contributor.author권철호-
dc.date.accessioned2019-06-25T15:19:40Z-
dc.date.available2019-06-25T15:19:40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237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46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71-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2. 방민호.-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20년대 딱지본 신소설의 존재 양상을 확인하고 문학사적 의의를 재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문학사가들은 신소설을 근대소설에 미달하는 과도기적 양식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신소설은 통속소설이라는 당대 문단의 인식을 답습한 것에 불과하다. 문단의 평가를 답습한 문학사적 인식은 근대소설의 당위적 규범을 충족하지 못했던 딱지본 신소설은 문학사에서 배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문에 현대문학사의 범위는 문단사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1920년대 조선의 문학장은 다양한 소설양식들이 혼재해 있던 공간이었으며, 딱지본 신소설 연구는 당대 문학장을 재인식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딱지본 신소설은 민간출판사에 의해 기획된 문학상품으로 생산, 유통, 수용이라는 문학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딱지본 신소설은 인쇄술의 유입을 통한 대량생산, 광범위한 유통망 구축, 대중 독자의 증가 등 근대 산업사회의 특성을 기반으로 해서 발전해 나갔다. 1920년대 딱지본 신소설은 기존 소설을 분해하고 조립하는 다시 쓰기 방식을 통해 대량생산 되었는데, 이는 근대 산업사회에서 재화를 생산하는 방식과 상동성을 보여준다. 딱지본 신소설의 서사는 교환가치를 가진 재화처럼 매매되었으며, 이는 식민지 시대 조선 문학이 근대화되어가는 또 다른 과정이었다.
딱지본 신소설은 전대 신소설을 전사, 재구성, 혼성모방 하는 방식으로 서사 지평을 확장시켜 나갔고, 이러한 과정은 원작과 이본, 모작의 위상관계를 해체하는 독특한 상호텍스트성으로 나타났다. 딱지본 신소설은 근대소설처럼 근대적 주체인 작가에 의해 창작된 작품이 아니었다. 딱지본 신소설은 전사자에 의해 엮인 텍스트였기 때문에 다성적이고 복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1920년대 『혈의누』는 다시 쓰기를 통해 다양한 서사 유형으로 재생산되었다. 『옥상화』는 『혈의누』를 전사한 작품으로 종결어미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당대 정치․시대적 감각에 맞게 재탄생된 작품이었다. 『오동추월』은 『혈의누』의 서사 단위를 재구성해서 연애소설로 장르를 변형시킨 작품이다. 이 작품은 『혈의누』의 기능 단위를 재배치하고 『장한몽』의 화소를 차용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선행텍스트를 변형시켰다. 『월미도』는 『추월색』과 『혈의누』의 서사 단위를 혼성 모방한 작품이다. 서사 속 공간을 회귀 형태로 재배치하고 이를 작품 속 남녀 주인공의 이합 구조와 병치해서 구조적 완성도를 높인 작품이다.
1920년대 조선의 문학장은 다양한 사회 자본들의 유입으로 새롭게 재편되었다. 근대문학의 기획 과정에서 문학장은 문단으로 대표되는 제한된 생산의 장과 딱지본 신․구소설로 대표되는 대량 생산의 장으로 나누어졌다. 문단은 출판 시장의 논리로부터 자유로운 작가의 개인적 영역을 확보하고, 제한된 생산의 장이 자존할 수 있는 독자적 원리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위해 문단은 순수문학을 자임하고 그들의 대타적 위치에 딱지본 신소설을 놓고 이를 통속소설로 규정하는 배제의 논리를 창출해냈다. 문단은 인물묘사의 강조, 신문투의 사용, 구도덕과의 단절 등 당위적 규범들을 형성해가며 문학장의 경계를 만들어 냈다.
그러나 제한된 생산의 장과 대량 생산의 장의 경계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었다. 서사와 담론은 두 장의 경계를 이행했으며 이 과정에서 독특한 상호텍스트성을 만들어냈다. 딱지본 신소설은 문단에서 생산된 서사들을 모방하면서 근대소설을 문법을 흡수했다. 《창조》, 《백조》등의 동인지에 실린 소설들이 대량 생산의 장에서도 재생산되었다. 딱지본 신소설 『운명』은 「피아노의 울님」의 핵 단위를 차용하고, 「젊은이의 시절」과 「표박」의 징조 단위를 삽입한 작품이다. 『운명』은 선행텍스트의 서사 구조 배열과 초점화자를 변화시켜서 원작과 다른 주제의식을 구현했다. 『사랑의 꿈』은 전반부에 「표박」, 후반부에 「젊은이의 시절」의 서사 단위를 배치한 작품이다. 『사랑의 꿈』은 두 작품의 서사 단위를 연결하기 위해서 두 작품의 인물을 혼성하고 새로운 서사를 덧붙였다. 이를 통해 당대 낭만적주의적 문인상과 자유연애 담론을 비판하고 있다. 『애루몽』은 딱지본 신소설이 문단의 소설 양식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문제작으로 룸펜 프롤레타리아인 1인칭 주인공을 통해 식민 제국주의에 의해 피폐해진 조선사회를 고발한 작품이다.
1920년대 말 카프는 일제 강점하에서 펼치는 사회주의 문화운동에 한계를 느끼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중 획득 전략에 관해 고민했다. 카프의 대중화론을 이끌었던 김기진은 무기로써의 문학을 강조하면서 대중 획득을 위한 소설 창작 방법론에 관심을 기울였다. 김기진은 대중화론을 소재와 내용, 표현 기법, 매체론적 측면에서 단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김기진의 대중소설론은 《조선농민》의 농민문예 기획과 조우하면서 딱지본 신소설을 계급운동의 무기로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김기진의 기획은 1927년 조선농민사에서 발행한 『혈루』를 통해 시험된 바 있는데, 이 작품은 친일 귀족의 과거만행을 르뽀르타쥬 기법으로 고발한 작품으로 당시 독자들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20년대 딱지본 신소설이 속화되었다는 통념과 달리 당시 사회문제에 관해 관심을 기울인 작품들도 다수 존재했다. 최연택의 『죄악의 종자』는 봉건 사회의 계급문제와 당대 부호들이 지닌 문제를 비판하고 있는 작품이며, 『단소』는 자유연애와 사회문제를 두 가지 서사 축으로 구성해 작가의 사회 인식을 보여준 작품이다. 송완식은 범죄소설 『의문의 시체』를 통해 당대 조선 유산계층의 이면을 그려내고, 일제 당국의 지방자치 정책과 자본주의 등을 비판했다. 『만국대회록』은 『금수회의록』의 화소를 빌려 왔지만, 주제의식을 1920년대 현실 문제에 맞게 재창작한 작품이다. 『만국대회록』은 당대 사회주의 이념을 반영해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근대 위생 개념, 제국주의, 자본주의와 물신주의 등을 비판했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status of Ddak-ji-bon Sin-so-seol and to re-evaluate its cultural value. Sin-so-seol published in 1920s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literature since early historians regarded it only as 'the novel style of transition period'. However, such evaluation is only the following of the view of literary circle of the age like "Sin-so-seol is a popular novel". Therefore, the historical range of contemporary literature has been reduced to the history of literary circle and many novels which didn't satisfy the standards of the modern novel taken for granted were ruled out from the history of contemporary literature. But there were multiple forms of novel in the 1920s literary-field of Cho-seon in fact and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n Ddak-ji-bon Sin-so-seol
Ddak-ji-bon Sin-so-seol as a cultural good planned by private publishing companies should be looked into with the literature Sociological viewpoint such a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Ddak-ji-bon Sin-so-seol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characterized 'influx of modern printing technique', 'construction of distribution network' and 'increasing the mass of reader'. The narrative of Ddak-ji-bon Sin-so-seol was mass-produced by private publishing companies in the ways of rewriting via disassembling and reassembling of the former novels in 1920s. This process shows the homology with a production method of the modern industry society. The narrative of Ddak-ji-bon was traded as a good having exchange value in the mass production field and it was another progress of the modernization in Cho-seon literature.
Ddak-ji-bon sin-so-seol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process of transcribing, reconstructing and imitating the former Sin-so-seol in the field of narrative. It shows the topological relations between original and imitation with the specific intertextuality deconstructed. Ddak-ji-bon Sin-so-seol also has the multiphonic and plural feature since unlike other modern novels, it was written by transcribers instead of authors. In 1920s, Hyul-e-nu was re-producted in various narratives by rewriting. Ok-sang-hwa, which was transcribed from Hyul-e-nu, shows the changes of style and expression appropriate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O-dong-chu-wol, which was reconstructed from Hyul-e-nu, was transformed to a narrative of romantic novel. It had up-built the precedent text through re-arranging the text of Hyul-e-nu by functional units and deriving from the episode of Jang-han-mong. Wol-mi-do is the pastiche of Hyul-e-nu and Chu-wol-sack. The Structural perfection of the Wol-mi-do was evaluated by re-arranging the structure of regression and matching the meeting structure of hero and heroine.
In 1920s, the literary field of Cho-seon was reorganized through the influx of various social capitals. The literary field was divided into the field of limited production represented by the literary circle and the field of mass production represented by Ddak-ji-bon Sin-so-seol in process of the planning of modern literature. The literary circle endeavored to secure the personal field of modern author against the publishing market oriented and tried to make the independent fundamental to be self-existence. For this, the literary circle considered themselves as pure literature and prescribed Ddak-ji-bon as a popular novel by putting it on the objective side of theirs. The literary circle had mad borders of the literary field by setting the standards such as emphasizing a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character, using of new style and severance of former morality.
However, The border between limited product field and mass product field of was not unconditional. Narratives and discourses came and went beyond a border of their field and this process made a intertextuality. Ddak-ji-bon sin-so-seol had extended its narrative horizon by imitating the narratives produced by the literature circle. The narratives of literary in the coterie magazines such as Chang-jo and Beak-jo were re-produced in the field of mass product. Un-myung was derived from the nuclear units of Piano-e-ulnim and also inserted the units of satellite from Jeorm-en-i-e-si-jeol and Pyo-bak. Un-myung changed the structure and narrator of former text to phrase the subject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The first half part of narrative in Sa-rang-e-kum was borrowed from Pyo-bak and the latter half part of it was borrowed from Jeorm-en-i-e-si-jeol. The characters of Sa-rang-e-kum were mixed together and new narrative was added to connect the narratives of each novel. That way, Sa-rang-e-kum criticized the images of romantic artist and the discourse of free love. Ea-ru-mong, is one of controversial work, was made on the process that Ddak-ji-bon sin-so-seol absorb the novel style of literary circle. This text denounces the life of Cho-seon ravaged by colonial imperialism by using the first person narrator who is a lumpen proletariat.
In the late 1920s, the literary movement of socialism, which was started by KAPF(Korea Proleta Artista Federatio), faced its limit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Kim ki-jin who led the discourse of popularization in KAPF, emphasizes 'literature as weapon' and got down to the writing skill of novel to convince the public. Kim ki-jin had developed the discourse of popularization in the aspects of contents and idea, expression skills and media. He insisted to use Ddak-ji-bon sin-so-seol as a 'weapon of a class movement' after meeting the project of agrarian art planning by Cho-seon-nong-min. His popularization project had been attempted with Hyul-nu published by Cho-seon-nong-min in 1927. At the time, Hyul-nu which is the work to denounce brutalities of pro-Japanese aristocrat with the style of reportague, created a great sensation.
So unlike common idea which Ddak-ji-bon Sin-so-seol were vulgarized in 1920s, there were some works concentrated on the social problem of the age. Ak-ma-e-jong-ja written by Choi yun-teak, showed the problem of the class in the feudal society and wealthy people of the time. Dan-so, showing his social consciousness, expressed the problem of free love and society with a couple of narrative lines. Crime novel E-mun-e-si-che written by Song Wan-sick was described the dark side of propertied classes and criticized on the capitalism and the control of Japanese Imperialism over local autonomy. Though Man-kuk-dae-hoi-lok was re-written by borrowing motives of Kum-su-hoi-e-lok, the critical mind of the text was re-created with the life at that time. Man-kuk-dae-hoi-lok is the work reflecting the socialism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abor and sharply criticize the capitalism, fetishism, imperialism and the discourse of modern sanitary so on.
-
dc.format.extent13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1920년대 딱지본 신소설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02-
dc.contributor.major현대소설-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237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