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상 문학에 나타난 서사성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ity in Lee Sang's Tex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노태훈

Advisor
권영민
Major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2. 권영민.
Abstract
본고는 이상 문학에 나타난 서사성의 양상에 주목해 이상 텍스트의 전체적인 흐름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상 문학은 활동 시기나 작품의 숫자 면에서 폭이 좁은 축에 속하지만 텍스트의 내적 변화는 다른 작가들과 비교했을 때 결코 작지 않다. 특히 시에서 소설로의 전환은 단순한 장르적 변화가 아니라 시적인 것에서 소설적인 것으로의 이동이라 할 수 있고 이는 서사성이 이상 문학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상의 처녀작이 장편 연재소설이었다는 점, 연작시의 형태를 띤 시편들이 대부분이라는 점, 1936년 이후 소설 창작에 매진했다는 점 등은 이를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기존 문학의 틀을 벗어나려 했던 이상의 실험적 면모는 당대 문단 혹은 문학의 장(場)에 대한 민감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자신만의 독특한 장르관으로 이어져 「조감도(鳥瞰圖)」, 「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오감도(烏瞰圖)」 등의 연작시에서 볼 수 있듯, 문학 장르는 아니지만 건축의 설계도 혹은 문학적 그림이라는 형식을 제목에서부터 드러내고 있으며, 「봉별기(逢別記)」, 「종생기(終生記)」, 「환시기(幻視記)」 등은 기(記)라는 형식적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1936년 ≪시와 소설≫에 발표한 「가외가전(街外街傳)」은 시의 형식에 전(傳)이라는 제목을 붙임으로써 종래의 문학적 장르개념을 뒤틀어놓고 있다.
더욱 주목할 것은 이상이 결국 소설, 특히 단편소설에 마지막 문학적 역량을 기울였으며 의식적으로 소설이라는 장르를 택했다는 사실이다. 이 과정은 특히 서술자의 문제에 주목해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시인으로 문단에 나타난 이상에게 시의 형식은 자신의 문학적 실험을 펼치기에 적절하지 않았는데, 이는 서사성을 속성으로 하는 이상 문학이 시적 담론과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소설이 가지는 혼합적 양상이나 다양하고 복합적인 표현의 가능성은 이상이 추구하고자 했던 실험적 형태에 가장 근접한 것이었고, 시의 화자와 달리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고 이를 독자에게 매개할 수 있는 소설의 서술자는 작품의 서사 공간을 창출해내기에 보다 용이했던 것이다. 요컨대 시적 담론과 달리 산문적 담론은 서술자라는 매개항을 통해 독자와의 대화를 능동적이고 역동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서사성의 개념은 이러한 독자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이상 문학의 창작원리였던 대칭의 개념이 플롯의 대립구도, 나아가 독자와의 대결로 이어지는 촉매제 구실을 했다.
2장에서는 초기작에서 나타난 실험적 양상과 대칭점으로 요약되는 이상의 문학 창작 원리를 고찰하며, 당대 문단에서 그의 문학 장르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본다. 그는 「오감도」로 대표되는 연작시의 형식적 실험을 통해 서사적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서정시 장르를 탈피하고자 했으며, 동시에 공간적 글쓰기를 통해 서사의 시간성은 독자가 스스로 구축해나가기를 의도했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가 독자에 의한 연재 중단이라는 사태로 실패에 이르자 이상은 새로운 문학적 모색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구인회 동인지 ≪시와 소설≫을 통해 잘 드러난다. ≪시와 소설≫은 구인회의 동인지라기보다 이상 개인이 편집한 문예지에 가까울 정도로 이상이 문학관이 잘 나타나 있으며 특히 이 지면에 발표한 「가외가전(街外街傳)」은 이상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작품은 시의 형식에 전(傳)이라는 제목을 붙이고, 다시 그 전의 인물을 서술자로 배치함으로써 인물이 없는 전을 만들고 있다. 이것은 이상만이 보여줄 수 있는 역설의 실험이었고 이를 통해 이상은 서술자가 갖는 권위를 발견하게 된다. 흔히 독자에게 시의 화자는 이미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정서적 독백을 표현하는 존재로 생각되지만 소설에서의 서술자는 하나의 가상 세계를 창조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이러한 서술자의 권위는 이상이 「가외가전」 이후 소설 창작에 매진한 것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3장에서는 이상이 장르로서의 서사, 즉 소설에 창작의 중점을 둔 것에 주목해 이상의 소설에서 어떤 서술 기법이 독특하게 나타나는지 고찰한다. 이상의 소설들은 계열적으로 관련성이 상당히 크며 기법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공통점들은 이상 작품을 읽어내는 하나의 규약(code)으로 작용한다. 그것은 곧 기술 서사물의 규약으로 독자가 작품을 독해하기 위해서 던지는 질문들과 관련되어 있다. 텍스트가 가지는 규약은 그러한 서사적 질문의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상의 작품들은 이야기 층위에서 서사적으로 유관한 질문의 범주는 상당히 좁지만 담론 층위에서는 이것이 매우 넓어져 독자로 하여금 최대 독서를 유도한다. 이상의 소설들은 소설의 서두에서 이미 플롯의 방향이나 결말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본서사는 아주 단순한 편에 속한다. 그러나 끊임없이 서술자가 틈입하고 삽입서사가 등장하면서 서사의 의미는 다양하게 증폭되어 독자를 혼란에 빠트린다. 이러한 효과는 에피그램을 통한 메타적 글쓰기로 가능한 것인데 이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독자가 질문을 던지고 작가가 대답을 주는 방식에서 텍스트에 대해 작가가 질문을 던지고 독자가 대답을 요구받는 형태로까지의 이동해 서사물의 대화 공간을 넓히고 독자의 역할을 크게 부각시킨다. 「동해(童骸)」에서는 에피그램이 서사로 틈입하면서 독자의 상상력과 판단을 요구하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종생기(終生記)」에서는 이것이 전면에 등장해 본서사의 흐름을 위협하고 이야기 층위와 담론 층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종생기」는 간음한 여자라는 이상 소설의 주요 소재와 인간의 비극적 운명이라는 주제의식을 하나로 통합시켰다는 면에서도 주목되지만 서술자가 독자와의 대결을 본격화하고 장르로서의 서사 자체를 모호하게 만들며, 나아가 이를 해체시키려는 시도에까지 이른 점은 더욱 주목해야 할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flow of Lee Sang's texts focusing on their changes in narrativity. Lee Sang's literary scope is relatively limited in his period of writing or the number of works, but the internal transition of text is not smaller than other writers. Especially his shift from poetry to novel indicates not a mere shift of genre but a movement from a poetic thing to a novelistic thing, which in turn shows that narrativity is inherent at the base of Lee Sang's literature. The facts that his first work was a long serial novel, that most of his poems were in the form of a serial poem, and that he devoted himself in novel writing after 1936 subordinate this argument.
The experimental aspect of his work which escapes the framework of existing literature originated from his keen recognition of literary field or genre of the time. Such recognition led to his original view of genre and constitution of a form called 'architectural blueprint' or 'literary drawing'(圖) which are not a literary genre but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titles of serial poems like The Bird-eye's View(鳥瞰圖), The Third Angle Projection(三次角設計圖), or The Crow-eye's View(烏瞰圖). Similarly, The Journals of Meeting and Parting(逢別記), The Journals of the End of Life(終生記), and The Journals of Hallucination(幻視記) share formal characteristics of 'journal(記)'. In fact, The Story of a Street Outside a Street(街外街傳), which was published in 1936 in Poetry and Novel(≪詩와 小說≫), twisted the conventional concept of literary genre by taking a form of poetry while entitling it a 'story(傳)'.
What is more noteworthy is that Lee Sang eventually displayed his last literary competence through novel, particularly short stories, and deliberately made the choice of the genre. The matter of narrator needs to be focused in such a process. Although Lee Sang started his literary career as a poet, form of poetry was not suitable for his literary experiment because his literature characterized itself with narrativity and did not fit in poetic discourse. Since novel has a compound nature and allows diverse and complex expressions, it was closer to the experimental form that Lee Sang pursued, and the narrator of a novel could easily create a narrative space of a work by inventing a world and mediating it to readers unlike poetry. In short, prosaic discourse has a strength over poetic discourse that it can lead a conservation with readers more actively and dynamically through the medium of narrator. The concept of narrativity is based on such interaction with readers, and it acted as a catalyst for linking the concept of symmetry, which was Lee Sang's writing principle, to confliction in plot, and finally to confrontation with readers.
In Chapter 2, the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mental aspect which appears in Lee Sang's early work, his writing principle which is summarized as 'symmetrical point', and his recognition of literary genre through the literary circle of the day. By presenting a narrative vision through a formal experiment of serial poetry as typified by The Crow-eye's View(烏瞰圖), he eschewed the established genre of lyric poetry. At the same time, he attempted to bestow readers a chance to construct timeline of a narration by themselves through spacial text writing. However, when such an attempt failed due to suspension of publication by readers, Lee Sang had to seek for a literary alternative, which is well shown in Poetry and Novel(≪詩와 小說≫),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by 'the Commune of Nine People(九人會)'. Poetry and Novel(≪詩와 小說≫) reflects Lee Sang's literary view so complete that it is almost considered as a literary magazine edited by him alone rather than the Commune of Nine People. The Story of a Street Outside a Street(街外街傳), which was published in the magazine, is especially worth noting. In this work, form of poetry was entitled as a 'story', and the character of the 'story' again was put to a narrator's position, thereby creating a 'story' without a character. This was the experiment of paradox which Lee Sang alone could perform, through which he discovered the authority of a narrator. While readers often consider the narrator of poetry as a figure who delivers an emotional monologue of an existing world, the narrator of novel is often considered as a being who can create a fictional world. Such authority of a narrator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son Lee Sang strived to write novels after writing The Story of a Street Outside a Street(街外街傳).
In Chapter 3, the study examines the unique narrative techniques employed in Lee Sang's novel considering his focus on narration as a genre, in other words, novel. His novels are closely affiliated and share commonalities which function as a code to read Lee Sang's work. That is, 'a code for descriptive narr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questions that readers ask to comprehend a work. A code of a text restricts the scope of narrative questions. In Lee Sang's work, the scope of 'narratively relevant questions' at the story level is quite narrow, while at the discourse level, the scope becomes so broad that it induces 'the maximum reading' from readers. His novels provide the direction of a plot or conclusion from the beginning and has a relatively simple basic narration. However, as constant intrusions (or trespassing) of a narrator and inserted narrations appear, the meaning of the narration amplifies diversly at the same time causing deconstruction of the narration. Such effects are achieved through meta-writing using epigrams which broadens the conversational space of a narration by shifting the way of interaction from the writer answering readers' questions to readers being asked to answer the writer's questions and emphasizes the role of readers. In The Bone of a Child(童骸), the epigram intrudes the narration to ask for readers' imagination and judgment, and in The Journals of the End of Life(終生記), it appears in the front and threatens the flow of the main story demolishing the boundary between the story level and the discourse level. Although The Journals of the End of Life(終生記) has a significance of combining the major topic of Lee Sang's novel 'an adulterous woman' with the theme 'a tragic destiny of human being', the more important fact is that the narrator genuinely confronted with readers, made the genre of narration ambiguous, and further attempted to deconstruct i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43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28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