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육사 문학의 사상적 배경 연구 : ―以中国留学体验为中心
- 중국 유학체험을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요연

Advisor
신범순
Major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2. 신범순.
Abstract
이 논문은 이육사의 중국유학체험, 특히 북경과 남경에서의 유학에 대한 전기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그의 문학세계에 나타난 사상적 배경을 조명하려는 시도이다. 중국유학 경력은 이육사의 문학 활동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은 보완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이육사 문학의 전체상을 조명하는 데에 일종의 제한 요소로 작용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2장 1절에서 그동안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던 이육사의 중국유학시절 출신학교의 정체를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 여러 이설들을 대조하고 중국현지의 자료들을 조사한 결과 이육사는 1926년 7, 8월 경부터 1927년 8, 9월 경까지 북경에 체류하였고 중국대학(中國大學) 전문부(專門部) 상본과(商本科)에서 2학기 동안 수학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당시 이육사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즉 이육사의 수필 속에서 등장하는 Y교수에 주목하였는바, 구체적인 자료들의 검토를 통해 그 정체가 北京大學(북경대학) 國學係(국문과) 마유조(馬裕藻) 교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마교수와 이육사의 관계를 추적하고 마교수가 이육사에게 끼친 사상적 영향 등을 해명할 것이다. 이는 또한 마교수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던 노신(魯迅)과 이육사의 관계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육사와 노신의 영향관계는 주목을 요하는 중요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2장 2절에서는 남경유학시절의 이육사를 조명해보게 될 것이다. 길지 않은 남경에서의 6개월 동안 이육사는 국민정부군사위원회(國民政府軍事委員會)가 지원해준 군사간부훈련반(軍事幹部訓練班)에서 소속되었으며 혁명가로서의 유물론적인 역사의식을 함양함은 물론 중국어 구사능력과 중국현실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이육사는 귀국 후 2년 동안 이활이란 필명으로 중국의 정세를 분석한 시사평론도 여러 편 작성하게 된다. 이러한 문학 활동은 일종의 수행임무로서 행한 결과였으나 시인 이육사의 면모뿐만 아니라 시사평론가 이육사라는 또 다른 면모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이러한 일련의 유학 체험 이후 이육사의 문학적인 면에 있어서의 변화를 도모하게 된다. 귀국 후 2년 동안 꾸준히 시사평론을 발표했던 육사는 1936년 전후로 하여 왕성한 시창작 의욕과 더불어 노신과 서지마(徐志摩) 등 중국 작가들의 문학세계에 대한 동조를 보여주면서 혁명적인 평론가의 기질에서 문학가로서의 면모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특히 「노신추도문」을 발표한 뒤에는 문학가로서의 자의식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따라서 3장 1절에서는 노신의 「고향」의 대한 번역활동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이육사 자신의 실향의식과 향수를 담아낸 일련의 시편들을 분석할 것이다. 「초가」나 「실제」와 같은 작품은 그동안 주목받은 대표작「광야」와 같은 작품에서 이육사가 보이는 기개와는 또 다른 절망과 그리움을 내포하고 있다. 「子夜曲」같은 작품은 중국의 악부시인 자야가에 빗대어 이육사를 둘러싼 절망적인 현실, 뿌리 깊은 어두움을 노래하고 있다. 「산」이나 수필 「은하수」에서는 이육사의 실향감이 단순히 고향상실이 아닌 사상적 날개의 꺾임에서 온 것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는 견고했던 구시대의 붕괴가 일제침략 같은 현실적 사건에 못지않게 이육사에게 있어서 큰 문화적 충격으로 다가왔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3장 2절에서는 이육사가 주력한 서지마의 시에 대한 창조적 번역과 해석을 통해 이육사의 사상적 일면을 고찰할 것이다. 이육사는 서지마의 신시(新詩)의 형식적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도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이육사는「拜獻」에 대한 번역 중 일부를 의도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창의적 번역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사상적 측면 즉 휴머니즘의 강조라는 작가적 성향을 드러낸다. 이와 같은 내적인 면모는 이육사의 창작시 「강 건너간 노래」, 「春秋三題3」등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깊은 향수와 회귀욕망을 강하게 표출한 그의 내면의식은 이처럼 창작시와 번역문의 창의적인 변형을 통해서 일맥상통하여 이육사의 절망적인 실향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육사의 중국유학시절의 전기적인 측면을 어느 정도 보완할 뿐만 아니라 그 시기에 작성된 시사평론, 수필, 번역 등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시사평론가에서 휴머니즘 작가로 변화하는 과정 등을 밝힘으로 그의 문학 사상적 배경의 일단을 조명하게고자 한다.
中国留学经历是李陆史人生历程中的重要组成部分,并对其文学活动有着深远的影响作用。但在过去的70多年里由于种种客观条件限制,时至今日其留学经历的实证部分依然存在着许多不明确的谜团,成为对李陆史文学世界进行全面理解的一种阻碍。笔者将在本文中着重对李陆史在北京及南京时期的留学经历进行实证考察,并在此基础之上对其文学作品中蕴含的深层思想进行探究。
本文第2章第1节着重对李陆史在北京留学时期的所在大学进行考证。综合和比较既往相互存在争议的几种观点,参考在北京实地考察中发现的资料,推断出以下结论:李陆史曾于1926年7、8月到1927年8、9月间在中国北京生活,就读于1912年由孙中山发起创办的中国大学专门部商本科。李陆史在其随笔《季节的五行》中对北京留学生活做了回忆,并提到了当时的指导教授Y教授,经过考证Y教授应为时任北京大学国学系主任并在中国大学兼任课程的马裕藻教授,因此也不能完全排除曾与马裕藻有过密切交流的李陆史以旁听生的身份走在北京大学校园。与此同时,这样的交流对李陆史的思想形成也产生了相当影响。马裕藻与中国文学巨匠鲁迅之间维持着深厚的友谊,而李陆史对鲁迅及其文学有着深刻认识,因此在李陆史与鲁迅之间,马裕藻极有可能起到的联结桥梁作用。
第2章第2节重点在于对李陆史南京留学始末进行事实整理。从1932年10月到1933年4月,经过为期六个月的训练,李陆史作为国民政府军事委员会支持设立的军事干部训练班第一期毕业生毕业,在此期间不仅受到侧重于唯物论及辩证法的革命熏陶,中文读写能力也得以提高,对中国社会的现实状况有了深层了解。在这些前提之下,李陆史在回到韩国后的两年间以李活为笔名陆续发表了一系列有关中国局势的时事评论,虽然这样的文学活动是李陆史作为军事训练班毕业生所履行的一种任务,但这足以说明他不仅仅是一位诗人,同时还是一位时事评论家。
在对李陆史中国留学经历的考证之后,本文进一步对其文学倾向的变化进行探讨。到了1936年,此前两年间始终执着于时事评论的李陆史将其热情转化到诗歌创作及对文学和文化评论当中,并对中国文坛及给予特别关注,从一名革命倾向的评论家转变为一位文学家,而具有文学评论性质的《鲁迅追悼文》则可以看做是这一转变的象征性作品。此后文学家李陆史的自我意识日益显露。
因此,本文在第3章第1节结合李陆史对鲁迅短篇小说《故乡》的翻译,分析《失题》等作品中流露出的李陆史自身的失乡意识和乡愁。同一直作为代表作品备受关注的《旷野》中的豪迈气概相对比,能明显体会到作品《草家》和《失题》中所表现出的绝望与丧失感;而作品《子夜曲》则巧妙地借用中国古代乐府诗——子夜歌这一题目展现的作家身处的黑暗现实状况;通过诗歌《山》和随笔《银河水》可以发现李陆史的失乡感不仅仅来自于漂泊在异国他乡的思乡之情,也不仅仅来自于日本殖民统治时期地理上的故乡的丧失,而是在面对旧时代的瓦解、新文化的冲击之下的一种迷失。
第3章第2节主要分析李陆史在翻译过程中对徐志摩作品的创造性解读。将李陆史的译文与原文进行对照,可以发现诗句顺序颠倒、修饰语位置变换等不完全忠实于原文的部分。但这并不是译者无意间的误译,而是对原作的一种创造性解读。通过这种创造性的解读方式,李陆史不仅强调了徐志摩新诗的形式之美,还表现了对徐志摩人道主义倾向的共鸣。在《飞向江彼岸的歌声》《春愁三题》等作品中所展示的内心世界也与此一脉相通。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4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6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