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구야담』의 환상성 연구 : The Fantastic of Cheong-gu-Yadam 靑邱野談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솔미

Advisor
박희병
Major
국어국문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2012. 2. 박희병.
Abstract
본고는 『청구야담(靑邱野談)』에 나타나는 환상적 요소의 문학적 기능을 밝히고, 나아가 『청구야담』의 환상성이 어떠한 미학적 특질과 의미를 지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청구야담』은 19세기 전반 무렵에 편찬된 작자 미상의 야담집으로, 야담집 중에서도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조선 후기 사회ㆍ경제ㆍ문화 제반에 걸친 역동적인 변화를 생동감 있게 담아냈기 때문에 주로 사실주의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연구되었다. 이에 따라 『청구야담』에 실린 90여 편의 환상적인 이야기들은 제대로 해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다.
본고는 본격적인 논의에 선행하여 다소 모호하게 사용되어 왔던 환상성이라는 개념을 규정하였다. 환상성은 문학 작품에서 환상이 개입되어 재구성되는 세계의 양상이다. 이때 환상은 초현실, 즉 현실을 벗어난 것을 말한다.
먼저, 『청구야담』의 환상성이 구성되는 양상을 살폈다. 『청구야담』에 나타나는 초현실적 모티프로는 귀신(鬼神)ㆍ이물(異物)ㆍ이인(異人)과 신선(神仙)ㆍ별계(別界)ㆍ이계(異界)ㆍ예언ㆍ현몽(現夢)ㆍ변신ㆍ환생(還生)ㆍ인귀교환(人鬼交驩)ㆍ신물(神物) 획득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다시 서사 구성요소로 분류하면 환상적 인물ㆍ환상적 공간ㆍ환상적 사건으로 나눌 수 있다. 제II장에서는 이처럼 환상적 인물ㆍ공간ㆍ사건을 통해 이야기가 신비하게 전개되는 양상을 살피고, 아울러 이들이 설화에서 이월(移越)된 것임을 밝혔다.
제III장에서는 환상성이 발현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청구야담』에서 환상성이 발현될 때는 우선 현실로부터의 이탈을 통해 환상적 사건을 예비하고, 등장인물을 점차 비일상적인 상황 속으로 몰아간다. 또한, 환상적 사건이 나타나는 순간에는 신이한 제재를 열거하거나 등장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면서 신비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한편, 현실과 초현실이 계속 교섭하면서 그 경계가 모호해지는 경우도 있다. 꿈과 예언을 통해서다. 꿈과 예언이 개입되면 현실과 초현실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이에 따라 이야기는 기이하고 비현실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
제IV장에서는 환상적 인물ㆍ공간ㆍ사건을 세밀히 분석하여『청구야담』의 환상성이 담고 있는 내용적 특징을 살폈다. 『청구야담』의 환상은 소외된 인물의 욕구를 표출하고, 당대의 구체적 현실에 대한 비판과 우의를 드러냈다. 또한『청구야담』에는 세속적인 욕망이 외화(外化)된 형태의 환상성이 나타나며, 이 세속적 욕망을 꿈꾼 주체는 가난한 남성임이 밝혀졌다. 한편으로 전대의 야담집에 비해 『청구야담』의 환상성은 오락적인 측면이 강화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그런데 앞서 살핀바『청구야담』의 환상성은 설화로부터 이월되었으며, 환상성을 통해 욕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설화의 환상성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V장에서는 야담과 설화의 환상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폈다. 먼저 설화와는 달리『청구야담』의 환상적 인물이나 공간, 사건은 당시의 구체적인 사회상과 관련된 것들이 많으며 이에 따라 사회ㆍ역사적 성격과 의미가 강화된다. 야담의 환상성이 설화의 그것과 다른 또 하나의 특징은 설화의 서사는 모티프의 단순한 결합과 연속으로 진행되는 데 반해 야담에서는 특정한 환상적 모티프에 서술이 집중되며 모티프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환상적 모티프의 확장은 주제의식의 확대나 박진감있는 묘사를 기하고 오락성이나 흥미성을 부각시키거나 현실 세계의 이면에 있는 진실을 드러내려는 의도에서 비롯된다.
제V장에서는 『청구야담』의 환상성을 전기소설의 환상성과도 비교하였다. 전기소설 역시 설화에 나타나는 환상적 모티프를 차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소설에서는 초현실적 공간이 이상적인 것으로 설정되면서 환상적 인물ㆍ공간ㆍ사건이 아름답게 나타난다. 이에 반해 『청구야담』에서는 환상이 개입되어도 현실적 공간 즉 현세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환상성을 통해 현세에 대한 애착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전기소설과 야담의 장르 담당층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고가 처음에 제시하였던 연구의 목표, 즉 『청구야담』을 여러 문학적 층위에서 재검토하고, 청구야담에 소재된 환상적 작품들의 특성을 밝혀내며, 그것이 서사문학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혀낸다는 목표가 대체로 이루어졌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understanding of the Fantastic of Cheong-gu-Yadam(靑邱野談). While most of the prior works have focused on the text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according to the realist perspective, studies on Choeng-gu have been slackened for a while. Moreover, as for the whole Yadam(野談) studies, there needs to be a brand-new approach other than realism, since there must be something more than historical and cultural reflection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Yadam.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antastic of Cheong-gu, which has not gotten much attention before, even though fantastic stories occupy a good amount of the book.
First and foremost, an establishment of definition of "the fantastic" is preceded for the groundwork. The fantastic is an aspect of the world that i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supernatural motifs in the literature. Based on this definition, chapter 2 classifies supernatural motif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of the narrative; character, background, and event. Those constituents are subdivided into ghosts, supernatural animals and people, utopias, different worlds, predictions, dreams, transformations, reincarnations, a love affair between a ghost and a human, acquisition of a supernatural object.
This paper then investigates how the fantastic reveals itself to the literature. In Cheong-gu, there are three ways to manifest the fantastic. Before encounter with fantasy, the characters tend to get way from reality. After encounter with fantasy, a description on the fantasy arouses a mysterious, strange and marvelous mood. Moreover, when the prophesy and the dream intervene, the boarder line between the reality and the fantasy is blurred, so that the whole story becomes unrealistic.
Chapter 4 explains the content of the fantastic. In the end, Cheong-gu tries to reveal the earthly desire, strengthening of entertainment, hope of alienated people, and criticism on the reality through fantasy. From this, the meaning of the fantastic in Cheong-gu could be extracted; revealing of the supportive attitude to the human being's desire and reflection of the reality paradoxically.
According to this, a comparison between the fantastic in a folktale[說話] and a short novel delivering the strange[傳奇小說] has been carried out. As Yadam's birth is closely related to a folktale, this work is very worthwhile. Whereas Yadam's fantastic is more focused on specific pace of the reality, a folktale cares about a typical emotion of people. Moreover, Yadam extends a description of the fantastic motifs, so that it can strengthen a specific theme of the motif. This is a critical factor that distinguishes Yadam from a folktale.
Moreover, as a short novel delivering the strange[傳奇小說] has been a representative genre that utilizes the fantastic to express the author's thoughts on the reality in Korean literature tradition, a comparison between Yadam and a short novel delivering the strange is also needed.
As a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Yadam focuses more on the real world, whereas a short novel delivering the strange takes the fantastic world as an ideal space. The difference is due to the participant's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fantastic of Cheong-gu-Yadam is not a simple and hollow at all; rather, it is a very unique form that reconstruct the reality. It can also be a great standard that differentiate Yadam from other similar genr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4647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3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